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사법 (장소: 강습장)
2. 장비점검 및 장비설명
3. 라이딩 스타일 & 스탠스
4. 슬로프에서 지켜야할 에티켓
5. 장비착용과 기본자세 : stance & balance ( BBP- basic body position )
6. walking, climbing, straight running
7. 사이드 슬리핑(side slipping)
8. 팬듈럼(pendulum)
9. 트레버싱(traversing)
10. 갈란드(Garlands)
11. 비기너 턴(biginner turn)
12. 너비스턴(novice turn)
13. 강습의 마무리
2. 장비점검 및 장비설명
3. 라이딩 스타일 & 스탠스
4. 슬로프에서 지켜야할 에티켓
5. 장비착용과 기본자세 : stance & balance ( BBP- basic body position )
6. walking, climbing, straight running
7. 사이드 슬리핑(side slipping)
8. 팬듈럼(pendulum)
9. 트레버싱(traversing)
10. 갈란드(Garlands)
11. 비기너 턴(biginner turn)
12. 너비스턴(novice turn)
13. 강습의 마무리
본문내용
수 있도록 상체를 약간 앞으로 기울여 줍니다. 만약 이때 체중이 뒤로 가면 꽈당~ 하고 넘어집니다. 보드의 흘러가는 속도가 본인이 느끼기에 빠른 것 같으면 가속이 붙기 전에 시선, 어깨, 골반을 동시에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주면서 무릎을 구부려 줍니다. 보드가 원 위치로 돌아가서 다시 사이드 슬리핑자세가 되면 발목을 들어 힐 엣지로 눈을 지그시 눌러주면서 보드를 정지시킵니다. 힐사이드 사이드슬리핑 상태에서 갈란드가 되었으면 다음은 토우사이드 사이드슬리핑 자세로 갈란드를 시작합니다. 기본자세를 취하고 체중을 앞의 발에 실리게 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상체를 천천히 돌립니다. 그러면 보드가 돌아가면서 흘러갑니다. 이때 주의 할 점은 보드가 흘러가기 전에 급하게 뒤를 돌아보면 보드의 진행 방향과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바로 넘어지게 됩니다. 보드가 움직이면 초보자들은 몸을 뒤로 빼는데 몸무게가 앞의 발에 계속해서 실릴 수 있도록 기본자세를 유지시켜야 합니다. 보드가 폴라인을 향해 흘러가기 시작하면 가속이 되기전에 다시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토우사이드 슬리핑 자세가 되면 뒤꿈치를 들어올리고 무릎을 구부려 정지를 시킵니다. 정지 할 때는 약간 앞으로 넘어질 듯이 몸을 기울여 줍니다.
check point
- 체중이동과 로테이션
11. 비기너 턴(biginner turn)
목적
- 처음 턴 시작하는 것.
기술설명
- 정확한 보드의 컨트롤이 된 상태에서 시작해야한다.
강습요령
- 이 전까지 배운 사이드 슬리핑, 팬듈럼, 트레버싱, 갈란데는 턴을 배우기 위한 기본훈련과정 이었습니다. 이제부터 진정한 보더로 턴을 만들어 가는 것을 배우겠습니다. 턴의 기본은 무게중심 이동 이론입니다. 만약 몸이 오른쪽으로 쏠린 상태로 내려가다가 왼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면 왼쪽으로 턴이됩니다. 먼저 기본자세를 합니다. 사이드 슬리핑후 트레버싱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머리 팔 어깨 몸통 순서로 자연스럽게 180턴을 합니다. 그리고 기다리면 보드가 자연스럽게 몸을 따라 돌아옵니다. 그 후 트레버싱을 합니다. 다시 사이드 슬리핑을 하고 머리 팔 어깨 몸통 순서로 다시180턴을 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시선이 절대 아래로 떨어지면 안된다는 것과 보드가 따라 돌아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입니다. 힐사이드 턴은 약간 뒤로 넘어간 듯한 느낌으로 토우사이드 턴은 앞쪽으로 기운 듯한 느낌으로 타야됩니다.
check point
- 상체로테이션과 시선의 고정
- 그리고 턴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
12. 너비스턴(novice turn)
목적
- 업다운의 추가로 부드럽고 자연스런 턴을 한다.
기술설명
- 업다운이 확실히 보이도록 한다.
강습요령
- 이제 여러분은 업다운의 추가로 마음대로 보드의 강약 턴의 크기 및 모든 것 조정하고 업으로 힘을 빼고 다운으로 보드를 누르는 턴을 할 것입니다. 항상 기본은 앞의 발에 몸무게를 80%정도 실어주고 스타트를 하여야 합니다. 속력이 붙어 겁이 나도 이 자세는 유지하여야 합니다. 보드가 흘러가기 시작하면 무릎을 구부려서 무게중심을 낮추어 줍니다. 이때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등을 바로 세워 주어야 합니다. 이것을 다운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엣지가 미끄러지지 않고 눈을 파고들면서 효과적으로 턴을 할 수 있습니다. 무릎을 구부리면 압력이 엣지에 가해지면서 가속이 붙는데 초보자들은 몸을 뒤로 빼거나 주저앉습니다. 이 단계에서 자신있게 밀고 나가야 다음 단계에서 일어나 업을 하면서 몸무게를 이동시키면 완전한 턴이 되는데 대부분 이 단계를 힘들어합니다. 어쨌거나 무릎을 구부려서 가속이 되면 턴을 하기 전에 몸을 서서히 세워주면서 엣지에 가했던 압력을 풀어줍니다. 몸을 바로 세워서 보드가 베이스전체로 아래를 향해 흘러가게 되면 고개를 천천히 돌려 가고자 하는 방향을 보고, 몸을 처음과는 반대로 누이면서 다시 다운을 시작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무게중심을 반대로 옮길 때 보드는 반드시 폴라인을 따라 아래를 향하고 보드의 베이스는 슬로프 바닥과 평행으로 흘러가 어느 쪽의 엣지도 눈을 잡지 말아야 합니다.
check point
- 업다운이 정확히 적당한 시기에 들어갔는지.
13. 강습의 마무리
목적
- 목표로 정한 초심자의 기본턴 동작까지의 교육이 끝났음을 알린다.
- 지도한 강습내용들을 숙지시킨다.
- 차후에 고객혼자서도 즐거운 라이딩이 되도록 지도한다.
- 정리운동을 통해 부상을 방지한다.
check point
- 체중이동과 로테이션
11. 비기너 턴(biginner turn)
목적
- 처음 턴 시작하는 것.
기술설명
- 정확한 보드의 컨트롤이 된 상태에서 시작해야한다.
강습요령
- 이 전까지 배운 사이드 슬리핑, 팬듈럼, 트레버싱, 갈란데는 턴을 배우기 위한 기본훈련과정 이었습니다. 이제부터 진정한 보더로 턴을 만들어 가는 것을 배우겠습니다. 턴의 기본은 무게중심 이동 이론입니다. 만약 몸이 오른쪽으로 쏠린 상태로 내려가다가 왼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면 왼쪽으로 턴이됩니다. 먼저 기본자세를 합니다. 사이드 슬리핑후 트레버싱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머리 팔 어깨 몸통 순서로 자연스럽게 180턴을 합니다. 그리고 기다리면 보드가 자연스럽게 몸을 따라 돌아옵니다. 그 후 트레버싱을 합니다. 다시 사이드 슬리핑을 하고 머리 팔 어깨 몸통 순서로 다시180턴을 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시선이 절대 아래로 떨어지면 안된다는 것과 보드가 따라 돌아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입니다. 힐사이드 턴은 약간 뒤로 넘어간 듯한 느낌으로 토우사이드 턴은 앞쪽으로 기운 듯한 느낌으로 타야됩니다.
check point
- 상체로테이션과 시선의 고정
- 그리고 턴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
12. 너비스턴(novice turn)
목적
- 업다운의 추가로 부드럽고 자연스런 턴을 한다.
기술설명
- 업다운이 확실히 보이도록 한다.
강습요령
- 이제 여러분은 업다운의 추가로 마음대로 보드의 강약 턴의 크기 및 모든 것 조정하고 업으로 힘을 빼고 다운으로 보드를 누르는 턴을 할 것입니다. 항상 기본은 앞의 발에 몸무게를 80%정도 실어주고 스타트를 하여야 합니다. 속력이 붙어 겁이 나도 이 자세는 유지하여야 합니다. 보드가 흘러가기 시작하면 무릎을 구부려서 무게중심을 낮추어 줍니다. 이때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등을 바로 세워 주어야 합니다. 이것을 다운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엣지가 미끄러지지 않고 눈을 파고들면서 효과적으로 턴을 할 수 있습니다. 무릎을 구부리면 압력이 엣지에 가해지면서 가속이 붙는데 초보자들은 몸을 뒤로 빼거나 주저앉습니다. 이 단계에서 자신있게 밀고 나가야 다음 단계에서 일어나 업을 하면서 몸무게를 이동시키면 완전한 턴이 되는데 대부분 이 단계를 힘들어합니다. 어쨌거나 무릎을 구부려서 가속이 되면 턴을 하기 전에 몸을 서서히 세워주면서 엣지에 가했던 압력을 풀어줍니다. 몸을 바로 세워서 보드가 베이스전체로 아래를 향해 흘러가게 되면 고개를 천천히 돌려 가고자 하는 방향을 보고, 몸을 처음과는 반대로 누이면서 다시 다운을 시작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무게중심을 반대로 옮길 때 보드는 반드시 폴라인을 따라 아래를 향하고 보드의 베이스는 슬로프 바닥과 평행으로 흘러가 어느 쪽의 엣지도 눈을 잡지 말아야 합니다.
check point
- 업다운이 정확히 적당한 시기에 들어갔는지.
13. 강습의 마무리
목적
- 목표로 정한 초심자의 기본턴 동작까지의 교육이 끝났음을 알린다.
- 지도한 강습내용들을 숙지시킨다.
- 차후에 고객혼자서도 즐거운 라이딩이 되도록 지도한다.
- 정리운동을 통해 부상을 방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