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sex)과 젠더(gender)
-성(gender) 정체성과 성(gender) 역할
-성욕(sexuality)
-여성성과 남성성
-성의 정치학(sexual politics)
-욕망(desire)
-주체(subject)
-죽음 본능(death- drive)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 일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히스테리(hysteria)
-포르노그래피(pornography)
-모성(motherhood)
-이성애(Heterosexuality), 이성애주의(Heterosexism)
-가부장제(Patriarchy)
-동성애, 동성연애, 동성애공포증
-성 지향성(sexual orientation)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동성애(homosexuality)
-동성연애 (same-sex acts)
-커밍-아웃
-호모포비아
-성(gender) 정체성과 성(gender) 역할
-성욕(sexuality)
-여성성과 남성성
-성의 정치학(sexual politics)
-욕망(desire)
-주체(subject)
-죽음 본능(death- drive)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 일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히스테리(hysteria)
-포르노그래피(pornography)
-모성(motherhood)
-이성애(Heterosexuality), 이성애주의(Heterosexism)
-가부장제(Patriarchy)
-동성애, 동성연애, 동성애공포증
-성 지향성(sexual orientation)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동성애(homosexuality)
-동성연애 (same-sex acts)
-커밍-아웃
-호모포비아
본문내용
동성애가 성적인 도착이나 변태가 아니라면 동성애는 도대체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동성애와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나 개념을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제부터 소개될 내용은 상당부분 동성애 활동가나 동성애자를 이성애자와 같은 지극히 정상적인 그러나 "다른" 사회의 구성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닌 사람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이다. 이들의 의견에 동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주류의 의견을 거슬러 말하는 소수의 주장을 경청하는 일은 열린 삶을 지향하기 위해 필요한 자세일 것이다.
*성 지향성(sexual orientation): 성 지향성이란 자신이 어떤 성의 사람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동성애자란 자신과 같은 성의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성적으로 신체적으로 끌리는 성 지향성을 지닌 사람들을 말한다. 반대로 이성애자는 자신의 성과는 반대되는 성의 사람에게 끌리는 성 지향성을 가진 사람들을 뜻한다.
개인적인 성 지향성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이나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선천적으로 타고난다고 설명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개인이 자라난 환경적 요인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이 두 요소의 상호작용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든지 성지향성은 아주 어릴 때, 자신도 인식하기 전에 확립된다고 보고 있다. 즉 이성애 성향이던, 동성애 성향이던 성 지향성은 개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성 정체성이란 자신이 성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누구에게 끌리는지의 측면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고 생각하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성 지향성이 본인의 의식이나 자각과는 상관없이 개인의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성향이라면, 성 정체성은 그러한 성 지향성을 개인적으로 의식하고 자각하고 자신을 그렇게 규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나는 이성애자야," "나는 동성애자야"라고 의식하고 규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이 성 정체성인 것이다. 성 지향성이 본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지는 것이라면 성 정체성은 본인의 인식이나 의지가 동원되는 선택적 행위이다.
*동성애(homosexuality): 동성애란 성 지향성 (sexual orientation)이 자신과 같은 성향의 사람에게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동성애는 동성을 향한 지속적인 감정적, 정서적, 신체적, 성적 끌림을 수반한다. 즉 단순히 동성과의 성 경험이 있다거나 동성과의 성행위 자체를 동성애라고 할 수는 없다. 다시 이야기하면 동성이나 이성과의 개인적인 성적 경험이 반드시 그를 혹은 그녀를 동성애자 또는 이성애자로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동성애자임에도 불구하고 이성과 성적인 경험을 할 수도 있고, 이성애자임에도 동성과 성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어떤 동성애자들은 자신의 성향을 고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성과의 성적인 경험을 갖기도 한다. 그리고 군대, 교도소, 기숙사 등의 이성과 차단된 환경에서 이성애자들이 경험하는 동성과의 성 접촉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성 지향성을 무시한 채 동성과의 성행위 자체를 동성애로 부르는 것은 '동성애'와 '동성연애'의 개념 차이를 무시하는 일이 된다.
*동성연애 (same-sex acts): 대중 매체에서 동성애 문제를 다룰 때 '동성애'와 '동성연애'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상은 동성애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기인하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동성애를 바라보는 태도의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성연애'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동성과의 어떤 성적인 경험 내지는 성행위를 전제로 한다. 동성애를 삶 자체로 보기보다는 삶의 어떤 선택적인 경험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성애는 변태 아니면 이성과의 섹스에 싫증난 사람들의 도착적인 행위이거나 노력만 하면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는 도덕적인 일탈행위로 치부된다. 동성연애라는 말속에는 동성애를 치료 가능한 정신질환의 일종이나 타락한 인간들의 행태,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간주하려는 시각이 담겨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은 동성애와 동성연애를 구별한다. 그들에게 있어서 동성애는 행위의 문제가 아니라 존재의 문제이다. 이성애자와 마찬가지로 동성애자 중에는 동성과 성적인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물론 그들이 나중에 동성의 파트너와 섹스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존재에 수반하는 행위로서 기본적으로 이성애자인 사람이 이성을 사귀고 성행위를 하는 것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커밍-아웃: 커밍-아웃(coming-out)은 "come out of closet"에서 유래한 말로서 동성애자들이 자신의 성 지향성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closet은 "벽장"이라는 뜻인데, 서구에서는 동성애자가 자신의 성 지향성을 숨기고 살아가는 것을 벽장 속에서 숨어있는 것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동성애자가 자신의 성 지향성을 드러내는 일은 "벽장 속에서 나오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커밍-아웃은 자신의 성 지향성을 인정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동성애자임을 인정하고 긍정하는 것도 커밍-아웃이 되며, 동성애 집단이나 동성애자에게 자신의 성향을 드러내는 것도 커밍-아웃이고, 가족이나 동료, 직장, 학교 등에서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드러내는 것도 커밍-아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homophobia)는 동성애공포증을 뜻한다. 동성애공포증이란 동성애나 동성애자에 대한 비이성적인 막연한 두려움, 억압, 그리고 혐오를 가지고, 그러한 감정을 기반으로 동성애나 동성애자에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동성애공포증은 이성애자들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동성애자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영향과 그 동안 받은 교육 등으로 인해 동성애공포증을 가질 수 있다. 이 호모포비아의 가장 큰 원인은 동성애에 관한 제대로 된 정보나 실체를 접하지 못한데서 오는, 익숙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심리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성 지향성(sexual orientation): 성 지향성이란 자신이 어떤 성의 사람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동성애자란 자신과 같은 성의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성적으로 신체적으로 끌리는 성 지향성을 지닌 사람들을 말한다. 반대로 이성애자는 자신의 성과는 반대되는 성의 사람에게 끌리는 성 지향성을 가진 사람들을 뜻한다.
개인적인 성 지향성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이나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선천적으로 타고난다고 설명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개인이 자라난 환경적 요인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이 두 요소의 상호작용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든지 성지향성은 아주 어릴 때, 자신도 인식하기 전에 확립된다고 보고 있다. 즉 이성애 성향이던, 동성애 성향이던 성 지향성은 개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성 정체성이란 자신이 성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누구에게 끌리는지의 측면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고 생각하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성 지향성이 본인의 의식이나 자각과는 상관없이 개인의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성향이라면, 성 정체성은 그러한 성 지향성을 개인적으로 의식하고 자각하고 자신을 그렇게 규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나는 이성애자야," "나는 동성애자야"라고 의식하고 규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이 성 정체성인 것이다. 성 지향성이 본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지는 것이라면 성 정체성은 본인의 인식이나 의지가 동원되는 선택적 행위이다.
*동성애(homosexuality): 동성애란 성 지향성 (sexual orientation)이 자신과 같은 성향의 사람에게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동성애는 동성을 향한 지속적인 감정적, 정서적, 신체적, 성적 끌림을 수반한다. 즉 단순히 동성과의 성 경험이 있다거나 동성과의 성행위 자체를 동성애라고 할 수는 없다. 다시 이야기하면 동성이나 이성과의 개인적인 성적 경험이 반드시 그를 혹은 그녀를 동성애자 또는 이성애자로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동성애자임에도 불구하고 이성과 성적인 경험을 할 수도 있고, 이성애자임에도 동성과 성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어떤 동성애자들은 자신의 성향을 고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성과의 성적인 경험을 갖기도 한다. 그리고 군대, 교도소, 기숙사 등의 이성과 차단된 환경에서 이성애자들이 경험하는 동성과의 성 접촉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성 지향성을 무시한 채 동성과의 성행위 자체를 동성애로 부르는 것은 '동성애'와 '동성연애'의 개념 차이를 무시하는 일이 된다.
*동성연애 (same-sex acts): 대중 매체에서 동성애 문제를 다룰 때 '동성애'와 '동성연애'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상은 동성애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기인하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동성애를 바라보는 태도의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성연애'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동성과의 어떤 성적인 경험 내지는 성행위를 전제로 한다. 동성애를 삶 자체로 보기보다는 삶의 어떤 선택적인 경험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성애는 변태 아니면 이성과의 섹스에 싫증난 사람들의 도착적인 행위이거나 노력만 하면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는 도덕적인 일탈행위로 치부된다. 동성연애라는 말속에는 동성애를 치료 가능한 정신질환의 일종이나 타락한 인간들의 행태,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간주하려는 시각이 담겨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은 동성애와 동성연애를 구별한다. 그들에게 있어서 동성애는 행위의 문제가 아니라 존재의 문제이다. 이성애자와 마찬가지로 동성애자 중에는 동성과 성적인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물론 그들이 나중에 동성의 파트너와 섹스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존재에 수반하는 행위로서 기본적으로 이성애자인 사람이 이성을 사귀고 성행위를 하는 것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커밍-아웃: 커밍-아웃(coming-out)은 "come out of closet"에서 유래한 말로서 동성애자들이 자신의 성 지향성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closet은 "벽장"이라는 뜻인데, 서구에서는 동성애자가 자신의 성 지향성을 숨기고 살아가는 것을 벽장 속에서 숨어있는 것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동성애자가 자신의 성 지향성을 드러내는 일은 "벽장 속에서 나오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커밍-아웃은 자신의 성 지향성을 인정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동성애자임을 인정하고 긍정하는 것도 커밍-아웃이 되며, 동성애 집단이나 동성애자에게 자신의 성향을 드러내는 것도 커밍-아웃이고, 가족이나 동료, 직장, 학교 등에서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드러내는 것도 커밍-아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homophobia)는 동성애공포증을 뜻한다. 동성애공포증이란 동성애나 동성애자에 대한 비이성적인 막연한 두려움, 억압, 그리고 혐오를 가지고, 그러한 감정을 기반으로 동성애나 동성애자에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동성애공포증은 이성애자들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동성애자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영향과 그 동안 받은 교육 등으로 인해 동성애공포증을 가질 수 있다. 이 호모포비아의 가장 큰 원인은 동성애에 관한 제대로 된 정보나 실체를 접하지 못한데서 오는, 익숙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심리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역할, 성차별, 성차이
[광고표현][여성역할]광고표현과 여성역할 및 향후 과제 분석(광고메시지의 의의와 종류, 산...
유아기 사회정서발달 - 정서의 발달, 놀이, 성역할, 성역할발달의 이론, 성역할발달과 영향요...
유아기는 성역할 개념의 습득이 활발한 시기입니다. 성역할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
여성상품화, 성상품화사례,광고속성상품화,TV광고속성상품,남녀성역할
[영유아발달] 유아기 성역할 발달(性役割發達) - 성역할 이론(생물학적 결정론,정신분석이론,...
[성고정관념] 성 고정관념 - 남성성과 여성성(성집중화현상, 성차별), 성역할 스트레스(남성...
[성역할발달] 아동의 성역할 발달(성역할발달이론 - 정신분석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이...
[아동기 성역할발달] 아동의 성역할 발달(성유형화, 성역할발달과 가족의 영향, 사회성과 성...
[유아기 성발달] 유아기 성역할 발달(성역할 발달이론, 유아기 성역할의 형성과정) - 유아의 ...
[청소년의 성역할 발달] 청소년기 성역할의 의미와 변화, 청소년 성역할발달의 영향요인, 성 ...
[성역할의 변화] 양성적 성역할, 평등주의적 성역할
[성역할] 성역할의 개념(사회심리학적인 성, 성역할개념, 남성성과 여성성, 양성성, 성역할에...
[가족생활교육과 성역할] 성역할 문제의 전제와 가정 가족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 가족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