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균법(Aseptic techniqu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균포장 물품일 경우, 뜯는 표시가 있는 부분이 있을 때에는 한 손에
물품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구석의 겉포장을 잡아당겨 벗긴다. 막약 모서리가
부분적으로 봉해져 있으면 양손으로 조심스럽게 벌려 떨어뜨린다.
⑪ 멸균물품은 무균 영역으로부터 15cm 위에서 떨어뜨리거나, 옆으로 접근하여 무균영역
속으로 첨가하도록 한다. 가장자리 2.5cm 경계에는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뚜껑있는 소독용액을 멸균용기에 따르기>
① 소독용액병의 유효날짜를 확인한다.
② 필요할때만 열고 가능한 한 빨리 닫는다.
③ 병 뚜껑을 연 후, 뚜껑의 안쪽이 아래로 향하게 들거나 뚜껑의 안쪽을 위로하여
탁자의 끝에 놓는다.
④ 이전에 병이 개봉된 적이 있으면 소량의 용액을 따라 버려 병의 입구를 깨끗이 한다.
⑤ 용액병은 라벨이 붙은 쪽을 잡아 무균영역 밖에서 10~15cm 높이에서 따르도록 한다.
용액이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소독용액을 용기에 따랐다가 남은 용액을 병에 다시 붓지 않는다.
⑦ 재사용할 목적으로 다시 뚜껑을 닫을 때에는 뚜껑의 바깥면만을 만져 닫도록한다
5) 이동섭자 사용하기
: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섭자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① 섭자통에 섭자는 한 개만 꽂아둔다.
② 섭자를 섭자통에 닿지 않게 주의하면서 꺼낸다.
③ 멸균된 통의 뚜껑을 열때는 뚜껑의 안쪽이 아래를 향하도록 들거나, 뚜껑을 완전히
뒤집어서 옆에 놓는다.
④ 섭자의 끝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해서 물품을 잡는다. 시야에서 보이는 부분과 허리
윗쪽 높이에서 사용한다.
⑤ 멸균된 물품을 소독된 부위에 놓을 때는 섭자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살짝
떨어뜨린다.
⑥ 무균영역 밖에 섭자 손잡이를 위치하게 두어 물품을 건네 주고 섭자를 다시 섭자통에
꽂는다.
⑦ 이동섭자와 통은 매 24시간마다 멸균소독 후 사용한다
4. 무균법이란?
- 미생물 전파방지와 감염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는 것.
- 감염방지와 감염사슬을 차단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
① 내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수를 줄이고 그 확산을 막기 위한 처치법
② 외과적 무균법이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치법
③ 무균상태(aseptic)란 살아 있는 병원성 유기체나 감염 물질이 없는 상태.
④ 멸균은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들이 파괴되는 과정.
*미생물(microorganism)이란 : 현미경으로 볼수 있는 작은 유기체
5. 질병 전파의 방법 및 종류
전파경로:
ㆍ접촉(유기체는 사람에서 사람 또는 사람에서 물체로 전파된다)
- 직접접촉
- 간접접촉
ㆍ매개체(혈액, 음식, 물, 유기체에 의해 오염된 비활성 물체)
ㆍ공기(비말핵이나 먼지에 담긴 유기체)
ㆍ중개물(곤충이 유기체를 운반)
전파되는 질병:
ㆍ포도상구균 감염
ㆍ단순포진
ㆍB형간염
ㆍ홍역
ㆍAIDS, B와 C형 간염(혈액)
ㆍ콜레라, 장티프스(물)
ㆍPseudomonas(주입제제 또는 약) 녹농균
ㆍ살모네라, 포도상구균, 위장염(음식)
ㆍ인푸렌자, 수두(비말핵)
ㆍ국균증(aspergillosis) (먼지)
ㆍ말라리아, 로키산반점열(모기, 진드기)
ㆍ부르셀라증(가축)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2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