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뿌리의 구조
2. 뿌리의 기능
참고문헌
2. 뿌리의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물은 다른 식물에 붙어 자라는 식물로, 착생성 난추류에는 광합성을 하는 뿌리와 습기를 흡수하는 뿌리로 변태된 것이 있다. 양파와 같이 인경을 갖는 식물들은 수축근(contractile root)을 갖고, 인경을 당겨 땅 속 깊은 곳에 고착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뿌리로 변태된다.
1)물과 양분의 흡수
-생물학자들은 물의 결핍은 증산에 의해서 소비된 물을 뿌리에서 흡수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고 믿고 있다. 이와 같이 뿌리를 통한 물의 이동은 식물체 내의 수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증산으로 인한 물의 손실을 보충할 수 있다. 물은 뿌리의 목부를 따라 이동되며 나중에는 잎 주변의 대기로 방출된다.
①물의 흡수 원리
삼투 현상 -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
*뿌리털 세포 속의 농도는 흙 속의 농도보다 높으므로, 흙 속의 물이 뿌리털 안쪽으로 들어간다.
*물의 이동 : 뿌리털 물관 줄기의 물관 잎의 물관(잎맥 속에 있다.) 잎
②무기 양분의 흡수
능동 수송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능동 흡수 : 세포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세포 내에서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는 현상이다.
2)뿌리에서의 물의 이동
-피층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지역이 있다. 즉 아포플라스트(유리공간)와 심플라스트(세포질망)이다. 이 두 지역은 세포막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토양의 물은 유리공간(free space)인 아포플라스트로 유입되어 피층세포의 표면에 막을 생성한다. 그리고 물은 피층세포벽의 미소원섬유들 사이에 있는 미소공간으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따라서 토양입자들 사이의 공간에 있는 것과 프층세포벽 내의 미소공간에 있는 물 사이에 장벽은 없다. 그렇지만 피층의 유리공간과 이와 유사한 중심주 내의 유리공간 사이에는 가스파리선이라는 불투과성 장벽이 놓여 있다. 따라서 물은 내피세포의 세포질을 통해서 중심주로 들어가야만 한다.
3)뿌리의 종류
-부착(붙음)뿌리 : 담쟁이덩굴, 아이비 등
-버팀뿌리 : 줄기에서 뿌리가 나오는 경우로 옥수수나 수수 등
-호흡뿌리 : 바위나 물가에 사는 식물에서 보이는 뿌리로 호흡을 위해 공기 중으로 뿌리를 내놓는 맹그로브 나무류
-기생뿌리 : 겨우살이나 새삼처럼 다른 식물의 몸에 뿌리를 부착시키는 경우
-수중뿌리 : 뿌리털이 없이 뿌리 전체로 물을 흡수하고 떠 있기 편하도록 준비된 개구리밥이나 부레옥잠의 경우
-뿌 리 털 : 뿌리의 가장 바깥쪽의 표피 세포가 변형된 것으로 흙 속의 양분이나 물을 흡수하는 부분이다. 어느 식물이나 뿌리털이 많은 까닭은 양분과 물에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물 속의 식물이나 물가꾸기를 한 육상 식물, 기생 식물의 뿌리에는 뿌리털이 없다.
-곧은뿌리 : 쌍떡잎식물과 겉씨식물에서 볼 수 있는 뿌리의 형태이며, 굵은 원뿌리에 가는 곁뿌리가 나있음.
-수염뿌리 : 외떡잎식물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수염처럼 가는 뿌리들로 이루어짐.
-변형뿌리 : 식물의 뿌리는 땅 속으로 뻗은 것이 대부분이지만 땅 위 줄기나 잎에서 나오는 뿌리도 있고, 땅 속의 뿌리가 땅 위로 나오는 등 다양하게 변형된 경우도 많다. 변형부리는 이렇게 약간 기형적으로 나온 뿌리를 말한다.
참고 문헌
참고 : 한국생물과학협회 / 1998년 / 생물학 실험 / 아카데미서적 / pp. 87~89
참고 : 김완종, 신길상 등 외 4명 / 1996년 / 생물과학 / 신광문화사 / p. 209
참고 : 생물교재편찬회 역 / 2000년 / 존슨생물학(제2판) / 탐구당 / pp. 162~166
참고 : 로버트 A.윌리스, 제럴드 P.샌더스, 로버트 J.펄 / 1997년 / 생물학 / 음유문화사 / pp. 526~530
1)물과 양분의 흡수
-생물학자들은 물의 결핍은 증산에 의해서 소비된 물을 뿌리에서 흡수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고 믿고 있다. 이와 같이 뿌리를 통한 물의 이동은 식물체 내의 수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증산으로 인한 물의 손실을 보충할 수 있다. 물은 뿌리의 목부를 따라 이동되며 나중에는 잎 주변의 대기로 방출된다.
①물의 흡수 원리
삼투 현상 -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
*뿌리털 세포 속의 농도는 흙 속의 농도보다 높으므로, 흙 속의 물이 뿌리털 안쪽으로 들어간다.
*물의 이동 : 뿌리털 물관 줄기의 물관 잎의 물관(잎맥 속에 있다.) 잎
②무기 양분의 흡수
능동 수송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능동 흡수 : 세포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세포 내에서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는 현상이다.
2)뿌리에서의 물의 이동
-피층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지역이 있다. 즉 아포플라스트(유리공간)와 심플라스트(세포질망)이다. 이 두 지역은 세포막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토양의 물은 유리공간(free space)인 아포플라스트로 유입되어 피층세포의 표면에 막을 생성한다. 그리고 물은 피층세포벽의 미소원섬유들 사이에 있는 미소공간으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따라서 토양입자들 사이의 공간에 있는 것과 프층세포벽 내의 미소공간에 있는 물 사이에 장벽은 없다. 그렇지만 피층의 유리공간과 이와 유사한 중심주 내의 유리공간 사이에는 가스파리선이라는 불투과성 장벽이 놓여 있다. 따라서 물은 내피세포의 세포질을 통해서 중심주로 들어가야만 한다.
3)뿌리의 종류
-부착(붙음)뿌리 : 담쟁이덩굴, 아이비 등
-버팀뿌리 : 줄기에서 뿌리가 나오는 경우로 옥수수나 수수 등
-호흡뿌리 : 바위나 물가에 사는 식물에서 보이는 뿌리로 호흡을 위해 공기 중으로 뿌리를 내놓는 맹그로브 나무류
-기생뿌리 : 겨우살이나 새삼처럼 다른 식물의 몸에 뿌리를 부착시키는 경우
-수중뿌리 : 뿌리털이 없이 뿌리 전체로 물을 흡수하고 떠 있기 편하도록 준비된 개구리밥이나 부레옥잠의 경우
-뿌 리 털 : 뿌리의 가장 바깥쪽의 표피 세포가 변형된 것으로 흙 속의 양분이나 물을 흡수하는 부분이다. 어느 식물이나 뿌리털이 많은 까닭은 양분과 물에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물 속의 식물이나 물가꾸기를 한 육상 식물, 기생 식물의 뿌리에는 뿌리털이 없다.
-곧은뿌리 : 쌍떡잎식물과 겉씨식물에서 볼 수 있는 뿌리의 형태이며, 굵은 원뿌리에 가는 곁뿌리가 나있음.
-수염뿌리 : 외떡잎식물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수염처럼 가는 뿌리들로 이루어짐.
-변형뿌리 : 식물의 뿌리는 땅 속으로 뻗은 것이 대부분이지만 땅 위 줄기나 잎에서 나오는 뿌리도 있고, 땅 속의 뿌리가 땅 위로 나오는 등 다양하게 변형된 경우도 많다. 변형부리는 이렇게 약간 기형적으로 나온 뿌리를 말한다.
참고 문헌
참고 : 한국생물과학협회 / 1998년 / 생물학 실험 / 아카데미서적 / pp. 87~89
참고 : 김완종, 신길상 등 외 4명 / 1996년 / 생물과학 / 신광문화사 / p. 209
참고 : 생물교재편찬회 역 / 2000년 / 존슨생물학(제2판) / 탐구당 / pp. 162~166
참고 : 로버트 A.윌리스, 제럴드 P.샌더스, 로버트 J.펄 / 1997년 / 생물학 / 음유문화사 / pp. 526~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