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인터넷게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회사 소개

II. 사업 개요
1. 사업의 목적 및 제공상품/서비스
2. Business Model
3. 핵심 사업전략
4. 경쟁력 우위확보 분야

III. 시장성
1. 시장 분석 및 성장 추세
2. 경쟁사 분석
- 국내의 사이트 모델분석
○ http://www.gamerpolis.co.kr
○ http://www.gameilbo.com
○ http://game.chosun.co.kr
○ http://www.gamesdoor.com
- 국외의 사이트 모델분석
○ http://www.gamespot.com
○ http://www.gamecenter.com
○ http://www.gamefan.com

IV. 사업 추진 방향
1.단계적 발전계획 (주요 경영활동 내용)
2. 경쟁력 확보 및 유지 방안

V. 투자유치 계획

본문내용

탈 사이트를 많이 참고했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다만, 커버 뉴스나 새소식등에 전혀 얼토당토않은 글꼴체를 써서 메뉴바를 만든건 사이트 디자이너의 머릿속을 의심케 만든다. 장난스러운 듯한 글꼴체는 읽는 사람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사이트 자체가 그만큼 더 가벼워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인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는 않더라도 메인 화면의 군데군데 박혀 있는 이런식의 글꼴은 그다지 가독성을 높이는 것 같지는 않다.
리뷰의 내용은 간단명료하고 보기 좋지만, 역시 다른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게임에 대한 좀더 자세한 정보가 없어서 말그대로 직접 사서 플레이해보지 않고서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느낌이 든다. 반면, 게임 평가에 대해서는 흥미도와 그래픽의 큰 두가지 줄기로 나눠서 평가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간단명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한가지 묘한 점은 이 사이트에서는 게임의 프리뷰를 소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게임관련 뉴스중 일부로써 소개를 할 수도 있겠지만, 새롭게 제작되고 있는 게임에 대한 최근의 근황이나 새롭게 추가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프리뷰의 형태로써 자세히 다루는 것도 바람직할텐데 아직까지는 프리뷰의 서비스는 없다. 게다가, 리뷰들도 그저 알파벳순으로 나열만 해줄 뿐 장르별 구분이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데이터 베이스의 빈약함을 느끼게 해준다.
그외의 대다수의 게임 사이트들의 단점중에 하나가 너무도 지나친 게시판의 남용이다. 게임 사
이트는 절대로 BBS가 아니다. 또한 BBS와 같은 성격 자체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은 그 사이트 제작자 개인의 욕심일뿐이다. 질문/답변, 자유 게시판, 게임 소감등등... 다섯개도 훨씬 넘어가는 게시판이 있다고해서 과연 그 게시판을 두루두루 찾아보면서 활용할 사람이 어디 있을까? 이부분에 있어서는 좀더 많은 고찰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 국내 웹진 혹은 온라인 뉴스 포털 시장의 경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현재 시장상황에 대한 통계나 분석이 존재할 만큼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또한 이렇다할 사이트가 존재하지 못하고 있으며 게임전체에 대한 인식역시 부족해서 적절한 자리메김을 하고 있는 업체가 없는 실정이다.
- 국외의 사이트 모델분석
○ http://www.gamespot.com
게임스팟 - 정보제공의 신속성 보다는 다양함을 중시하고 아주 적절한 형태의 EC를 모델링하고 있다. 미국 ZDNET 메이져 포털 사이트의 자 사이트, 방대한 양의 DB를 확보하고 있으며, 분류역시 잘되어 있어 출시된 게임의 경우 관련자료의 검색이 편리하다. 디자인 역시 단순한 편이다. 그러나 리뷰의 깊이가 다소 부족하며 물량 중심의 정보제공이 주류를 이룬다. 미국 시장 이외에 해외 게임 웹진 시장의 30%이상을 이 사이트가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C 연계 및 사이트 형태에 대한 MAD3D의 벤치마크 모델이다.
http://www.gamespot.com
아드레날린 볼트 - 깊이 있는 기사와 게임에 대한 자세한 리뷰등을 통해서 고정펜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사이트이다. 게임 메니아라면 누구든지 한번은 방문했을 만한 사이트, 특히 기사의 질이 아주 좋고, 취향역시 성인중심의 매니아적 사이트이다. 차분한 디자인이 장점이며 사이트의 구조역시 잘 정돈되어 있다. 내용면에서의 MAD3D 벤치마크 사이트이다.
○ http://www.gamecenter.com
- 미국의 양대 메이져 포털인 CNET의 자 게임포럼 사이트, 얼핏 보면 게임 사이트 같지 않다. 매니아적 요소보다는 단순한 정보의 전달이 중심을 이루며 방대한 DB를 갖추고 있지만, 뉴스의 생명이 신속성과 빠른 리뷰는 기대하기 힘들다. 게임기등을 동시에 다루고 있어 다양한 면이 엿보이는 사이트이다.
○ http://www.gamefan.com
- PC 게임 이외의 홈 게임기, 콘솔 게임기, 휴대 게임기등의 다양한 게임정보가 매력이다. 특정한 정보를 특화 시키는 것 보다는 만물상 형태의 포털사이트로써 초보자 중심의 사이트이며 깊이 있는 기사를 기대할 수는 없다. 다양함을 추구하다 보니 깊이있는 정보를 전달하기는 힘든 듯, 허나 게임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게임 포털 사이트이다.
- 이상 다양한 사이트의 벤치마크 자료가 많으니 분량이 방대하여 중략하겠습니다.
IV. 사업 추진 방향
1.단계적 발전계획 (주요 경영활동 내용)
1단계 : 컨텐츠확보 3D 게임관련 정보제공을 통한 기초 트래픽 유발.
2단계 : 회원제 실시 및 공동구매, 이벤트 판매등을 통해 고정 방문객, 고객 확보.
3단계 : 게임샵과 하드웨어 몰 구축 및 하드웨어 판매사업 전계.
4단계 : 국내에서 '게임'하면 가장먼저 생각나는 사이트로의 포지셔닝 - 대표적인 게임 포털사이트로의 발돋움.
2. 경쟁력 확보 및 유지 방안
- 게임의 깊은 관심과 경력 필진 경력의 팀원들을 통해서 사이트 특유의 분위기와 뉘 앙스를 얻고 타 사이트와는 차별화된 내용으로 참신성을 유지함. 특히 필진들의 연령 층이 20대 후반 30대 초반으로 이루어져 타겟 연령층에 어필할 수 있는 기사연재 가 능.
- 국내 최고의 IT 하드웨어 업체인 K-BENCH, PCBEE등의 사이트와 연계하고 기타 뉴 스 채널을 통해서 3D 하드웨어 분야와 게임 분야를 적절히 매칭하여 특화된 정보를 유도함.
- 하이텔의 KGA, GAMER 동호회 및 나우누리 NAMOMO, VG동 등에서의 지속적인 마 케팅 활동 전개하여 기존의 PC통신망 중심의 사용자를 웹 상으로 이주시킴.
- 현재 외국의 CNET, ZDNET, GAMESPOT등을 모델로 한 통합사이트와 비교할때 비 디오 게임기시장과 PC게임 시장을 통합한 국내 사이트는 없슴. 따라서 초기에 시장 을 선점할 경우 사업의 성공가능성은 매우 큼.
V. 투자유치 계획
- 현재 국내 유수의 IT업체(제이씨현 및 K-BENCH)로부터 투자유치 제의를 받고 있으나 자본의 투명도가 낮아서 건실한 벤처투자업체 및 정부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
- 초기자본의 경우 지분에 대한 20~30%가량의 투자유치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임.
- 게임이 미래산업이라는 인식이 있는 투자자 투자 요망.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5.28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