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번역의 정의
2. 번역 방법
3. 번역의 필요성
4. 번역의 포인트
5. 번역 이론의 기초
(1) 품사
1) 명사
① 무생물주어
② 단수와 복수
2) 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
① 인칭대명사
② 재귀대명사
3) 동사
① say와 tell
② 수동태
4)형용사
① 어미의 변신
② most와 many
5) 부사
① enough to
② to 부정사와 분사구문
6) 접속사
7) 전치사
(2) 시제
(3) 경어법 체계
(4) 문장부호와 번역
6. 문제점
7. 나아갈 방향
8. 맺음
2. 번역 방법
3. 번역의 필요성
4. 번역의 포인트
5. 번역 이론의 기초
(1) 품사
1) 명사
① 무생물주어
② 단수와 복수
2) 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
① 인칭대명사
② 재귀대명사
3) 동사
① say와 tell
② 수동태
4)형용사
① 어미의 변신
② most와 many
5) 부사
① enough to
② to 부정사와 분사구문
6) 접속사
7) 전치사
(2) 시제
(3) 경어법 체계
(4) 문장부호와 번역
6. 문제점
7. 나아갈 방향
8. 맺음
본문내용
동질성 여부를 가리지 않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시간상의 선후 관계가 문장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국어의 시제 체계는 꼭 물리적인 시간 개념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되고 다양한 상태의 표현이라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한 문장 안에 여러 시제를 나타내는 어휘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경어법 체계
국어에는 영어에 없는 경어법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국어가 담화 중심적인 언어라는 점이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이 소설과 같은 장르의 번역이라면 내용을 통독한 후 등장인물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존비 관계를 결정하고 경어법 체계를 확립해 두면 번역을 할 때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잘만 활용하면 대단히 유용한 적극적 측면도 가지고 있으므로, 번역자는 잘 알아 둘 필요가 있다.
(4)문장 부호와 번역
a) 콜론(:) : 인용구문 표시, 동격 표시, 설명의 기능.
b) 세미콜론(;) : 등위 접속사,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삽입구문 표시.
c) 쉼표(,) : 등위 접속사,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d) 줄표 (-) : 삽입구문 표시,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콜론의 기능 중에서 인용 구문의 표시는 따옴표가, 동격과 설명부 표시는 쉼표가 담당한다.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세미콜론의 기능은 쉼표가 담당한다. 그리고 영어의 세미콜론과 쉼표는 접속사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국어에서는 이러한 용법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영어에서 이러한 경우에 별도의 접속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국어로 옮기면서 문장 부호를 생략하거나 부호 그대로 옮기거나 하면 문맥이 불투명하게 되어 버리고 만다.
6. 문제점
없어져야할 오역의 사례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으며 무슨 내용인지 얼른 이해가 되지 않는 악역이 문젯거리이다. 직역주의로 인한 모국어 문장의 오염이 바로 이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외국어와 모국어의 문장 구조 차이에 대한 인식 부족이고, 모국어자체의 구사력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모국어와 외국어를 섞어 사용하는 경우와 번역을 포기하고 발음만 적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덧붙여서 쓸모 없는 책을 번역하는 작업은 그야 말로 시간 낭비고 문자오염을 악화시킨다. 또한 가지 이미 번역된 책을 가지고 다시금 번역하는 작업인 중역은 일제시대에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틀린 사실조차도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리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이다.
7. 나아갈 방향
이제는 번역이 전문가만 하는 작업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보다 우리말다운 문장을 위해서 모두 다 노력해야 한다. 부정확한 표현은 국어 사전이나 전문 용어 사전을 통해서 교정해서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야한다. 결국 번역은 우리 자신들을 위한 작업이다. 그리고 번역의 단점만 이야기하지 말고 장점을 부각시켜서 우리 고유의 우수한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해야한다.
8.맺음
제대로 준비를 하지 못했지만 과정에서 배울 수 있었던 점은 많았다. 특히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한 말들이 맞지 않는다는 사실에 놀랐으며 무엇보다 번역을 위해서는 양쪽 언어에 대한 특징들을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하며 두 나라에 대한 전반적인 사실들을 모두 알아야 하는 등 쉽지 않은 작업이지만 서로의 문화를 받아들여서 자신들의 문화를 한 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수단임에는 틀림없다. 전문적인 번역가가 아니더라도 항상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서 번역에 임해야 하겠다. 자료를 찾는 중에 기억에 남는 말이 있어서 쓴다. 말하기를, ‘있는 말 빼지 말고 없는 말 넣지 말고’ 와 ‘할아버지 할머니가 들어도 알아들으실 수 있는 말로 옮겨라’이다. 「영어를 우리말처럼 우리말을 영어처럼」, 김 정 우, 창문사, 1996. p.13
* 참고 자료
1) 송 요 인 교수. 「Translation : Theory and Practice」.동국대 출판부.1975
2) 박 용 삼 교수. 번역학이란 무엇인가. 숭실대 출판부.1990
3「영어를 우리말처럼 우리말을 영어처럼」, 김 정 우, 창문사, 1996. p.13
4) http://members.iWorld.net/book/ 자료실 48번
5) http://www.kjtrans.co.kr/ : 한글맞춤법, 작문, 뉘앙스가 미묘한 표현 등 번역 및 영작을 할 때 유용함
6)「 알고 하면 쉬운 영문 번역의 노하우」, 이 근 달, 시사 영어사, 1998.
7)영어 번역을 하려면 꼭 알아야 할 90가지 핵심 포인트」, 마쓰모토 야스히로, 창문사, 1997.
(3) 경어법 체계
국어에는 영어에 없는 경어법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국어가 담화 중심적인 언어라는 점이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이 소설과 같은 장르의 번역이라면 내용을 통독한 후 등장인물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존비 관계를 결정하고 경어법 체계를 확립해 두면 번역을 할 때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잘만 활용하면 대단히 유용한 적극적 측면도 가지고 있으므로, 번역자는 잘 알아 둘 필요가 있다.
(4)문장 부호와 번역
a) 콜론(:) : 인용구문 표시, 동격 표시, 설명의 기능.
b) 세미콜론(;) : 등위 접속사,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삽입구문 표시.
c) 쉼표(,) : 등위 접속사,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d) 줄표 (-) : 삽입구문 표시, 문장 성분 사이의 경계선.
콜론의 기능 중에서 인용 구문의 표시는 따옴표가, 동격과 설명부 표시는 쉼표가 담당한다.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세미콜론의 기능은 쉼표가 담당한다. 그리고 영어의 세미콜론과 쉼표는 접속사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국어에서는 이러한 용법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영어에서 이러한 경우에 별도의 접속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국어로 옮기면서 문장 부호를 생략하거나 부호 그대로 옮기거나 하면 문맥이 불투명하게 되어 버리고 만다.
6. 문제점
없어져야할 오역의 사례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으며 무슨 내용인지 얼른 이해가 되지 않는 악역이 문젯거리이다. 직역주의로 인한 모국어 문장의 오염이 바로 이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외국어와 모국어의 문장 구조 차이에 대한 인식 부족이고, 모국어자체의 구사력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모국어와 외국어를 섞어 사용하는 경우와 번역을 포기하고 발음만 적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덧붙여서 쓸모 없는 책을 번역하는 작업은 그야 말로 시간 낭비고 문자오염을 악화시킨다. 또한 가지 이미 번역된 책을 가지고 다시금 번역하는 작업인 중역은 일제시대에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틀린 사실조차도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리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이다.
7. 나아갈 방향
이제는 번역이 전문가만 하는 작업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보다 우리말다운 문장을 위해서 모두 다 노력해야 한다. 부정확한 표현은 국어 사전이나 전문 용어 사전을 통해서 교정해서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야한다. 결국 번역은 우리 자신들을 위한 작업이다. 그리고 번역의 단점만 이야기하지 말고 장점을 부각시켜서 우리 고유의 우수한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해야한다.
8.맺음
제대로 준비를 하지 못했지만 과정에서 배울 수 있었던 점은 많았다. 특히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한 말들이 맞지 않는다는 사실에 놀랐으며 무엇보다 번역을 위해서는 양쪽 언어에 대한 특징들을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하며 두 나라에 대한 전반적인 사실들을 모두 알아야 하는 등 쉽지 않은 작업이지만 서로의 문화를 받아들여서 자신들의 문화를 한 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수단임에는 틀림없다. 전문적인 번역가가 아니더라도 항상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서 번역에 임해야 하겠다. 자료를 찾는 중에 기억에 남는 말이 있어서 쓴다. 말하기를, ‘있는 말 빼지 말고 없는 말 넣지 말고’ 와 ‘할아버지 할머니가 들어도 알아들으실 수 있는 말로 옮겨라’이다. 「영어를 우리말처럼 우리말을 영어처럼」, 김 정 우, 창문사, 1996. p.13
* 참고 자료
1) 송 요 인 교수. 「Translation : Theory and Practice」.동국대 출판부.1975
2) 박 용 삼 교수. 번역학이란 무엇인가. 숭실대 출판부.1990
3「영어를 우리말처럼 우리말을 영어처럼」, 김 정 우, 창문사, 1996. p.13
4) http://members.iWorld.net/book/ 자료실 48번
5) http://www.kjtrans.co.kr/ : 한글맞춤법, 작문, 뉘앙스가 미묘한 표현 등 번역 및 영작을 할 때 유용함
6)「 알고 하면 쉬운 영문 번역의 노하우」, 이 근 달, 시사 영어사, 1998.
7)영어 번역을 하려면 꼭 알아야 할 90가지 핵심 포인트」, 마쓰모토 야스히로, 창문사, 1997.
추천자료
영양과 배설 관련 영어논문 번역자료
Special Education 이란 영어책 번역
외국 수행평가 번역(로스앤젤레스 공립학교의 2학년 영어 문학 수행과제)
동화 금도끼은동끼를 영어로 번역한 자료
[기독교 영어 번역, 영한 대역본] With Jesus, on the top of the mountain(예수님과 함께 산...
0144영어설교)(청년부) Are You Making Excuses to God?하나님께 변명을하는(용서를 구하는)...
<<주제별 영어일기-여름방학,주말,기타배우기 영작문 3편 + 번역문>>일기영작문,영어 영작문,...
영어영화감상문 - 마이펫의 이중생활 (한글번역포함) 영어감상문, 영어에세이 과제
<<영어로 한국문화 소개하기(명절) + 한글번역문>> 한국 명절 영작문,외국인들에게 한국문화 ...
<영어로 나의 꿈 소개하기 (치과의사) + 한글번역문>>나의 꿈,영작문,치과의사,나의 목표,장...
<<영어로 나의 꿈 소개하기 (소방관) + 한글번역문>>나의 꿈,영작문,소방관,나의 목표,장래희망
<영어로 나의 꿈 소개하기 (소설가) + 한글번역문>>나의 꿈,영작문,소설가,작가,나의 목표,장...
<<영어로 나의 꿈 소개하기 (간호사) + 한글번역문>>나의 꿈,영작문,간호사,나의 목표,장래희망
<<영어로 나의 꿈 소개하기 (사회복지사) + 한글번역문>>나의 꿈,영작문,사회복지사,나의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