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
I. 문제의 소재
II. 행정심판법 제18조 규정의 취지
III. 『처분이 있음을 안 날』의 해석
IV. 『설문』에의 접근
V. 결 어
I. 문제의 소재
II. 행정심판법 제18조 규정의 취지
III. 『처분이 있음을 안 날』의 해석
IV. 『설문』에의 접근
V. 결 어
본문내용
4일이었으므로 180일 경과하지 않았고, 또한[783] 행정심판청구인 B는 운전경력증명서를 떼어 본 1996년 10월 14일에 이 처분이 있었음을 현실적으로 알았다고 주장하고 있는 바, 이를 반증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의 제시가 없는 한 이 건 행정심판청구는 행정심판법 제18조 제1항 소정의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적법하게 제기된 것이라 할 것이다.
_ 따라서 피청구인 A도 지방경찰청장의 주장은 이유없다고 할 것이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판례와도 그 맥락을 같이한다.
V. 결 어
_ 행정심판법 제1조(목적)는 행정심판절차는 행정의 적정한 운영과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이 침해를 구제하는 데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_ 행정행위는 법 아래에서 행하여지는 법적 행위이다. 법적 행위는 정신작용을 그 핵심적 요소로 한다. 따라서 행정처분의 당사자는 건전한 정신작용과 그 내용의 확실한 파악이 필수불가결의 전제가 된다.
_ 행정처분이 행하여지고 그것이 위법 불당함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 이익이 침해된 경우, 그것에 대한 행정구제제도가 마련되어 있어도 국민이 그 처분을 알지 못한다면 그 구제제도는 유명무실한 것이 된다.
_ 최근 도시화 산업화현상에 따라 우리 국민의 주소지 이동이 빈번하여지고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집을 비우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의 증가, 경비절감을 이유로 한 우편함 설치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법 해석이 요청되고 있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은 앞으로의 행정심판의 결정 또는 법원의 판례에 의해 형성되어 갈 것을 기대하여 마지않는다.
_ 따라서 피청구인 A도 지방경찰청장의 주장은 이유없다고 할 것이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판례와도 그 맥락을 같이한다.
V. 결 어
_ 행정심판법 제1조(목적)는 행정심판절차는 행정의 적정한 운영과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이 침해를 구제하는 데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_ 행정행위는 법 아래에서 행하여지는 법적 행위이다. 법적 행위는 정신작용을 그 핵심적 요소로 한다. 따라서 행정처분의 당사자는 건전한 정신작용과 그 내용의 확실한 파악이 필수불가결의 전제가 된다.
_ 행정처분이 행하여지고 그것이 위법 불당함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 이익이 침해된 경우, 그것에 대한 행정구제제도가 마련되어 있어도 국민이 그 처분을 알지 못한다면 그 구제제도는 유명무실한 것이 된다.
_ 최근 도시화 산업화현상에 따라 우리 국민의 주소지 이동이 빈번하여지고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집을 비우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의 증가, 경비절감을 이유로 한 우편함 설치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법 해석이 요청되고 있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은 앞으로의 행정심판의 결정 또는 법원의 판례에 의해 형성되어 갈 것을 기대하여 마지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 사회와 법질서 '행정정보 청구' - 청계천 신개발에 따른 노점상에 대한 대책
(행정사례연구)노무현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이해와 대안제시
행정개혁과 관련한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분석
[행정법][행정][행정환경][행정법의 개념][행정법의 유형][행정법의 특질][행정법의 일반원칙...
행정소송법상 청구의 포기와 인낙에 대한 검토
행정정보공동이용(행정정보공동활용) 의의와 제도적 배경, 행정정보공동이용(행정정보공동활...
행정정보공동이용(행정정보공동활용)의 의미, 행정정보공동이용(행정정보공동활용)의 원천과 ...
[학교경영][교장임무][교육행정][학교경영 성공사례][학교경영 강화방안]학교경영의 개념, 학...
[행정학][행정학의 연구경향][행정학의 위기][경제학][행정][행정학에 대한 기대][행정학의 ...
[공공기관]공공기관의 윤리교육, 사회환경교육, 공공기관의 행정서비스, 노동법위반사례, 공...
사회복지행정가의 지도력이 빛난 사례를 찾아 연구 분석하라
[행정통제론] 행정개혁에 의한 통제 - 행정개혁의 의의와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및 행정개혁의...
행정이념으로서의 합리성에 대한 관련이론과 사례를 통한 실현방안
[형사소송법] 약식절차에 대한 이해 - 약식절차의 의의와 제도적 취지, 약식명령의 청구,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