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의 시간과 공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희곡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간의 특징

2. 공간의 특징

3. 삼일치 법칙(three unities)

본문내용

로 사용된 예를 발견할 수 있다. <고목>에서도 극중배경이 박거복의 집말고도 오각하의 환영식장이 대단히 중요한 장소가 된다. 만약에 <고목>에서 오각하의 환영식장을 직접 무대화하려 시도한다면,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대로된 공연효과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다. 함세덕은 오각하의 환영회에 대해서는 '성벽위의 조망'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때 대회장 쪽에서 천지가 진동할 듯한 만세소래와 박수소래. 오각하가 등장하셨나 보다. 거복, 나무를 타고 올라간다. 미끄러진다. 다시 올라간다. 미끄러진다. 뒤꼍으로 가드니 사닥다리를 미고 나와 나무에 걸고 손살같이 올라간다. 멀리 대회장을 응시하며 손에 땀을 쥔 채 침을 굴꺽 꿀꺽 삼킨다. 군중의 박수소래와 '옳소' 소래가 들려오면 자기도 신바람 이 나는 듯이 호응하야 박수를 치고 '옳소'를 절규한다.(<고목>, 129쪽)
이러한 모습은 대회장의 분위기를 전달하는 데 충분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박거복의 흥분하는 모습에서 그가 환영회에 참석 못한 것에 대해 얼마나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는 것인가를 느끼게 하고, 그로 인하여 오각하에 대하여 그가 얼마나 큰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게 해주는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5.2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