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편전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편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1차 아편전쟁(1840∼1842)
1. 아편전쟁의 배경
1) 광동무역(廣東貿易)
2) 中·英 관계
3) 아편의 유입
4) 아편의 성행으로 인한 결과
5) 청의 아편 정책
2. 아편전쟁의 발발과 전개
1) 영국의 국내사정
2) 대립의 격화와 전쟁의 도화선인 임유희 사건
3) 양국의 전쟁준비
① 영국의 전쟁준비
② 중국의 전쟁준비
4) 아편 전쟁의 전개
3. 청조의 패배원인
4. 전후 처리문제
1) 남경(南京)조약의 체결
2) 왕샤조약[望厦條約]의 체결
3) 황푸조약[黃織條約]의 체결
5. 아편전쟁의 영향 7
1) 정치적 영향
2) 경제적 영향
3) 문화적 영향
6. 남겨진 문제

Ⅲ. 제2차 아편전쟁(1856∼1860)
1. 제2차 아편전쟁의 배경
1) 개방되지 않은 중국시장
2) 조약개정 요구
2. 제2차 아편전쟁과 천진(天津)조약
1) 애로우호 사건
2) 英·佛 연합군
3) 천진조약(天津條約)
3. 전쟁의 재발과 북경조약 체결
1) 두 번째 무력충돌
2) 북경조약(北京條約)
4. 제2차 아편전쟁의 영향

본문내용

의 영향
제2차 아편전쟁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점은 다양하다. 먼저 민족주의자들은 북경조약 체결 이후 수십 년 동안 이어진 서양 제국주의의 수탈과 관세자주권·치외법권·최혜국대우 등 주권에 관련된 조항들을 그대로 열강에게 양도한 무지하고 부패한 청조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주권을 빼앗기고 제국주의 수털의 시작이라고 지적했던 북경조약은 중국의 경제는 물론 대외관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첫째, 애로우전쟁의 결과 중국의 전통적인 조공체제가 붕괴되고, 천자의 권위는 다른 나라의 군주들과 동등한 위치로 격하되었다. 외교사절의 북경주재에 대한 서구열강의 요구는 중국의 전통적 권위와 조공체제를 명백히 손상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청조는 다른 요구조건은 양보하면서도 이것만은 수용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둘째, 중국의 전통적 체제는 禮에 기초하였다. 예는 좁은 의미에서는 의식이나 형식만을 지칭했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정부의 법·규범·사회제도·인간관계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었다. 그리하여 사회를 안정시키고 계층에 따른 신분을 명확히 구분하는 예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에게 지정된 계층적인 지위가 있었고 그 정점은 황제였다. 이와 같은 논리는 조공제도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었으므로 황제에 대한 복속이 아닌 평등한 외교관계가 전제되는 외국공사의 북경주재는 외적으로 조공제도를 붕괴시키고 내적으로는 禮에 입각한 유교질서에 혼란을 야기하는 큰 사건이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전통적 관념에 따르면 황제는 국가의 수장으로서 조상의 법통을 지키고 보존하여 후세에 물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었다.
셋째,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尙古思想에 입각하여 선대에 제정된 규범을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식이 팽배하였다. 그나마 강희제나 옹정제처럼 걸출한 황제들은 일부 전통을 개정하여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었지만, 함풍제와 같이 나약한 황제는 선대의 전통을 개정할 엄두조차도 내지 못하였다. 더욱이 소수민족인 滿人지배층은 그들의 위치에 불안을 느꼈다. 유교이념을 존중함으로써 높은 문화수준을 가진 漢人들을 간신히 회유하고 이들의 협조를 받았는데 서양이 침입하여 그와 같은 체제를 붕괴시키려고 하자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가 무너질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한인관료들은 그들의 전통적인 생활방식이 서양의 문물로 인하여 변질될 것을 우려하였다.
이와 같이 중국의 전통적이 조공제도나 유교주의, 문화 우월주의 및 이민족에 의한 통치 등 다양한 요인들이 중국과 서구열강 사이의 협상에 영향을 미였다. 서구열강은 당시 국내의 반란과 그것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는 청조의 무능을 파악하고 협상과 강압정책을 번갈아 적용하면서 절박한 청조의 사정을 이용하여 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조는 전통적 조공정책을 포기하고 북중국을 비롯하여 동북지역·대만, 그리고 양자강 유역 등 광범위하게 분포한 11개 이상의 개항장들을 추가로 개방하였다.
이제 중국의 국내교역에까지 외국인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모든 종류의 외국상품은 수입관세의 약 2.5%에 해당하는 통과세만 추가로 지불하면 내륙지역으로 유통될 수 있었다. 또한 아편도 정해진 세금을 내면 합법적으로 수입될 수 있게 되었고, 외국인이 해관에 稅務司로 임명될 수 있었고 통행증만 가지면 중국내륙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었으며 선교활동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를 겪으면서 중국과 타국과의 관계는 전통적인 조공관계가 아닌 근대적인 조약에 의한 국제관계로 전환되어 갔다.
《참고자료》
◈ 掘川哲男 저 / <중국근대사> / 삼지원 / 1996 / 27p.∼82p.
◈ 任桂淳 / <淸史> / 신서원 / 2001 / 339p.∼404p.
◈ 김희영 / <이야기중국사 3> / 청아출판사 / 1986.
◈ 尹乃鉉 / <중국사 2> / 서 울: 민음사 / 1992.
◈ 姬田光義 / <중국근현대사> / 서 울: 일월총서 / 1984.
◈ 小島晉治·丸山松幸 / <중국근현대사> / 서 울: 지식산업사 / 1988.
◈ http://www.kidclub.pe.kr/inchon/i_4/in2002_5_3.htm (아편전쟁 경과, 의의)
◈ http://kr.ks.yahoo.com/service/question_detail.php?queId=36263 (난징조약)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35007 (난징조약)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17344 (왕샤조약)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73989 (황푸조약)
◈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08284 (애로호사건)
◈ http://mtcha.com.ne.kr/world-term/china/term148-tenjinjoyag.htm (천진조약)
◈ http://mtcha.com.ne.kr/world-term/china/term56-beijingjoyag.htm (북경조약)
《목차》
Ⅰ. 서론 1
Ⅱ. 제1차 아편전쟁(1840∼1842)
1. 아편전쟁의 배경 1
1) 광동무역(廣東貿易)
2) 中·英 관계
3) 아편의 유입
4) 아편의 성행으로 인한 결과
5) 청의 아편 정책
2. 아편전쟁의 발발과 전개 4
1) 영국의 국내사정
2) 대립의 격화와 전쟁의 도화선인 임유희 사건
3) 양국의 전쟁준비
① 영국의 전쟁준비
② 중국의 전쟁준비
4) 아편 전쟁의 전개
3. 청조의 패배원인 6
4. 전후 처리문제 6
1) 남경(南京)조약의 체결
2) 왕샤조약[望厦條約]의 체결
3) 황푸조약[黃織條約]의 체결
5. 아편전쟁의 영향 7
1) 정치적 영향
2) 경제적 영향
3) 문화적 영향
6. 남겨진 문제 9
Ⅲ. 제2차 아편전쟁(1856∼1860)
1. 제2차 아편전쟁의 배경 10
1) 개방되지 않은 중국시장
2) 조약개정 요구
2. 제2차 아편전쟁과 천진(天津)조약 11
1) 애로우호 사건
2) 英·佛 연합군
3) 천진조약(天津條約)
3. 전쟁의 재발과 북경조약 체결 13
1) 두 번째 무력충돌
2) 북경조약(北京條約)
4. 제2차 아편전쟁의 영향 15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5.17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