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작가소개
★소설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의 성격
★감상.
★소설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의 성격
★감상.
본문내용
한다. 사실(事實, 체험)과 허구(虛構)의 양면을 갖춘 것이 소설이고, 그 중에서도 허구성이 많이 강조된다고 하지만, 체험의 밀도가 높은 작품을 만날 때 허구는 사실성에 자리를 양보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주인공 \'나\'가 가난과 사회제도의 모순 때문에 고국을 버리고 간도로 갈 수밖에 없었던 정황을 수신자인 김군에게 고백하는 것이 작품의 골자를 이루고 있다. 가난에 시달리다 못해 고국을 등지고 간도 땅으로 살길을 찾아 나섰던 빈농이 차디찬 현실에 꿈이 좌절당하는 과정, 수난사의 한 단면을 박진력이 있는 필치로 그려, 이 소설로 그는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신경향파의 각광을 받았다. 가난의 문제를 다루면서 가난의 원인을 개인에게서 찾지 않고 사회 구조(제도)의 모순에서 찾았다. 그래서 그 해결책으로 사회구조의 개혁을 주장한다. 또 그런 모순에서 오는 가난에 저항하는 폭력적 행동조차도 긍정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김군 ! 내가 고향을 떠난 것은 오 년 전이다. 이것은 군도 아는 사실이다. 나는 그 때 어머니와 아내를 데리고 떠났다. 내가 고향을 떠나 간도로 간 것은 너무도 절박한 생활에 시든 몸이 새 힘을 얻을까 하여 새 희망을 갖고 새 세계를 동경하여 떠난 것도 군이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간도는 고국을 떠난 주인공에게 새 힘을 주고 희망을 갖게 하는 곳이 아니었다. 중국인의 밭을 도조로 얻어 농사를 지었자 일 년 양식도 나오지 않았고, 또 그나마 얻을 수조차 없어 주인공은 삯나무, 두부장사, 온돌장이, 대구어 장사 등 온갖 잡일을 다 하나 식생활조차 해결되지 않는다. 주인공 일가는 결국 식구가 펀펀 굶는 극한상황에 이르게 되며, 일이 이렇게 되자 주인공은 그러한 상황에 반항하려는 마음이 싹트게 된다.
소설의 결말부로서 지닌 결함이 있는데 그것은 주제가 사건을 통하여 구체화되지 못하고 관념적 고백으로 처리되었다는 점이다. 소설 구성면에서는 실패했을지 모르나 새로운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상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족을 버려야 하는 논리적 필연성은 미흡하지만, 자아에 대한 인식 이전에 가족 공동체가 유지될 수 없음을 감안한다면, 현실의 논리는 그 나름대로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신경향파> 소설이 살인, 방화 등에 의해서 결말이 처리되는 데 비한다면, \'××단에 가입\'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 즉, 조직적인 사회 운동에 뛰어드는 것으로 보아 좀더 현실적인 작가 의식을 느낄 수 있다.
김군 ! 내가 고향을 떠난 것은 오 년 전이다. 이것은 군도 아는 사실이다. 나는 그 때 어머니와 아내를 데리고 떠났다. 내가 고향을 떠나 간도로 간 것은 너무도 절박한 생활에 시든 몸이 새 힘을 얻을까 하여 새 희망을 갖고 새 세계를 동경하여 떠난 것도 군이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간도는 고국을 떠난 주인공에게 새 힘을 주고 희망을 갖게 하는 곳이 아니었다. 중국인의 밭을 도조로 얻어 농사를 지었자 일 년 양식도 나오지 않았고, 또 그나마 얻을 수조차 없어 주인공은 삯나무, 두부장사, 온돌장이, 대구어 장사 등 온갖 잡일을 다 하나 식생활조차 해결되지 않는다. 주인공 일가는 결국 식구가 펀펀 굶는 극한상황에 이르게 되며, 일이 이렇게 되자 주인공은 그러한 상황에 반항하려는 마음이 싹트게 된다.
소설의 결말부로서 지닌 결함이 있는데 그것은 주제가 사건을 통하여 구체화되지 못하고 관념적 고백으로 처리되었다는 점이다. 소설 구성면에서는 실패했을지 모르나 새로운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상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족을 버려야 하는 논리적 필연성은 미흡하지만, 자아에 대한 인식 이전에 가족 공동체가 유지될 수 없음을 감안한다면, 현실의 논리는 그 나름대로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신경향파> 소설이 살인, 방화 등에 의해서 결말이 처리되는 데 비한다면, \'××단에 가입\'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 즉, 조직적인 사회 운동에 뛰어드는 것으로 보아 좀더 현실적인 작가 의식을 느낄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