예술(Fine-arts) 이라는 말의 개념과 체제의 성립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술(Fine-arts) 이라는 말의 개념과 체제의 성립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예술에 관한 사고
가. 플라톤의 詩에 관한 사고
나. 플라톤으로 대표되는 고대 희랍의 회화에 대한 사고
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ꡔ詩學ꡕ(Poetics)이 갖고 있는 의의
라. 플로티누스 철학과 회화

B. 르네상스 시기를 통한 ‘예술(Fine-Arts)’ 체제의 성립
가, 회화의 지위 상승 노력: Liberal Arts의 일환으로 편입되고자 함
나. Idea 개념의 하락

C. 근대적 예술 ‘개념’의 성립
가. 고전적 의미의 예술개념--신고전주의(17-18세기 중엽)--이성과 규칙
나. 바움가르텐(Baumgarten)의 『Aesthetica』의 의미-Pre-romantic(18세기 중엽)-감성과 규칙
다. 근대적 의미의 예술개념--낭만주의(18세기 초-19세기)--감성(감정, 상상)

본문내용

식(신고전주의적 사고)에 관한 학문이다."]
다. 근대적 의미의 예술개념--낭만주의(18세기 초-19세기)--감성(감정, 상상)
1. 낭만주의 대두의 배경: 과학의 발전에 따른 위기감, 사회적 요구, 이론적 뒷받침
2. 전개:
a) 주지적(主智的) 낭만주의(Romantic Intellectualism)--예술은 과학의 능력이 도달할 수 없는 초월적 세계(transcendental reality)를 파악하는 과학보다 고차적인 인식 수단이다.--독일 관념론
b) 주정적(主情的) 낭만주의 (Romantic Emotionalism)--초월적 세계를 인정하지 않더라도 경험적, 현상적 세계 내에 과학의 한계가 존재한다.(감정, 상상력, 꿈, 性, 본능...) 이들을 다루는 것이 예술이다.--영국 경험론
3. 어느 입장에서건 예술은 과학이 할 수 없는 일을 수행하며 예술가는 과학의 한계를 고발하는 최고로 지적인 사람.--'쟁이'로부터 탈피하여 찬미되기 시작함.
4. '상상'이라는 개념과 더불어 '예술=창조'의 공식도 비로소 확립
* 오늘날 우리가 가진 것과 같은 예술 체제와 개념은 미와 모방의 원리에 기대어 시와 회화 간의 통합을 이루고, '예술 = 과학'을 이용하여 수공예와 결별하고, 다시 개념적 측면에서 과학과 결별함으로써 비로소 형성되었다.
참고문헌 ------------------------------------------------------
1. 그.네도쉬운 지음, 최철준 옮김, 예술론 개요, 한국문화사, 1999.
2. HAROLD OSBORNE 지음, 서배식 옮김, 미학과 예술론, 대왕사, 1984.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5.10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