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르트의 성장 배경과 과정
2) 바르트의 사상과 신학의 변천
2) 바르트의 사상과 신학의 변천
본문내용
피조물에게 주시는 지속적으로 주시는 "유지의 은혜"를 말한다. 인간은 그 영적인 삶 이외에도 자연적이고 역사적인 삶을 도외시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인간은 그의 삶과 사회 속에서 획득하는 모든 것, 세계를 유지하시는 하나님의 선물, 곧 "하나님의 보존의 은혜"에 참여하게 된다. 이 유지의 은혜가 필요한 이유는 "모든 인간이 범죄에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볼 때, 브루너가 자연과 은총을 동등하게 보고자 한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하여 바르트는 즉각적으로 "아니다(Nein !)"라고 대답한다. 인간이 자신의 구원을 위해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면, 자연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그 지식은 사실상 인간이 만들어 낸 초월적 환상뿐이라는 것이다. 즉 바르트는 브루너의 이러한 생각은 비성서적이요, 독성이 있는 아퀴나스의 카톨릭적인 것으로 반 종교개혁적인 적그리스도의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그렇다면 그 처럼 철저하게 하나님의 형상이 파괴되었다면, 어떻게 하나님의 형상에 대하여 논의조차 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말하고 인간의 구원을 문제삼는 지적 능력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바르트에 의하면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이 하나님과 교제를 가질 수 있고 하나님을 알고 예배할 수 있는 특권이었다. "그러나 아담의 타락으로 이 특권은 폐기되고 인간에게는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어떤 길도 주어지지 않았다." 바르트는 인간은 "철두철미하게 죄인"이며, 인간에게 접촉점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 자신 속에 있는 어떤 가능성이 아니라, 성령의 역사이며, "기적"으로서 이를 통하여 자기 자신의 무력함에 대한 인간 실존의 절망과 함께 신앙을 고백하게 되고 은혜로우신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 인식하게 하는 능력은 하나님 자신의 말씀, 성령의 역사인 것이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나님의 참된 계시" 이것만이 "유일한 가능성"이며, 이 가능성은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에 의하여 그가 선택되어진 것으로 자기를 이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이 은총론을 그의 모든 신학의 공통분모로 하여 "은총 보편주의"를 이룩하는데 "하나님의 은총은 괄호 앞에 붙은 부호처럼 하나님의 모든 행위와 성품을 규정한다. 이러한 칼 바르트의 신학은 철학, 과학 그리고 문화와의 모든 연관을 깨뜨려 버리고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총만을 세워 가는 신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바르트는 즉각적으로 "아니다(Nein !)"라고 대답한다. 인간이 자신의 구원을 위해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면, 자연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그 지식은 사실상 인간이 만들어 낸 초월적 환상뿐이라는 것이다. 즉 바르트는 브루너의 이러한 생각은 비성서적이요, 독성이 있는 아퀴나스의 카톨릭적인 것으로 반 종교개혁적인 적그리스도의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그렇다면 그 처럼 철저하게 하나님의 형상이 파괴되었다면, 어떻게 하나님의 형상에 대하여 논의조차 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말하고 인간의 구원을 문제삼는 지적 능력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바르트에 의하면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이 하나님과 교제를 가질 수 있고 하나님을 알고 예배할 수 있는 특권이었다. "그러나 아담의 타락으로 이 특권은 폐기되고 인간에게는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어떤 길도 주어지지 않았다." 바르트는 인간은 "철두철미하게 죄인"이며, 인간에게 접촉점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 자신 속에 있는 어떤 가능성이 아니라, 성령의 역사이며, "기적"으로서 이를 통하여 자기 자신의 무력함에 대한 인간 실존의 절망과 함께 신앙을 고백하게 되고 은혜로우신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 인식하게 하는 능력은 하나님 자신의 말씀, 성령의 역사인 것이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나님의 참된 계시" 이것만이 "유일한 가능성"이며, 이 가능성은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에 의하여 그가 선택되어진 것으로 자기를 이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이 은총론을 그의 모든 신학의 공통분모로 하여 "은총 보편주의"를 이룩하는데 "하나님의 은총은 괄호 앞에 붙은 부호처럼 하나님의 모든 행위와 성품을 규정한다. 이러한 칼 바르트의 신학은 철학, 과학 그리고 문화와의 모든 연관을 깨뜨려 버리고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총만을 세워 가는 신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추천자료
Moby-Dick의 사상적 형성 배경과 작품 분석
레포트 - 아담스미스 생애와 사상
판넨베르크의 계시론 연구
가오싱젠 (高行健)의 생애와 작품, 시대적 배경, 특징, 기법, 각 인물 분석 및 우리의 논의...
[서포 김만중][구운몽]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김만중의 생애, 저작동기, 구운몽의...
[프로이드][정신분석][정신분석 치료][꿈의해석][방어기제]프로이드의 정신분석과 정신분석 ...
[복지국가][스웨덴 복지국가][복지국가위기]복지국가의 개념, 복지국가의 형성배경,과정, 복...
파울러의 생애와 사상
맹자의 생애와 업적 및 사상
고산 윤선도 연구 - 생애, 시대적 배경, 문학관, 작가 및 작품론적 연구, 작품연구, 시조작품론
페스탈로치(사상, 교육목적, 내용, 철학, 생애)
[인지적 구성주의][인지]인지적 구성주의의 특성, 인지적 구성주의의 배경, 인지적 구성주의...
[칼 바르트의 교회론] 코람데오 교회 & 교회를 위한
성인발달 연구의 역사적 배경, 성인발달단계, 인간발달의 접생애 접근, 성인발달과 영향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