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요가의 정의 및 역사
2. 요가의 근본원리
3. 요가의 종류
4. 요가수련의 다섯가지 원리
1) 충분한 이완
2) 조화로운 육체훈련
3) 정확한 호흡
4) 적절한 음식
5) 긍정적 생각과 명상
4. 요가의 수련 8단계
1) 1단계 - 금계
2) 2단계 - 권계
3) 3단계 - 체위법
4) 4단계 - 조식법(Pranayama)
5) 5단계 - 제강법(Phathyahara)
6) 6단계 - 집중법(응념:Dharana)
7) 7단계 - 명상법(정려)
8) 8단계 - 삼매법(Samachy)
Ⅲ. 결론
- 요가와 현대의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 요가를 하면 왜 건강해지는가?
Ⅱ. 본론
1. 요가의 정의 및 역사
2. 요가의 근본원리
3. 요가의 종류
4. 요가수련의 다섯가지 원리
1) 충분한 이완
2) 조화로운 육체훈련
3) 정확한 호흡
4) 적절한 음식
5) 긍정적 생각과 명상
4. 요가의 수련 8단계
1) 1단계 - 금계
2) 2단계 - 권계
3) 3단계 - 체위법
4) 4단계 - 조식법(Pranayama)
5) 5단계 - 제강법(Phathyahara)
6) 6단계 - 집중법(응념:Dharana)
7) 7단계 - 명상법(정려)
8) 8단계 - 삼매법(Samachy)
Ⅲ. 결론
- 요가와 현대의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 요가를 하면 왜 건강해지는가?
본문내용
통로인 척추가 중앙으로 받치고 있다. 그리고 몸통을 움직이고 머리의 심부름 역할을 하는 두 팔과 다리가 마치 고기의 지느러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생명체로서 눕고(수평:정), 서고(수직:동), 앉고(수직+수평=조화)를 반복하고 있다. 하루를 사는데 누워있기 8시간, 앉아 있기 8시간, 서있기 8시간씩을 조화롭게 분배하여 형상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그리고 그 움직임은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으로 그게 나누며 방향으로는 전후좌우상하 그리고 좌우비틀기와 직립과 도립을 반복하고 있다. 근육은 늘어나는 성질과 수축되는 두 가지 성질이 있는데 계속해서 이완되었던 근육은 결국 수축이 잘되지 않는다. 반대로 수축만을 반복했던 근육은 이완이 잘 되지 않는다. 움직인다는 것은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 한다는 것이며 관절이 움직인다는 것이며 골격이 움직인다는 뜻인데 그 움직임의 중심이 척추와 골반이다.
우리의 몸을 지탱하고 있는 지주인 척추에는 양쪽으로 평행하게 척추신경이 흐르고 자율신경이 통하고 있다. 그 자율신경이 우리들 인간 신체작용의 열쇠를 쥐고 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되어 긴장과 이완의 서로 다른 역할을 하면서 모든 내장기관을 비롯하며 혈액, 산소, 호르몬. 내분비등 의식의 지배를 받지않고 활동하는 모든 기관을 관장하고 잇다.
현대인들에게는 많은 신경성 질환이라고 하는 [자율신경 실조증]이라는 증세는 이 자율신경의 콘트롤이 흐트러져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요가의 아사나는 평소에 반복된 생활에서 오는(예를 들면 전굴의 반복성과 직립자세) 쏠림(치우침)으로 인한 척추의 왜곡을 바로잡아 주며 추간판, 추체, 추간공등에 혈액과 산소를 원할 하게 공급하여 줌으로서 척추주변 근육의 탄성력을 회복시켜주며 척추를 유연하게 해준다.
호흡은 마음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마음이 동요되면 호흡이 흐트러진다. 또한 호흡이 흐트러지면 마음의 평정이 깨진다. 이 호흡역시 자율신경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기관과는 달리 의식적으로 동작에 맞추어 부드럽게 천천히 행하다 보면 자율신경의 활동을 조정하여 마음을 고요하게 하며 동시에 모든 내장기관의 부조화를 조화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숙달되어가면 자연성이 회복된다.
몸이 부드러워지고 호흡이 가지런해지면 저절로 마음이 고요해진다 마음의 동요가 심한 사람은 스트레스가 크게 쌓이게 된다. 마음의 동요를 조용하고 완만한 리듬으로 바뀌면 그 만큼 자율신경도 평정을 찾게 되어 생명력이 활기를 찾게 된다. 그래서 요가의 아사나, 호흡, 명상은 요가 수련의 3요소이며 셋이 결국은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인간은 두개의 다리로 직립하여 살기때문에 두뇌는 발달되었지만 골격이 왜곡되고 몸의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한쪽은 많이 사용하여 발달되기도 하고 그 반대 쪽은 약화되거나 퇴화되어 마비가 되기 쉽다. 노화현상이 가장 두드러진 곳이 관절이다.
특히 많이 사용한 팔과 어깨, 허리와 다리 그리고 무릎의 변화는 노인들의 걸음걸이와 체형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자기가 살아온 삶의 흔적(결과)을 가장 진실하게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전신의 관절을 지탱하고 있는 것은 인대과 건 그리고 근육이다.
신체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과 관절의 유연함은 곧 젊음의 상징이다. 나이는 어린데도 늙어버린 사람이 즉 굳어버린 사람이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도 너무 많은 것 같다. 신체의 사용을 골고루 사용하지 않은 편동의 결과가 아닐수 없다. 체격은 커졌으나 체력은 약화되어 있는 현상은 참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염려하지 않을수 없다.
요가의 아사나는 노화되고 경직된 관절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쉬운 동작부터 전문지도자의 처방에 따라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정성껏 수련해야 한다. 그리고 점차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가야 한다. 경쟁이나 비교보다는 자기 능력만큼 자기 스스로 꾸준히 해야하는 인내는 필수적이다. 어리석은 사람일수록 급하고 서두르는 법이다.
근육은 부드럽고 관절은 유연하고 골격의 위치는 바르고 내장은 신축성이 좋아야 호흡이 고르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그래서 요가수련을 꾸준히 해가다 보면 서두르지 않아도 저절로 건강해 질 수밖에 없다.
요가를 공부하며..
한 때 텔레비젼에서 유명했던 요가 다니엘이란 사람이 떠오른다. 그 당시에는 요가를 단지 흥미 위주의 단순한 쇼 같은 것으로 생각했었다. 이 사람 또한 이렇게 인식한 사람 중에 한명 이었다. 그러나 공부를 한 지금 체계적으로 치료적 방법으로 쓰이는 요가는 레포트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이점을 남기며 단지 독특한 행동만으로의 인식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아직은 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적극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추세는 아닌 듯 싶어 앞으로 무궁한 발전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인간의 신체,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켜 삶의 질 향상에 더 나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 이정훈, 요가총론, 서울 : 그린, 1994
* Swami Rama, 현대인을 위한 요가 :요가의 이해와 실제, 서울 :한국예술사,1995.
* 사토 노리미츠(김재천,마키 융하임), 요가, 서울 :여래, 1994.
* 변동훈, 요-가선건강법, 서울 :요가선출판사, 1995.
* 이승용, 요가, 건강과 지혜의 길, 서울 : 홍익요가연구원, 2001
* 구르무크, (몸과 마음을 아름답게) 스트레칭 요가,서울 : 시학사 , 2001
* http://www.goun.co.kr/yoga/yoga_title.htm
* http://www.duksung.ac.kr/~jhk/하따요가.htm
* http://my.netian.com/~jkleemu/jkinfo.htm
* http://www.yogawa.com/
* http://yoga.netian.com/
* http://www.yogalife.co.kr/
* http://onsary.or.kr/exercise/exercise.asp
* http://halpan.com/Health/Supporting_Therapy/Miraculous_Cure/Yoga/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생명체로서 눕고(수평:정), 서고(수직:동), 앉고(수직+수평=조화)를 반복하고 있다. 하루를 사는데 누워있기 8시간, 앉아 있기 8시간, 서있기 8시간씩을 조화롭게 분배하여 형상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그리고 그 움직임은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으로 그게 나누며 방향으로는 전후좌우상하 그리고 좌우비틀기와 직립과 도립을 반복하고 있다. 근육은 늘어나는 성질과 수축되는 두 가지 성질이 있는데 계속해서 이완되었던 근육은 결국 수축이 잘되지 않는다. 반대로 수축만을 반복했던 근육은 이완이 잘 되지 않는다. 움직인다는 것은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 한다는 것이며 관절이 움직인다는 것이며 골격이 움직인다는 뜻인데 그 움직임의 중심이 척추와 골반이다.
우리의 몸을 지탱하고 있는 지주인 척추에는 양쪽으로 평행하게 척추신경이 흐르고 자율신경이 통하고 있다. 그 자율신경이 우리들 인간 신체작용의 열쇠를 쥐고 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되어 긴장과 이완의 서로 다른 역할을 하면서 모든 내장기관을 비롯하며 혈액, 산소, 호르몬. 내분비등 의식의 지배를 받지않고 활동하는 모든 기관을 관장하고 잇다.
현대인들에게는 많은 신경성 질환이라고 하는 [자율신경 실조증]이라는 증세는 이 자율신경의 콘트롤이 흐트러져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요가의 아사나는 평소에 반복된 생활에서 오는(예를 들면 전굴의 반복성과 직립자세) 쏠림(치우침)으로 인한 척추의 왜곡을 바로잡아 주며 추간판, 추체, 추간공등에 혈액과 산소를 원할 하게 공급하여 줌으로서 척추주변 근육의 탄성력을 회복시켜주며 척추를 유연하게 해준다.
호흡은 마음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마음이 동요되면 호흡이 흐트러진다. 또한 호흡이 흐트러지면 마음의 평정이 깨진다. 이 호흡역시 자율신경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기관과는 달리 의식적으로 동작에 맞추어 부드럽게 천천히 행하다 보면 자율신경의 활동을 조정하여 마음을 고요하게 하며 동시에 모든 내장기관의 부조화를 조화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숙달되어가면 자연성이 회복된다.
몸이 부드러워지고 호흡이 가지런해지면 저절로 마음이 고요해진다 마음의 동요가 심한 사람은 스트레스가 크게 쌓이게 된다. 마음의 동요를 조용하고 완만한 리듬으로 바뀌면 그 만큼 자율신경도 평정을 찾게 되어 생명력이 활기를 찾게 된다. 그래서 요가의 아사나, 호흡, 명상은 요가 수련의 3요소이며 셋이 결국은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인간은 두개의 다리로 직립하여 살기때문에 두뇌는 발달되었지만 골격이 왜곡되고 몸의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한쪽은 많이 사용하여 발달되기도 하고 그 반대 쪽은 약화되거나 퇴화되어 마비가 되기 쉽다. 노화현상이 가장 두드러진 곳이 관절이다.
특히 많이 사용한 팔과 어깨, 허리와 다리 그리고 무릎의 변화는 노인들의 걸음걸이와 체형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자기가 살아온 삶의 흔적(결과)을 가장 진실하게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전신의 관절을 지탱하고 있는 것은 인대과 건 그리고 근육이다.
신체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과 관절의 유연함은 곧 젊음의 상징이다. 나이는 어린데도 늙어버린 사람이 즉 굳어버린 사람이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도 너무 많은 것 같다. 신체의 사용을 골고루 사용하지 않은 편동의 결과가 아닐수 없다. 체격은 커졌으나 체력은 약화되어 있는 현상은 참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염려하지 않을수 없다.
요가의 아사나는 노화되고 경직된 관절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쉬운 동작부터 전문지도자의 처방에 따라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정성껏 수련해야 한다. 그리고 점차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가야 한다. 경쟁이나 비교보다는 자기 능력만큼 자기 스스로 꾸준히 해야하는 인내는 필수적이다. 어리석은 사람일수록 급하고 서두르는 법이다.
근육은 부드럽고 관절은 유연하고 골격의 위치는 바르고 내장은 신축성이 좋아야 호흡이 고르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그래서 요가수련을 꾸준히 해가다 보면 서두르지 않아도 저절로 건강해 질 수밖에 없다.
요가를 공부하며..
한 때 텔레비젼에서 유명했던 요가 다니엘이란 사람이 떠오른다. 그 당시에는 요가를 단지 흥미 위주의 단순한 쇼 같은 것으로 생각했었다. 이 사람 또한 이렇게 인식한 사람 중에 한명 이었다. 그러나 공부를 한 지금 체계적으로 치료적 방법으로 쓰이는 요가는 레포트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이점을 남기며 단지 독특한 행동만으로의 인식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아직은 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적극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추세는 아닌 듯 싶어 앞으로 무궁한 발전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인간의 신체,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켜 삶의 질 향상에 더 나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 이정훈, 요가총론, 서울 : 그린, 1994
* Swami Rama, 현대인을 위한 요가 :요가의 이해와 실제, 서울 :한국예술사,1995.
* 사토 노리미츠(김재천,마키 융하임), 요가, 서울 :여래, 1994.
* 변동훈, 요-가선건강법, 서울 :요가선출판사, 1995.
* 이승용, 요가, 건강과 지혜의 길, 서울 : 홍익요가연구원, 2001
* 구르무크, (몸과 마음을 아름답게) 스트레칭 요가,서울 : 시학사 , 2001
* http://www.goun.co.kr/yoga/yoga_title.htm
* http://www.duksung.ac.kr/~jhk/하따요가.htm
* http://my.netian.com/~jkleemu/jkinfo.htm
* http://www.yogawa.com/
* http://yoga.netian.com/
* http://www.yogalife.co.kr/
* http://onsary.or.kr/exercise/exercise.asp
* http://halpan.com/Health/Supporting_Therapy/Miraculous_Cure/Yog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