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균포장 물품일 경우, 뜯는 표시가 있는 부분이 있을 때에는 한 손에
물품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구석의 겉포장을 잡아당겨 벗긴다. 막약 모서리가
부분적으로 봉해져 있으면 양손으로 조심스럽게 벌려 떨어뜨린다.
⑪ 멸균물품은 무균 영역으로부터 15cm 위에서 떨어뜨리거나, 옆으로 접근하여 무균영역
속으로 첨가하도록 한다. 가장자리 2.5cm 경계에는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뚜껑있는 소독용액을 멸균용기에 따르기>
① 소독용액병의 유효날짜를 확인한다.
② 필요할때만 열고 가능한 한 빨리 닫는다.
③ 병 뚜껑을 연 후, 뚜껑의 안쪽이 아래로 향하게 들거나 뚜껑의 안쪽을 위로하여
탁자의 끝에 놓는다.
④ 이전에 병이 개봉된 적이 있으면 소량의 용액을 따라 버려 병의 입구를 깨끗이 한다.
⑤ 용액병은 라벨이 붙은 쪽을 잡아 무균영역 밖에서 10~15cm 높이에서 따르도록 한다.
용액이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소독용액을 용기에 따랐다가 남은 용액을 병에 다시 붓지 않는다.
⑦ 재사용할 목적으로 다시 뚜껑을 닫을 때에는 뚜껑의 바깥면만을 만져 닫도록한다
5) 이동섭자 사용하기
: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섭자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① 섭자통에 섭자는 한 개만 꽂아둔다.
② 섭자를 섭자통에 닿지 않게 주의하면서 꺼낸다.
③ 멸균된 통의 뚜껑을 열때는 뚜껑의 안쪽이 아래를 향하도록 들거나, 뚜껑을 완전히
뒤집어서 옆에 놓는다.
④ 섭자의 끝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해서 물품을 잡는다. 시야에서 보이는 부분과 허리
윗쪽 높이에서 사용한다.
⑤ 멸균된 물품을 소독된 부위에 놓을 때는 섭자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살짝
떨어뜨린다.
⑥ 무균영역 밖에 섭자 손잡이를 위치하게 두어 물품을 건네 주고 섭자를 다시 섭자통에
꽂는다.
⑦ 이동섭자와 통은 매 24시간마다 멸균소독 후 사용한다
4. 무균법이란?
- 미생물 전파방지와 감염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는 것.
- 감염방지와 감염사슬을 차단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
① 내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수를 줄이고 그 확산을 막기 위한 처치법
② 외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치법
③ 무균상태(aseptic)란 살아 있는 병원성 유기체나 감염 물질이 없는 상태.
④ 멸균은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들이 파괴되는 과정.
*미생물(microorganism)이란 : 현미경으로 볼수 있는 작은 유기체
5. 질병 전파의 방법 및 종류
전파경로:
ㆍ접촉(유기체는 사람에서 사람 또는 사람에서 물체로 전파된다)
- 직접접촉
- 간접접촉
ㆍ매개체(혈액, 음식, 물, 유기체에 의해 오염된 비활성 물체)
ㆍ공기(비말핵이나 먼지에 담긴 유기체)
ㆍ중개물(곤충이 유기체를 운반)
전파되는 질병:
ㆍ포도상구균 감염
ㆍ단순포진
ㆍB형간염
ㆍ홍역
ㆍAIDS, B와 C형 간염(혈액)
ㆍ콜레라, 장티프스(물)
ㆍPseudomonas(주입제제 또는 약) 녹농균
ㆍ살모네라, 포도상구균, 위장염(음식)
ㆍ인푸렌자, 수두(비말핵)
ㆍ국균증(aspergillosis) (먼지)
ㆍ말라리아, 로키산반점열(모기, 진드기)
ㆍ부르셀라증(가축)
물품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구석의 겉포장을 잡아당겨 벗긴다. 막약 모서리가
부분적으로 봉해져 있으면 양손으로 조심스럽게 벌려 떨어뜨린다.
⑪ 멸균물품은 무균 영역으로부터 15cm 위에서 떨어뜨리거나, 옆으로 접근하여 무균영역
속으로 첨가하도록 한다. 가장자리 2.5cm 경계에는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뚜껑있는 소독용액을 멸균용기에 따르기>
① 소독용액병의 유효날짜를 확인한다.
② 필요할때만 열고 가능한 한 빨리 닫는다.
③ 병 뚜껑을 연 후, 뚜껑의 안쪽이 아래로 향하게 들거나 뚜껑의 안쪽을 위로하여
탁자의 끝에 놓는다.
④ 이전에 병이 개봉된 적이 있으면 소량의 용액을 따라 버려 병의 입구를 깨끗이 한다.
⑤ 용액병은 라벨이 붙은 쪽을 잡아 무균영역 밖에서 10~15cm 높이에서 따르도록 한다.
용액이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소독용액을 용기에 따랐다가 남은 용액을 병에 다시 붓지 않는다.
⑦ 재사용할 목적으로 다시 뚜껑을 닫을 때에는 뚜껑의 바깥면만을 만져 닫도록한다
5) 이동섭자 사용하기
: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섭자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① 섭자통에 섭자는 한 개만 꽂아둔다.
② 섭자를 섭자통에 닿지 않게 주의하면서 꺼낸다.
③ 멸균된 통의 뚜껑을 열때는 뚜껑의 안쪽이 아래를 향하도록 들거나, 뚜껑을 완전히
뒤집어서 옆에 놓는다.
④ 섭자의 끝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해서 물품을 잡는다. 시야에서 보이는 부분과 허리
윗쪽 높이에서 사용한다.
⑤ 멸균된 물품을 소독된 부위에 놓을 때는 섭자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살짝
떨어뜨린다.
⑥ 무균영역 밖에 섭자 손잡이를 위치하게 두어 물품을 건네 주고 섭자를 다시 섭자통에
꽂는다.
⑦ 이동섭자와 통은 매 24시간마다 멸균소독 후 사용한다
4. 무균법이란?
- 미생물 전파방지와 감염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는 것.
- 감염방지와 감염사슬을 차단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
① 내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수를 줄이고 그 확산을 막기 위한 처치법
② 외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치법
③ 무균상태(aseptic)란 살아 있는 병원성 유기체나 감염 물질이 없는 상태.
④ 멸균은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들이 파괴되는 과정.
*미생물(microorganism)이란 : 현미경으로 볼수 있는 작은 유기체
5. 질병 전파의 방법 및 종류
전파경로:
ㆍ접촉(유기체는 사람에서 사람 또는 사람에서 물체로 전파된다)
- 직접접촉
- 간접접촉
ㆍ매개체(혈액, 음식, 물, 유기체에 의해 오염된 비활성 물체)
ㆍ공기(비말핵이나 먼지에 담긴 유기체)
ㆍ중개물(곤충이 유기체를 운반)
전파되는 질병:
ㆍ포도상구균 감염
ㆍ단순포진
ㆍB형간염
ㆍ홍역
ㆍAIDS, B와 C형 간염(혈액)
ㆍ콜레라, 장티프스(물)
ㆍPseudomonas(주입제제 또는 약) 녹농균
ㆍ살모네라, 포도상구균, 위장염(음식)
ㆍ인푸렌자, 수두(비말핵)
ㆍ국균증(aspergillosis) (먼지)
ㆍ말라리아, 로키산반점열(모기, 진드기)
ㆍ부르셀라증(가축)
추천자료
노동기본법
앞으로 우리나라 가정 및 사회의 변화를 고려할 때 건강가정기본법의 관련법으로 어떠한 법률...
[사회복지보장법]사회보장기본법
2011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환경법의기본원칙)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기본법의 주요 내용과 특징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2012년 추천 우수 ...
관광법규(관광기본법, 관광진흥법, 관광의 진흥과 관광개발)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
사회보장기본법 배경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가장 일반법 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보장 기본법에 대해 토론 하시오
[관광법규] 관광법규 정의 , 특성 , 관광 기본법 , 관광 진흥법
사회보장법, 사회보장기본법의 의미, 목적, 입법 배경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기본법의 주요 내용과 특징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개정의 의의와 주...
건강가정기본법 및 건강가정 지원센터에서 하는 일
사회보장기본법에서 명시된 사회보장에 근거하여 사회보험과 공공부조(공적부조)의 차이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