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레크레이션이란
2.프로그램의 진행
3.진행의 실제
<참고자료>
2.프로그램의 진행
3.진행의 실제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시작>이라는 말까지 모두 8박자만 불러 준다.
예를 들면 애국가인 경우 " 동해물과 하라, 둘, 시작"
" 송아지 하나, 둘, 시작"
" 바람 부는 날이면 하나, 둘, 시작"
(9) 동작을 요구할 때는 명령으로 한다.
동작에 대한 방법을 알려 줄 때는 존댓말을 하고 동작을 요구 할 때는
명령으로 한다. 관중들의 대상이 연령이 높거나 직책이 높을 경우라도
그렇게 한다.
(예) 양손을 올리는 겁니다. < 전체 양손 올려! >
앞으로 가는 겁니다. < 전체 앞으로 갓! >
방법 알려 줄 때 동작 실시 할 때
(10) 노래를 따라 부르게 할 때 관중의 노래 소리가 약하면 다시 시작하라.
지도자가 새로운 노래를 지도할 때 다 알고 있는 노래를 지도자가
선정하여 모두가 따라 부를 경우 대개는 소리가 약하고 엉성하게
부르게 된다. 이때 지도자는 방금 따라 부른 노래를 바보처럼 흉내낸 뒤
핀잔을 주는 척 하고 다시 부르게 하면 다 같이 큰 소리로 부르게 된다.
(11) 모든 사람의 참여를 유도할 때는 옆 사람을 건드리게 한다.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옆에 앉자 있을 때는 프로그램 지도에 응하는 것을
수줍어하게 된다.
이럴 때는 서로 어깨 두드리거나 안마하기, 함께 손뼉치기 등을 유도하여 부드러운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12) 지도하는 도중 몇몇 사람이 따라하지 않을 경우 지도자가 손뼉을 치도록
하였으나 어떤 사람이 치지 않을 경우 그 사람을 중심으로 앞에서부터
뒤로 번호를 부르게 하며 바로 손뼉 안 친 사람이 번호를 부를 때
그 사람을 그 자리에서 일어서게 한다. 그렇게 하면 모든 사람의
시선이 집중된다. 이 때 그 사람에게 손뼉을 한번 쳐보라고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은 분명히 손뼉을 칠 것이다.
그 때 지도자는 "네, 잘 치시는군요. 됐습니다. 자리에 앉으십시오
하면 그 사람도 다행으로 생각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웃음이 나오게 된다.
그 후 지도자가 다시 손뼉을 치게 하면 전원이 잘 치게 된다.
(13) 잘난체하며 큰 소리쳐서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드는 경우 그 즉시
그 사람의 말을 무시하고 진행을 하면 된다.
또한 리더쉽이 있고 교양 있는 사람이 그럴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미소도 지어주고 질문도 해 주고 시선을 집중해 주면 잘 따라온다.
이럴 때 시범팀으로 나와 팀장을 시켜 보기도 한다.
이렇게 행동하는 사람들의 속셈은 바로 자기 자신 좀 알아달라고 하는
것이니까 그 대상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처리하면 된다.
(14) 지도자는 얼굴에 철판을 깔아야 한다.
지도자는 임기응변으로 순간 순간을 유모스럽게 넘겨야한다.
(15) 잘 모르는 새로운 노래, 놀이, 율동을 지도해야 할 경우는 솔직하게
잘 모른다고 이야기하고 지도하라.
(16) 모든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는 항상 자료를 아껴서 진행하라.
또한 지도자 자신은 항상 남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람이라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
참고자료
이경렬 저 실내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실외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특수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김경태 저 게임지도 삼호출판사 1989
예를 들면 애국가인 경우 " 동해물과 하라, 둘, 시작"
" 송아지 하나, 둘, 시작"
" 바람 부는 날이면 하나, 둘, 시작"
(9) 동작을 요구할 때는 명령으로 한다.
동작에 대한 방법을 알려 줄 때는 존댓말을 하고 동작을 요구 할 때는
명령으로 한다. 관중들의 대상이 연령이 높거나 직책이 높을 경우라도
그렇게 한다.
(예) 양손을 올리는 겁니다. < 전체 양손 올려! >
앞으로 가는 겁니다. < 전체 앞으로 갓! >
방법 알려 줄 때 동작 실시 할 때
(10) 노래를 따라 부르게 할 때 관중의 노래 소리가 약하면 다시 시작하라.
지도자가 새로운 노래를 지도할 때 다 알고 있는 노래를 지도자가
선정하여 모두가 따라 부를 경우 대개는 소리가 약하고 엉성하게
부르게 된다. 이때 지도자는 방금 따라 부른 노래를 바보처럼 흉내낸 뒤
핀잔을 주는 척 하고 다시 부르게 하면 다 같이 큰 소리로 부르게 된다.
(11) 모든 사람의 참여를 유도할 때는 옆 사람을 건드리게 한다.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옆에 앉자 있을 때는 프로그램 지도에 응하는 것을
수줍어하게 된다.
이럴 때는 서로 어깨 두드리거나 안마하기, 함께 손뼉치기 등을 유도하여 부드러운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12) 지도하는 도중 몇몇 사람이 따라하지 않을 경우 지도자가 손뼉을 치도록
하였으나 어떤 사람이 치지 않을 경우 그 사람을 중심으로 앞에서부터
뒤로 번호를 부르게 하며 바로 손뼉 안 친 사람이 번호를 부를 때
그 사람을 그 자리에서 일어서게 한다. 그렇게 하면 모든 사람의
시선이 집중된다. 이 때 그 사람에게 손뼉을 한번 쳐보라고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은 분명히 손뼉을 칠 것이다.
그 때 지도자는 "네, 잘 치시는군요. 됐습니다. 자리에 앉으십시오
하면 그 사람도 다행으로 생각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웃음이 나오게 된다.
그 후 지도자가 다시 손뼉을 치게 하면 전원이 잘 치게 된다.
(13) 잘난체하며 큰 소리쳐서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드는 경우 그 즉시
그 사람의 말을 무시하고 진행을 하면 된다.
또한 리더쉽이 있고 교양 있는 사람이 그럴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미소도 지어주고 질문도 해 주고 시선을 집중해 주면 잘 따라온다.
이럴 때 시범팀으로 나와 팀장을 시켜 보기도 한다.
이렇게 행동하는 사람들의 속셈은 바로 자기 자신 좀 알아달라고 하는
것이니까 그 대상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처리하면 된다.
(14) 지도자는 얼굴에 철판을 깔아야 한다.
지도자는 임기응변으로 순간 순간을 유모스럽게 넘겨야한다.
(15) 잘 모르는 새로운 노래, 놀이, 율동을 지도해야 할 경우는 솔직하게
잘 모른다고 이야기하고 지도하라.
(16) 모든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는 항상 자료를 아껴서 진행하라.
또한 지도자 자신은 항상 남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람이라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
참고자료
이경렬 저 실내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실외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특수놀이지도 정훈 출판사 1992
김경태 저 게임지도 삼호출판사 1989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아기의 도덕성 ...
유치원에 자폐유아 포용하기
[유아사회교육]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
(유아사회교육B형)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유아사회교육B형]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
유치원교육 계획 및 운영에 대한 모든것(통합,장애유아통합,전통문화교육)
대인관계 향상, 식습관 등 영유아 생활지도에 도움이 되는 그림책 3권을 선정하고 선정된 이...
발문의 정의 및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내가 유치원 교사(만5세 담당)라면 어떤 발문을 선택하...
유치원 교육과정(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과 유아미술교육과정 내용체계
유치원 교직문화의 교육적 환경- 가르치는 일인가 돌보는 일인가, 심리학적 배경이 강한 유아...
영유아교육프로그램- 구성주의호원대부속유치원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보육·교육 시설 평가 _ 유치원 평가(유치원 평가요소 및 평가...
유아교육학과 유치원 실습 소감문
(유아기 호흡기질환) 유아기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기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