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넘어지는 법
일어서는 법
오르는 법
(1) 사등행(side stepping)
(2) V자 등행(herringbone stepping)
방향전환(1) 스타 턴(star turn)
(2) V자 턴(herringbone turn)
(3) 킥 턴(kick turn)
활강의 자세
플루그 보겐(pflug bogen)
(1) 기초과정
(2) 중간 과정
(3) 고급 과정
슈템 보겐(stemm bogen)
패럴랠 턴(parallel turn)
(1) 업 패럴렐 턴
(2) 다운 패럴렐 턴
넘어지는 법
일어서는 법
오르는 법
(1) 사등행(side stepping)
(2) V자 등행(herringbone stepping)
방향전환(1) 스타 턴(star turn)
(2) V자 턴(herringbone turn)
(3) 킥 턴(kick turn)
활강의 자세
플루그 보겐(pflug bogen)
(1) 기초과정
(2) 중간 과정
(3) 고급 과정
슈템 보겐(stemm bogen)
패럴랠 턴(parallel turn)
(1) 업 패럴렐 턴
(2) 다운 패럴렐 턴
본문내용
면이 설면에 평행하게 놓여 있을 때 무릎과 어깨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스키의 방향이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후의 동작은 스템 턴의 패럴렐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2) 다운 패럴렐 턴
다운 패럴렐 턴은 우수한 스키어들이 주로 사용하지만 기술을 구사하는 방법이 업 동작으로 턴을
시작하는 것보다 쉽다. 기술이 쉬움에도 불구하고 우수 스키어들이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설질이 좋은 상태에서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서 빨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운 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다리를 펴고 몸을 업 시키면서 준비한다. 이 때 인체 중심은 산쪽 스키에 있다. 엉덩이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이고 계곡쪽의 폴을 짚는다. 이와 동시에 무릎을 구부리면서 회전하는 중심방향으로 돌리고 엉덩이와 어깨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린다. 이 때 내측
스키는 외측 스키보다 약간 앞에 나온 자세이다. 외측 스키에 힘을 많이 가하고 보디 앵귤레이션을 계속 유지하여 턴을 실시하고 이후의 턴을 조정하는 단계는 업 동작으로 실시할 때와 같다.
패럴렐 턴을 처음 배우는 사람은 패럴렐 업힐 턴을 먼저 습득하는 것이 좋다. 패럴렐 업힐 턴은 폴 라인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기술로서 활주를 멈추거나 패럴렐 턴을 배우기 위한 준비 단계로 이용한다.
패럴렐 업힐 턴을 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산쪽(업힐)으로 턴하는 기술을 익힌 다음 스템 단계를 줄이면 가능하다. 즉, 턴하는 동안 스키를 항상 나란히 두고 탄다. 처음에는 스키 간격을 어깨 정도로 넓힌 오픈 스탠스로 취하고 사활강을 실시하다가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뱅킹시킨다. 두 무릎을 앞으로 내민 채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때 엉덩이와 상체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인다. 외측 스키에 많은 힘을 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디 앵귤레이션을 취한다. 무릎에 계속 힘을 가하여 턴을 조정하고 멈추기 위해서는 엣지를 좀 더 많이 가하면서 무릎을 산쪽으로 많이 구부리면 된다.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을 익히면 점차 경사가 가파른 곳에서 연습하고 최종적으로 스톱 스윙(stop swing)을 실시한다. 스톱 스윙은 패러렐 업힐 턴의 응용 동작으로서 폴 라인을 따라 활주하다가 아주 빨리 폴 라인과 직각으로 스키를 옮겨 멈춰 스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 보다 무릎을 빨리 구부리면서 다운 동작을 실시하는 점과 상체를 계곡쪽으로 계속 향하게 하고 다리를 폴 라인과 수직이 되게 빨리 옮기는 점이 다르다.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을 익힌 다음 패럴렐 턴을 실시하며 처음에는 오픈 스탠스를 취한 오픈 패럴렐 턴을 실시하도록 한다. 오픈 자세에 익숙해지면 점차 스키의 간격을 좁혀서 클로즈드 패럴렐 턴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클로즈드 패럴렐 턴에서는 스키의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몸을 기울이는 뱅킹 동작을 정확히 실시하도록 유의한다. 그리고, 턴의 시작 단계에서 업 또는 다운 동작과 폴을 짚는 동작을 정확하게 실시하지 못하면 턴하기가 어렵게 된다.
(2) 다운 패럴렐 턴
다운 패럴렐 턴은 우수한 스키어들이 주로 사용하지만 기술을 구사하는 방법이 업 동작으로 턴을
시작하는 것보다 쉽다. 기술이 쉬움에도 불구하고 우수 스키어들이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설질이 좋은 상태에서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서 빨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운 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다리를 펴고 몸을 업 시키면서 준비한다. 이 때 인체 중심은 산쪽 스키에 있다. 엉덩이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이고 계곡쪽의 폴을 짚는다. 이와 동시에 무릎을 구부리면서 회전하는 중심방향으로 돌리고 엉덩이와 어깨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린다. 이 때 내측
스키는 외측 스키보다 약간 앞에 나온 자세이다. 외측 스키에 힘을 많이 가하고 보디 앵귤레이션을 계속 유지하여 턴을 실시하고 이후의 턴을 조정하는 단계는 업 동작으로 실시할 때와 같다.
패럴렐 턴을 처음 배우는 사람은 패럴렐 업힐 턴을 먼저 습득하는 것이 좋다. 패럴렐 업힐 턴은 폴 라인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기술로서 활주를 멈추거나 패럴렐 턴을 배우기 위한 준비 단계로 이용한다.
패럴렐 업힐 턴을 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산쪽(업힐)으로 턴하는 기술을 익힌 다음 스템 단계를 줄이면 가능하다. 즉, 턴하는 동안 스키를 항상 나란히 두고 탄다. 처음에는 스키 간격을 어깨 정도로 넓힌 오픈 스탠스로 취하고 사활강을 실시하다가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뱅킹시킨다. 두 무릎을 앞으로 내민 채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때 엉덩이와 상체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인다. 외측 스키에 많은 힘을 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디 앵귤레이션을 취한다. 무릎에 계속 힘을 가하여 턴을 조정하고 멈추기 위해서는 엣지를 좀 더 많이 가하면서 무릎을 산쪽으로 많이 구부리면 된다.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을 익히면 점차 경사가 가파른 곳에서 연습하고 최종적으로 스톱 스윙(stop swing)을 실시한다. 스톱 스윙은 패러렐 업힐 턴의 응용 동작으로서 폴 라인을 따라 활주하다가 아주 빨리 폴 라인과 직각으로 스키를 옮겨 멈춰 스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 보다 무릎을 빨리 구부리면서 다운 동작을 실시하는 점과 상체를 계곡쪽으로 계속 향하게 하고 다리를 폴 라인과 수직이 되게 빨리 옮기는 점이 다르다.
기본적인 패럴렐 업힐 턴을 익힌 다음 패럴렐 턴을 실시하며 처음에는 오픈 스탠스를 취한 오픈 패럴렐 턴을 실시하도록 한다. 오픈 자세에 익숙해지면 점차 스키의 간격을 좁혀서 클로즈드 패럴렐 턴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클로즈드 패럴렐 턴에서는 스키의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몸을 기울이는 뱅킹 동작을 정확히 실시하도록 유의한다. 그리고, 턴의 시작 단계에서 업 또는 다운 동작과 폴을 짚는 동작을 정확하게 실시하지 못하면 턴하기가 어렵게 된다.
추천자료
스포츠 지도자의 전문성 탐구 (스포츠지도자)
전략적 제휴- 동계스키갬프와 리조트 사례 중심으로
스포츠 종목별 스포츠 마사지 방법에 관한 조사
스노우 보드, 동계스포츠, 레저스포츠, 강습
[장애인스포츠][장애인체육]장애인스포츠(장애인체육) 개념과 장애별 사례 및 발전방안(장애...
[스포츠]미래스포츠산업
일반인의 스키운동상해실태
수상스포츠 종류, 사례, 개념, 특징, 안전법, 유래, 현황, 분석, 시사점, 문제점, 나아갈 방...
-Sporting goods company, KOLON SPORT,코오롱 스포츠,스포츠기업,코오롱,기업분석,기업마케...
레저스포츠 (지상 레저스포츠, 수상 레저스포츠, 항공 레저스포츠, 신종 레저스포츠)
[관광학] 스키리조트 “국내 하이원리조트(High1 Resort) 일본 토마무리조트(Alpha Resort Tom...
[관광학]스키리조트 한국 하이원리조트와 일본 토마무리조트 비교분석
[장애인스포츠]장애인스포츠 종목 중 본인이 자세히 알고 싶은 종목을 선택해 소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