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가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 - CASE MANAGEMENT -
2. 사례관리(CASE MANAGEMENT)의 意義
3. 사례관리(CASE MANAGEMENT)의 실천 과정
2. 사례관리(CASE MANAGEMENT)의 意義
3. 사례관리(CASE MANAGEMENT)의 실천 과정
본문내용
시간, 횟수가 제시된다.
(6) 케이스 컨퍼런스
- 서로 정보교류를 통하여 서비스에 대한 자원을 확인하고 계획을 보완한다.
- 참석범위는 회의의 목적에 따라 결정한다.
- 2인 이상의 사례관리자가 개입될 경우 주관리자를 선정한다.
(7) 계약과 개입
-사례관리자는 대상자를 만나 원조시의 목적이나 내용, 원조시 대상자와 사례관리자 각각의 역할 및 책임을 알리고 서비스 제공이 시작됨을 알린다.
-계약은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간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통해 계속해서 변화되는 것이다.
-직접적인 서비스 개입은 대상자를 교육시키는 것, 대상자의 결정 및 행동을 격려, 지지하는 것, 위기동안에 적절히 개입하는 것, 대상자를 동기 화시키는 것, 복지관의 여러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이다.
-간접적인 서비스 개입은 대상자를 대신하여 체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대상자를 필요한 자원체계에 연계 또는 서비스를 중개하는 것, 대상자를 대신하여 다양한 체계에 대해 대상자의 욕구를 옹호하는 것이다.
(9)점검과 재사정
점검과 재사정은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다. 점검과 재사정의 목적은 사례관리가 계획대로 진행되어가고 있는지 클라이언트가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 부분에 변화가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변화가 필요할 경우 3단계의 목표설정으로 되돌아와 사례관리과정의 순환을 되풀이하게 된다.
-점검은 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점검은 감시한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항상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점검은 서비스가 상호 협의한 것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감독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점검의 빈도는 클라이언트의 특성, 행동체계에 따라 다르다.
-재사정은 특히 장기보호클라이언트에게 요구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기간을 두고 서비스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행하는 것이다.
(8)해약
해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해약도 하나의 사례관리의 과정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이 단계에서도 역시 클라이언트와 의미 있는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해약은 클라이언트와 각 원조망들이 사례관리자 없이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게 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약의 결정은 사례관리자, 클라이언트, 목표를 구현하는 데에 기여한 사회단위들에게 동의를 구해야 한다. 해약은 사례관리자가 항상 주도하는 것은 아니다. 환경이나 여러 가지 상황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6) 케이스 컨퍼런스
- 서로 정보교류를 통하여 서비스에 대한 자원을 확인하고 계획을 보완한다.
- 참석범위는 회의의 목적에 따라 결정한다.
- 2인 이상의 사례관리자가 개입될 경우 주관리자를 선정한다.
(7) 계약과 개입
-사례관리자는 대상자를 만나 원조시의 목적이나 내용, 원조시 대상자와 사례관리자 각각의 역할 및 책임을 알리고 서비스 제공이 시작됨을 알린다.
-계약은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간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통해 계속해서 변화되는 것이다.
-직접적인 서비스 개입은 대상자를 교육시키는 것, 대상자의 결정 및 행동을 격려, 지지하는 것, 위기동안에 적절히 개입하는 것, 대상자를 동기 화시키는 것, 복지관의 여러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이다.
-간접적인 서비스 개입은 대상자를 대신하여 체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대상자를 필요한 자원체계에 연계 또는 서비스를 중개하는 것, 대상자를 대신하여 다양한 체계에 대해 대상자의 욕구를 옹호하는 것이다.
(9)점검과 재사정
점검과 재사정은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다. 점검과 재사정의 목적은 사례관리가 계획대로 진행되어가고 있는지 클라이언트가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 부분에 변화가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변화가 필요할 경우 3단계의 목표설정으로 되돌아와 사례관리과정의 순환을 되풀이하게 된다.
-점검은 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점검은 감시한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항상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점검은 서비스가 상호 협의한 것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감독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점검의 빈도는 클라이언트의 특성, 행동체계에 따라 다르다.
-재사정은 특히 장기보호클라이언트에게 요구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기간을 두고 서비스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행하는 것이다.
(8)해약
해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해약도 하나의 사례관리의 과정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이 단계에서도 역시 클라이언트와 의미 있는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해약은 클라이언트와 각 원조망들이 사례관리자 없이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게 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약의 결정은 사례관리자, 클라이언트, 목표를 구현하는 데에 기여한 사회단위들에게 동의를 구해야 한다. 해약은 사례관리자가 항상 주도하는 것은 아니다. 환경이나 여러 가지 상황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천자료
의료 사회복지의 사례관리, 퇴원계획
사회복지사 사정사례관리모델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공황장애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 사례관리자로서 가족, 지역사회 등과의 관계 및 환경에 ...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노인 복지관 사례관리 계획서
지역사회복지와 사례관리
집단 아동복지실천과정과 사례관리 요약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의 개념 필요성 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례관리 이론정리 보고서 (사례관리 기본개념, 사례관리의 목적 및 기...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 구성 체계, 실천 현장, 사례관리실천의 중요성 등
[사회복지실천론] 사례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사례관리의 개념과 특...
미국 군사회복지 사례관리(US Military Social Work Cas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