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의 성립과 발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 론

2.상업학의 성립과 발전

3.독일 경영학의 성립과 발전

4.미국 경영학의 성립과 발전

5.기타 국가의 경영학 발전

6.현대 경영학의 조류 및 제학파

본문내용

는 노무관리 및 인사관리의 문제가 일본 경영학의 중요 과제가 되었으며 또한 미국 경영학을 받아들여 경영학과 사회학, 통계학 및 심리학 등 제반 여러 학문들과의 유기적 결합에 의한 종합적 연구에의 경영학이 출현하게 되었다. 또한 오일 쇼크 이후에 대해 일본적인 경영론 - 종신고용제, 연공서열, 기업별조합 - 등에 대한 연구가 전개되면서 일본적 경영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 영국의 경영학
영국의 경영학은 경제학의 모국으로써의 전통에 비하면 매우 뒤떨어져 있으나 몇몇 학자들에 의한 독창적인 연구가 돋보인다.
특히 일찌기 1830년대 유어와 바베지 등은 공장관리의 선험적 관찰을 통한 원가계산의 필요성을 갈파하였으며 경영에서의 인사관리문제는 오웬에 의해 검토되어 산업혁명기에 공장의 관리활동을 통하여 환경정비, 근로자의 생활 개선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또한 브라운 (W.Brown)은 1950년대 실제 경영 현장에서 기업의 관리, 조직, 인간적 측면의 실증적,이론적 연구에 전념하였다.
다. 한국의 경영학
한국의 경영학은 일제시대에 독일의 경영학의 영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경성고등상업학교, 보성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에 설치된 상학과를 통해 독일의 경영경제학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다.
해방 및 6.25 이후 학계 및 실무계에서 경영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인회계사 제도의 도입, 경영대학의 창설, 경영대학원의 설립 등으로 본격적인 한국에서의 경영학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전후 미국 경영학의 영향으로 도미 유학의 결과로 미국 경영학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6.現代 經營學의 潮流 및 諸學派
가. 쿤쯔의 분류
쿤쯔 (H.Koontz)는 최근의 미국 경영학의 특성에 대해 經營管理學의 密林'이라 표현하며 이러한 정글현상'속에서 통일적 이론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다양한 경영학파를 분류하였다.
● 管理科程學派
페이욜을 시조로 하는 학파로써 경영관리를 계획, 조직, 명령, 조정, 통제 등의 諸科程으로 간주하고 각 과정에 대해 실천적으로 유효한 관리원칙을 도출하려 하는 학파이며 사엄경영에 필요한 관리기능으로써 기술적 활동, 영업적 활동, 재무적 활동, 회계적 활동, 보전적 활동, 관리적 활동을 들고 있으며 가장 중시하는 것은 관리적 활동이다.
● 經驗學派 : 사례학파라고 하며 관리원칙의 보편주의를 부정하고 실제의 기업의 성공사례 혹은 실패사례를 분석하여 조건이 다른 각 기업에 특수한 관리원칙을 적용하려는 접근 방식
● 人間行動學派
이 학파는 경영의 인간적 측면의 문제에 중심을 두고 인간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단내에서 상호협동하는 것이므로 인간은 반드시 인간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원리에 입각하고 있으며 복잡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기 위해서는 심리학, 사회심리학 등 여러 과학의 연구결과가 총합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학파이다.
● 社會體系學派
이 학파 역시 조직의 인간적 측면에 중점을 두는 입장이며 조직을 하나의 사회적 시스템으로 보고 사회학적 연구에 중점을 둔다. 버나드는 현실의 조직을 협동시스템으로 파악하여 그 중심적인 시스템으로 공식조직을 들고 있다. 이 공식조직의 유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리론을 전개하였다.
● 數理學派
경영현상을 수학적 모델 내지 수식연산차원에서 파악하려는 시도로써 이러한 수학적, 통계적 분석기법을 경영문제에 적용하려는 것은 최근의 경영학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경향으로써 특히 선형계획법이나 오퍼레이션 리서취 등은 이러한 의도의 산물인 것이다.
나. 경영관리론의 밀림'이후의 동향
렌(D.Wren)은 경영관리론을 몇 가지 세대론으로 분류하엿는데 페이욜 등의 관리과정론을 제 1세대라고 칭하고 그 이후 1950-60년까지의 기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변화하는 과정을 경영관리론의 밀림'이라 칭했다. 그 이후 렌은 그 이후 새로운 관리과정론이 등장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관리과정론의 제 3세대라고 한다. 즉 OR과 수량적 방법과 컴퓨터와 정보이론에 의한 새로운 관리방법을 칭한다. 또한 1979년 렌의 저서에는 '제 4세대 로써 '시스템즈 어프로치 를 들고 있는데 이는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요소가 서로 관련되어 작용하고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정의하고 현상을 시스템개념으로 파악하여 그 구성요소의 성질과 諸要素들간의 관계 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방법을 말한다.
현재의 동향은 오늘날 관리에 대한 '컨틴전시 어프로치'가 그 이전의 학파들의 총합체라고 주장하고 있다. 즉 관리론에 대한 종래의 접근은 모든 상황에 대하여 해명할 성질의 것이 아니었으며 그 결과로 조건적합론적 접근 (Contingency Approach)가 시작된 것이다.
다. 職務活動學派의 展開
테일러 시대부터 합리적인 작업조직의 설정을 목적으로 동작, 시간연구의 성과를 이용하여 분석이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경영관리자의 업무활동의 분류에 있어 이 직능의 유용성에 의문을 품은 연구자들이 독자적인 역할유형을 개발하고 있다.
헤일즈 (C.P.Hales)는 실증적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에서 다음과 같이 경영관리자의 다섯 가지 면에 대한 검토를 하고 있다.
1) 경영관리자의 직무의 실질적인 요소 : 그는 무슨 일을 하는가 ?
2) 직무요소별의 시간 배분 : 그는 어떻게 일을 진행하는가 ?
3) 상호작용 : 그는 누구와 같이 일에 종사하는가
4) 일의 비공석적인 요소 : 그는 직무 이외에 어떠한 다른 일을 하는가
5) 유의점 : 그의 일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또한 화이틀리와 헤일즈의 연구에 의하면 경영관리자가 직책을 다하는데 그들이 어떠한 공통행동이 필요한가라는 의문에 답하려는 것이 행동내용어프로치이며 경영관리자는 무엇을 하는가라는 의문에 답하려는 시도가 직무활동 어프로치이다.
이러한 테마를 갖는 경영관리자의 직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계속되어 왔으나 그 사이에는 직무연구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모델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조사자료의 수집과 전체의 윤곽을 개발하기 위한 지침이 되는 경영관리자의 직무모델이 종래와 같은 고정적, 부가적인 것으로부터 구성요소간의 상황적합적, 과정적인 관계를 전제로 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적응성 있는 모델로 발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6.0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