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실험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 실험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1. 흙과 물은 어느 쪽의 온도가 빨리 변하는가?
실험2. 복사 Ⅰ-물체표면의 색과 복사
실험3. 복사Ⅱ-거리변화에 따른 Energy 차이
실험4. 복사Ⅲ-지축의 기울어짐과 계절변화
실험5. 지구의 자전과 해의 뜨고 짐
실험6. 지구의 공전과 계절의 변화

본문내용

수직.
③ 가을(C):적도를 중심으로 상하거리 같은 반구에 빛이 비친다.
④ 겨울(D):빛이 하(남)반구를 중심으로 비춘다. 남반구에 빛이 수직.
질 문
지축이 지면에 수직인 경우와 66.5도 기운 경우 어떤 쪽에 계절변화가 있는가?
지축이 지면에 수직인 경우
전구의 불빛이 수직으로 닿는 곳 : 적도부분
전구의 불빛이 비스듬히 닿는 곳 : 남반구와 북반구
지구본의 위치가 달라져도 지축이 지면에 수직일때는 빛이 비추는 범위가 항상 똑같다. 지축이 지면에 수직인 경우는 태양의 남중고도가 변하지 않고 낮의 길이도 달라지지 않으며, 기온의 변화도 없으므로 계절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지축이 지면에 66.5도 기운 경우
지구본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불빛이 수직으로 닿는곳과 비스듬히 닿는 곳이 계속해서 변한다. 지구가 태양주위를 돌 때, 태양의 남중고도가 변하고, 낮의 길이도 다라지고 기온의 변화도 생겨서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위도가 30∼40도인 지역의 계절 변화가 두드러진다.
느낀점
주의사항
지축이 지면에 66.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햇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양이 틀리고 그래서 계절의 변화가 생긴다.
유의사항
지구의 자전을 염두에 두지 말고 관찰한다.
농구공의 적도를 유심히 살핀다.
실험5. 지구의 자전과 해의 뜨고 짐
실험제목
지구의 자전과 해의 뜨고 짐
관련단원
5-2. 지구의 운동, 6-2. 지구의 운동과 계절의 변화
준 비 물
지구의, 전등, 스텐드
과 정
①지구의를 천천히 돌리면서 전등 빛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는 부분을 관찰
②빛을 새로 받는 부분과 빛이 사라지는 부분을 관찰
<실험 5 그림>
전등을 고정시키고 지구본을 계속 돌리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바뀜
- 밤과 낮이 생기는 원리
전등으로 지구본을 비출 때
-지구본의 반은 밝고, 반은 어둡다.
-전등의 빛이 닿아 지구본의 밝은 부분은 낮이고, 어두운 부분은 밤이다.
질 문
①해가 동쪽에서 뜨게 하려면 지구의 자전방향을 어떻게 해야하나?
서 동 (반시계 방향)
지구본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돌리면 동쪽부터 밝아온다.
②위치에 따라 밤과 낮의 길이가 어떻게 다른가?
지축이 전구쪽으로 기울었을 경우:북반구가 낮의 길이가 길고 밤이 짧다.
지축이 반대쪽으로 기울었을 경우:남반구가 낮의 길이가 더 길고 밤의 길이 가 짧다.
질 문
③ 해가 뜨는 시각이 6시, 남중이 12시, 지는 시각이 18시라 가정하면 지구상의 여러 지점에서 사용하는 時間이 다를 수밖에 없다. 地方時와 標準時에 관해 알아보자.
지방시:그리니치 이외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시각으로 태양과 춘분점의 남 점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으므로 우선 기준이 될 수 있는 자오선을 정해야 한다. 이처럼 세계 공통의 학문상으로 사용하는 세계시에 대해 다른 지점의 자 오선을 기준으로 한 시를 지방시하 한다.
표준시: 시간은 태양의 일주 운동을 기준으로 만들어 졌는데 이것이 표준시이 다. 각 지방의 태양시는 그 지방의 경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태양이 그 지 방의 자오선을 지나는 시각 즉 남중하는 시각은 같은 나라에서도 경도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특정 지방의 평균시를 취하며 전국이 공통되게 쓰는 것이 표준시이다. 표준시의 개념은 각 사회에 자체의 태양시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 는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19C 후반에 채택되었다.
느낀점

유 의
사 항
지구본에 전등을 비추었을 때, 밝은 쪽이 낮이고 어두운 쪽이 밤이다. 지구본을 돌리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계속 바뀌어간다.
지구의 자전:지구가 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운동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기 때문
지구본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돌리면 우리나라는 동쪽부터 밝아온다.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
유의사항
전구의 위치, 지축의 기울어진 방향, 지구의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실험의 결 과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유의해야 한다.
사전에 알고 있던 지식을 바탕으로 실험을 조작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6. 지구의 공전과 계절의 변화
실험제목
지구의 공전과 계절의 변화
개 관
공전에 따른 계절변화 이해
준 비 물
지구의, 전등, 스텐드, 방안지, 손전등
과 정
①지구의를 손으로 잡고 지축을 지면과 66.5도(또는 수직으로)되게 하면서 전등 주위를 천천히 한바퀴 돌린다.
②손전등을 켜서 방안지에 수직 또는 비스듬히 비출 때 불이 비치는 면적의 크 기를 비교해보자.
질 문
①춘분, 하지, 동지, 추분은 각각 어떤때인가?
하지:태양이 북위 23.5도를 수직으로 비출 때이다.
동지:태양이 남위 23.5도를 수직으로 비출 때이다.
추분, 춘분:태양이 적도를 수직으로 비출 때이다.
②계절이 변하는 이유는?
지구의 지축이 66.5도 기울어져서 태양둘레를 공전하므로 태양의 고도가 변 하기 때문이다.
③남반구의 계절이 서로 반대되는 이유를 설명하라.
지축이 66.5도 기운채 공전하면 북반구나 남반구가 각각 태양에 가까워질 때 가 생긴다. 이 때 북반구가 태양에 가까우면 남반구가 멀어지고 남반구가 가 까워지면 그 반대가 된다. 그래서 북반구가 태양에 가까우면 북반구에는 빛이 수직으로 진행되고, 남반구가 가까우면 그 반대가 된다.
질 문
빛이 수직으로 비춰지면 열량이 집중되기 때문에 여름이 되고, 비스듬히 비추면 단위 면적당 열량이 줄어 겨울이 된다. 그러므로 남북반구의 계절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④태양이 지지 않을 때는 언제이며 지지 않는 곳은 어디인가?
북반구 여름 하지때: 북극에서 북위 66.5도 사이지역
남반구 겨울 동지때: 남극에서 남위 66.5도 사이지역
결 과

토 의
①태양의 고도에 따라 밤과 낮의 길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고도가 높으면 낮의 길이가 길고, 낮으면 밤의 길이가 길어진다.
②고도의 고저에 따라 단위 면적당 에너지량도 변화한다.
②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공전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이 달라진다.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진다.
계절이 생긴다.
유의사항
①지구의 자전은 고려하지 않는다.
②공전궤도를 원으로 단순화 시킨다.
③자전축이 기울어진 모양은 변형하지 않고 지구본의 위치만 이동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5.2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