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혼잡의 원인과 대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터넷 혼잡의 원인
*TCP 혼잡 제어
*TCP 버전별 혼잡 제어의 차이점
*혼잡제어
*혼잡 회피
*혼잡 회복
*폭주처리 방식

본문내용

me 처리시 문제가 발생하면 그 Frame은 폐기하여야 한다. 또한 프레임을 폐기하는 방법으로 프레임의 우선순위에 따라 프레임을 폐기한다. 여기서 망에서는 폭주를 대비하여 DE(Discard Elisible)비트와 High discard 우선순위를 두어 폭주시 우선순위에 따라 호를 폐기함으로서 망을 보호한다. 보통 DE bit는 EIR인경우 1로 CIR인경우 0로 세팅하여 망의 폭주시 EIR부터 폐기를 한다.
또한 dlci별로 HDP(high discard priority)를 두어 폐기하는 순위를 결정한다. 다음은 폭주의 단계에 따른 제어 방법이다. 현재 한국통신의 프레임릴레이망에서는 망의 문제로 Mild단계에 이르면 별도의 조치를 취하기 때문 그이상의 단계로 가는 경우는 극희 드물다고 할수 있겠다.
ACK (acknowledge)
한 컴퓨터가 일련의 데이터를 네트웍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보낼 때, 만약 그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이었다면 수신측 컴퓨터가 ACK 코드 값을 송신측에 되돌려준다. 그러나, 만약 그 전송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면 이때에는 negative ACK를 의미하는 코드, 즉 NAK 코드 값이 되돌려진다. 일반적으로, 송신측 컴퓨터가 일정시간동안 ACK 코드 값을 받지 못했거나, 또는 NAK 코드 값을 받은 경우에는 원래의 데이터가 재 송신된다.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송신 측 또는 수신 측에서 검출하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재전송을 요구하며 정정하는 방식. 궤환용 전송로가 필요하다.
CWND (Congestion Window) : 폭주 윈도우
FECN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bit) &
BECN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bit)
망 내의 혼잡을 제어할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FECN은 데이터 진행방향의 폭주여부를 통보해주는 기능을 하며 BECN은 데이터 진행반대 방향의 폭주여부를 통보해주는 기능을 한다.
DE (Discard Eligibility bit)
프레임의 폐기가능 여부표시기능을 하는데, 그 절차는 우선순위가 낮은 프레임을 set시킨 후 망내에서 프레임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경우이 set된 프레임을 먼저 제거하는 원리이다. 여기에서 우선 순위가 낮다는 것은 사용자가 연결 설정시 기술한정도 이상의 traffic을 발생 시킬때나 종단사용자의 장비에서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은 것을 알 때를 의미한다.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영구적 가상회선 (PVC)을 구분하는 0부터 1023까지의 십진수의 Address로써 X.25와의 가상회선번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하나의 채널에 여러개의 논리적인 프레임중계연결을 다중화 시키는 일을 담당하며 이 값은 프레임이 망 내의 각 노드를 경유 할 때 값이 변경된다. 즉 가상회선의 각 end points가 중복 없이 오직 한 개의 DLCI를 가진다는 뜻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18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