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트랩-건축설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수트랩-건축설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배수트랩

1. 배수트랩의 개요
1) 트랩의 역할
2) 트랩의 종류와 구조
3) 트랩의 구경과 설치 예
4) 조집기(Intercepter)

2. 트랩의 봉수
1) 트랩의 봉수 깊이
2)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
3) 통기관의 배관 목적

3. 피해야할 트랩

본문내용

종수손실 현상이라고는 보기 힘들지만 단기적으로는 하수가스를 침입시키고, 기구 주위를 더럽히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한다. 특히, 세탁 배수에서는 세제포에 의해 생각하지 않던 오손이 생기므로 주의를 요한다. 배수는 항상 일어나며, 이 때 배수되지 않는 트랩 모두에 유도 사이펀 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즉, 관내 압력변동 발생상황은 배수 시스템 전체의 구성과 관계가 있으므로 봉수 손실현상에 비해 가장 중요시 되고 있다.
□ 대 책
1. 관내 압력의 완화
- 통기관의 사용을 통해 관내의 공기를 자유롭개 유통시킴으로써 관내 압력의 편중 현상을 없앰
- 배수관경의 확대를 통해 관내 공기의 유통 단면적을 증가시켜 압력의 과대한 발생을 미연에 방지
- 특수 배수이음을 이용하여 관내의 과대한 압력 발생을 막음
2. 트랩의 성능 향상
- 봉수 깊이나 각 단면적비(유입각 평균단면적에 대한 유출각 평균단면적의 비)를 크게 함
최소 봉수깊이와 표준 각 단면적비로부터 봉수 강도를 가장 약하게 상정하여 그 트랩이 봉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통기관을 부설함과 동시 에 배수부하에 따라 적당한 관경을 채용하고, 경우에 따라 특수 이음쇠를 사용하여 관내의 압력을 완화 시킨다.
그림 9. 유도사이폰 작용에 의한 봉수파괴 방지대책 (수직관 내 부압)
② 자기 사이펀 작용: 기구와 트랩의 조합이나 배수관의 배관방법이 적당하지 않아서 배수가 트랩 내를 만수상태로 흐르게 되면 사이펀 작용으로 봉수가 배수관 쪽으로 흡인되는 현상을 자기 사이펀 작용이라고 한다. 배수시에는 트랩 및 배수관은 사이펀관을 형성하여 기구에 만수된 물이 일시에 흐르게 되면 트랩내의 물이 자기 사이펀 작용에 의해 모두 배수관 쪽으로 흡인되어 배출하게 된다. 특히 S트랩에서 트랩의 유출측이 길이가 긴 수직배관에 접속되어 있으면 발생하기 쉽다.
그림 10. 세면기 배수에서 트랩 내의 유동상태 변화 (자기 사이펀 작용)
□ 자기 사이펀 작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기구의 한정을 위한 조건
- 만류, 연속류로 되지 않는 경우: 흘러 씻는 경우는 배수유량이 비교적 적어 사이펀 관로를 구성하는 트랩·기구 배수관은 배수기간 중에 있 어서 만류·연속류로 되지 않으나 배수유량이 많은 모아 씻는 사용형태가 문제가 된다.
- 후미류의 유량 감소: 후미류의 유량은 기구의 바닥면적이 넓고 바닥구배가 작을수록 커진다. 모아 씻기의 경우 후미류의 유량이 적은 세면 기, 수세기, 화장실 배수 등을 고려할 수 있다
□ 대 책 - 자기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는 만류, 연속류를 비만류 혹은 비연속류화 시킴
③ 증발: 기구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바닥배수 설치 부분을 난방하게 되면 봉수부의 수면에서 봉수가 증발하여 봉수가 파괴되기 쉽다. 유입각과 유출각은 항상 증발하고 있으며 배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유출각 측은 젖어 있으므로 그 증발량이 유입측에 비해 적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고 기류가 빠를수록, 또한 그 거리가 짧을수록 단위시간당 증발량은 증가한다. 보통 봉수는 약 1~2개월 동안은 안전하지만,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트랩에 파라핀유를 충만 시켜서 동결방지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 대 책
- 정기적인 트랩에 물 보급
- 장기 부재중인 경우: 유입각측의 배수관을 마개나 테잎으로 막음
④ 모세관 현상: S트랩에서 일어나기 쉽고 봉수부와 수직관과의 사이에 모발이나 실밥 등이 걸치면 모세관 현상으로 서서히 봉수가 없어져 파괴되는 현상이다.
그림 11. 증발에 의한 봉수 파괴
그림 12. 모세관 현상 의한 봉수 파괴
⑤ 관성에 의한 배출: 대게 발생하지 않으나 위생기구의 물을 갑자기 배수하는 경우나 강풍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배관중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봉수면에서 상하동요를 일으켜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거나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봉수가 배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통기관을 설치하여도 막을 수가 없다.
다. 이러한 경우는 통기관을 설치하여도 막을 수가 없다.
3) 통기관의 배관 목적
1. 사이펀 작용이나 배압에 의한 트랩의 봉수를 보호
2. 배수관내의 악취의 실내유입 방지
3. 배수관내를 대기압으로 유지시켜 자연유하에 의한 배수 흐름 원활
4. 배수관내의 청결 유지
이 중에서도 통기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것이다.
3. 피해야 할 트랩
트랩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서 그 동안 각종 형식의 것이 등장해 왔으나 트랩으로서의 성능에 문제가 있어 사용하지 않는 쪽이 좋은 것이 있다. 그 주된 것을 다음에 열거한다.
그림 14. 이중트랩
그림 13. 비닐호스를 이용한 트랩
1. 수봉식이 아닌 것
2. 가동부분이 있는 것
3. 격벽에 의한 것
4. 정부에 통기관이 부착된 것
5. 비닐 호스에 의한 것 (그림-14)
6. 이중트랩 (그림-15)
여기서 이중트랩이라는 것은 기구 배수구로부터 흐름 말단까지의 배수로 상에 2개 이상의 트랩을 설치한 것으로서, 트랩과 트랩 사이의 관내에 공기가 밀폐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밀폐된 공기는 배수계통 내에 기압변화가 일어나도 배출이나 보급이 되지않고 감금된 상태로 되어, 기구로부터의 배수는 이 공기 때문에 흐름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트랩의 봉수를 유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좋지 못한 설치 예로서, 용기에 모아 씻는 상태로서 사용되는 세면기 배수관에서의 S트랩을 들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자기사이폰 작용에 의한 봉수파괴 때문이다.
또 하나의 좋지 못한 예로, 거의 물을 사용하지 않는 화장실 등의 증발작용에 의한 봉수파괴가 쉬운 바닥배수 트랩 등을 들 수 있다. 즉 물이 거의 흐르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트랩의 봉수는 증발에 의해 봉수가 없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 트랩을 설치할 때는 트랩 봉수보급장치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봉수를 보급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급배수위생설비설계 / 김태한_기문당
급배수위생설비 / 이용화, 박효석_세진사
급배수위생설비 / 장정익_기술문화사
건축설비설계 매뉴얼 2.급배수위생편 / 일본건축기술자협회(김봉한)_기문당
건축설비 / 임영빈, 박창섭, 박민용_보성각
건축설비해설 / 전국대학건축설비과 교수협의회_기문당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5.25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