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화성의 건축 배경
1) 사도세자의 무덤이전
2) 옛 화성의 신도시로의 이동
3) 노후거처로 구상한 정조의 화성건설
2. 정조의 산업진흥책
1) 대도회 조성
2) 상공업진흥책
3) 농업진흥책
3. 화성의 건축물
1) 정약용의 축성계획
2) 화성의 대표 건축물
① 화성 성문
② 화성에서 가장 경치 좋은 곳 화홍문, 방화수류정
③ 서장대와 동장대
④ 벽돌 건축물 공심돈과 봉돈
3) 성벽에 설치된 방어시설
4) 화성축성의 장비와 장인
5) 화성 행궁
4. 화성 건설과 정조의 왕권강화책
1) 정조의 왕권강화를 위한 화성건설
2) 장용외영의 설치
3) 화성행차의 의미
4) 정조의 죽음과 이후의 화성
맺음말
1. 화성의 건축 배경
1) 사도세자의 무덤이전
2) 옛 화성의 신도시로의 이동
3) 노후거처로 구상한 정조의 화성건설
2. 정조의 산업진흥책
1) 대도회 조성
2) 상공업진흥책
3) 농업진흥책
3. 화성의 건축물
1) 정약용의 축성계획
2) 화성의 대표 건축물
① 화성 성문
② 화성에서 가장 경치 좋은 곳 화홍문, 방화수류정
③ 서장대와 동장대
④ 벽돌 건축물 공심돈과 봉돈
3) 성벽에 설치된 방어시설
4) 화성축성의 장비와 장인
5) 화성 행궁
4. 화성 건설과 정조의 왕권강화책
1) 정조의 왕권강화를 위한 화성건설
2) 장용외영의 설치
3) 화성행차의 의미
4) 정조의 죽음과 이후의 화성
맺음말
본문내용
두 개의 병풍을 만들어 행궁에 두었다고 한다. 춘팔경은 아지랑이가 피어오른 화산의 정경, 맑은 날 물안개가 낀 수원천(대천)풍경, 꽃놀이가 한창인 매향교, 뽕나무 숲이 아름다운 길야, 향음주례가 행해지는 신풍루, 농요소리가 드높은 대둔 들녘, 말들이 뛰어 노는 영화역, 연꽃사이로 물새가 노니는 광경이다. 추팔경은 물살이 장쾌한 화홍문, 벼가 누렇게 익은 만석거 변 용연에 뜬 밝은달, 저녁별이 찬란한 구암, 가음 사냥이 한창인 화성문밖, 활쏘기가 한창인 화서문밖, 활쏘기가 한창이 동장대 국화꽃이 한창이 한정 늦가을 화양루의 눈 구경이다. 축성이 이루어지던 시점에서 만들어진 수원의 춘팔경과 추팔경은 화성 축성이 끝난 후 사람들 사이에서 더러는 잊혀지고 더러는 새로운 것이 덧붙여져서`수원팔경`으로 완성되었다. 지금 널리 알려져 있는 수원팔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팔달청람: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팔달산을 일컬으며 팔달모운 이라고도 한다.
둘째, 화홍관창. 화홍문 일곱 수문의 물보라.
셋째, 용지대월. 용연에서 바라보는 일출.
넷째, 남제장류. 수양버들이 길게 늘어선 화산 남쪽의 저수지 모습.
다섯째, 북지상련. 만석거에 핀 연꽃
여섯째, 서호낙조. 축만제 드넓은 못의 해질 무렵 풍경.
일곱째, 광교적설. 광교산에 쌓인 흰눈
여덟째, 화산두결. 화산의 두견새 울음소리.
위의 책 들여 쓴 글, (pp.240∼243)
맺음말
1776년부터 1800년까지 24년 간의 정조 치세는 탕평정국 아래 조선의 사회·경제와 문화가 중흥을 맞이하여 그 극점에서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북학과 서학 등 외래문화의 수용을 통하여 전통문화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나아가 창조적 변신을 모색하던 이 시기 문화의 지향성과 특징은 정조대 후반 화성 신도시 건설과정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조선의 국력이 기울여진 국가적 사업이자 즉위 20년을 맞아 정조왕권의 역량을 과시한 기념비적 사업이었다. 이와 연계되어 추진된 장용영의 강화 및 수원신도시의 발전을 위한 상업과 농업진흥책은 정조대 후반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대표적 시책들로서, 정조대와 이 시기 조선사회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데 관건이 되고 있다.
수원을 대도회로 발전시키기 위해 상업진흥책으로 시전과 장시를 개설하며, 수공업과 관련시켜 상공업의 발달을 유치하려고까지 하였던 것은 당시 도시의 발달이 국제무역 발달과 연관되었던 상황까지도 의식한 시책이었다. 정조와 그 측근 관료는 수원에서 상업진흥의 방향보다는 화성성역 당시부터 장용영의 강화와 연결 지어 추진하여 왔던 농업진흥책에 주력하게된다. 협동농업 등 혁신적 영농방법과 새로운 농업기술을 적용하여 고도의 생산성을 축구하고 수원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려 하였다. 수원에서의 이러한 시범적 운영은 장차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국가와 지방관아의 안정된 재정확보까지도 겨냥하는 것이었다. 만석거와 대유둔의 성공에 힘입어 만년제, 축만제와 축만제둔을 건설하였던 것은 전국적 농업진흥 시책의 모범이자 선구가 되었다.
유봉학,『정조시대 화성 신도시 건설, 백산서당』, 2001(pp.75∼79)
정조는 수원에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다. 특히 화성성곽은 오랜 시기를 거치면서 훼손이 많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성성역의괘』라는 책을 남김으로서 지금까지 잘 관리되고 있다. 일제치하시절 일본인들이 이름을 바꾸고 중요건축물들을 파괴시켜서 몇 몇 건축물들은 볼 수 없지만 많은 학자들과 정부의 관심으로 다시 복원하고 있다.
수원시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성을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취지는 좋지만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유산을 무작정 매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그렇다고 다시 복원하기 힘들지만 앞으로 남은 것이라도 관리를 잘해서 세계적으로 관리가 잘되고 많은 관광객이 볼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 수원은 비교적 구 도심부와 신시가지가 어느 정도 구분되면서 구 도심부의 유적이나 도시 골격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화성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은 수원의 문화와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성곽으로 둘러싸인 도시 자체를 어떻게 문화유산에 걸맞은 곳으로 가꾸어 갈 것인가 하는 것이다. 수원 도심부에는 지금도 옛 골목길들이 대부분 남아있다. 기와집이 늘어서 있던 옛날 모습은 아니지만 성곽을 건설한 당시에 조성한 200년 전의 신작로가 거의 본래 모습 그대로 남아있고 행궁의 주변에도 좁은 옛 골목길이 아직까지 살아있다. 그 옛날 대천이란 이름으로 흐르던 수원천도 지금 그 모습 그대로 흐르고 있다. 앞으로 성곽의 보존과 함께 도시의 내부를 가꾸어 나가는데 지혜와 노력을 모은다면, 200여년 전 정조가 건설한 계획 신도시 화성은 미래에도 우리의 소중한 자산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김동욱,『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002 (pp.254∼255)
▣ 색인
(ㄱ)
갑자년(甲子年) 4
거중기 2
공심돈 11
(ㄴ)
노임제 13
농업진흥책 6
(ㄷ)
대도회 4
동장대 10
(ㅁ)
만년제(萬年堤) 6
만석거 6
(ㅂ)
방화수류정 10
봉돈 11
(ㅅ)
상공업진흥책 5
서장대 10
수원추팔경 18
수원춘팔경 18
(ㅇ)
오성지(五星池) 9
유형거 13
(ㅈ)
장안문 9
장용외영(壯勇外營) 3
장헌세자 2
정순왕후 18
정약용 2
(ㅊ)
창룡문 10
채제공 17
축만제 6
(ㅍ)
팔달문 9
팔달산 17
(ㅎ)
행궁 4
현륭원 2
혜경궁 4
화서문 10
화성성역의괘 19
화성행차 16
화홍문 10
▣참고 문헌
1. 유봉학,『정조시대 화성 신도시 건설, 백산서당』, 2001
2. 김동욱,『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002
3. 정옥자,『정조시대 사상과 문화 정조시대 연구총론』, 돌베개, 1999
4. 유봉학,『화성건설의 의미와 수원 문화유산』, 2000
5. 박현모,『정치가 정조』, 푸른역사, 2001
6. 유봉학,『꿈의 문화유산 화성- 정조대 역사 문화 재조명』,신구문화사, 1996
7. 한영우,『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8. 유봉학,『조선시대역사와문화 VOD』
첫째, 팔달청람: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팔달산을 일컬으며 팔달모운 이라고도 한다.
둘째, 화홍관창. 화홍문 일곱 수문의 물보라.
셋째, 용지대월. 용연에서 바라보는 일출.
넷째, 남제장류. 수양버들이 길게 늘어선 화산 남쪽의 저수지 모습.
다섯째, 북지상련. 만석거에 핀 연꽃
여섯째, 서호낙조. 축만제 드넓은 못의 해질 무렵 풍경.
일곱째, 광교적설. 광교산에 쌓인 흰눈
여덟째, 화산두결. 화산의 두견새 울음소리.
위의 책 들여 쓴 글, (pp.240∼243)
맺음말
1776년부터 1800년까지 24년 간의 정조 치세는 탕평정국 아래 조선의 사회·경제와 문화가 중흥을 맞이하여 그 극점에서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북학과 서학 등 외래문화의 수용을 통하여 전통문화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나아가 창조적 변신을 모색하던 이 시기 문화의 지향성과 특징은 정조대 후반 화성 신도시 건설과정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조선의 국력이 기울여진 국가적 사업이자 즉위 20년을 맞아 정조왕권의 역량을 과시한 기념비적 사업이었다. 이와 연계되어 추진된 장용영의 강화 및 수원신도시의 발전을 위한 상업과 농업진흥책은 정조대 후반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대표적 시책들로서, 정조대와 이 시기 조선사회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데 관건이 되고 있다.
수원을 대도회로 발전시키기 위해 상업진흥책으로 시전과 장시를 개설하며, 수공업과 관련시켜 상공업의 발달을 유치하려고까지 하였던 것은 당시 도시의 발달이 국제무역 발달과 연관되었던 상황까지도 의식한 시책이었다. 정조와 그 측근 관료는 수원에서 상업진흥의 방향보다는 화성성역 당시부터 장용영의 강화와 연결 지어 추진하여 왔던 농업진흥책에 주력하게된다. 협동농업 등 혁신적 영농방법과 새로운 농업기술을 적용하여 고도의 생산성을 축구하고 수원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려 하였다. 수원에서의 이러한 시범적 운영은 장차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국가와 지방관아의 안정된 재정확보까지도 겨냥하는 것이었다. 만석거와 대유둔의 성공에 힘입어 만년제, 축만제와 축만제둔을 건설하였던 것은 전국적 농업진흥 시책의 모범이자 선구가 되었다.
유봉학,『정조시대 화성 신도시 건설, 백산서당』, 2001(pp.75∼79)
정조는 수원에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다. 특히 화성성곽은 오랜 시기를 거치면서 훼손이 많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성성역의괘』라는 책을 남김으로서 지금까지 잘 관리되고 있다. 일제치하시절 일본인들이 이름을 바꾸고 중요건축물들을 파괴시켜서 몇 몇 건축물들은 볼 수 없지만 많은 학자들과 정부의 관심으로 다시 복원하고 있다.
수원시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성을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취지는 좋지만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유산을 무작정 매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그렇다고 다시 복원하기 힘들지만 앞으로 남은 것이라도 관리를 잘해서 세계적으로 관리가 잘되고 많은 관광객이 볼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 수원은 비교적 구 도심부와 신시가지가 어느 정도 구분되면서 구 도심부의 유적이나 도시 골격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화성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은 수원의 문화와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성곽으로 둘러싸인 도시 자체를 어떻게 문화유산에 걸맞은 곳으로 가꾸어 갈 것인가 하는 것이다. 수원 도심부에는 지금도 옛 골목길들이 대부분 남아있다. 기와집이 늘어서 있던 옛날 모습은 아니지만 성곽을 건설한 당시에 조성한 200년 전의 신작로가 거의 본래 모습 그대로 남아있고 행궁의 주변에도 좁은 옛 골목길이 아직까지 살아있다. 그 옛날 대천이란 이름으로 흐르던 수원천도 지금 그 모습 그대로 흐르고 있다. 앞으로 성곽의 보존과 함께 도시의 내부를 가꾸어 나가는데 지혜와 노력을 모은다면, 200여년 전 정조가 건설한 계획 신도시 화성은 미래에도 우리의 소중한 자산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김동욱,『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002 (pp.254∼255)
▣ 색인
(ㄱ)
갑자년(甲子年) 4
거중기 2
공심돈 11
(ㄴ)
노임제 13
농업진흥책 6
(ㄷ)
대도회 4
동장대 10
(ㅁ)
만년제(萬年堤) 6
만석거 6
(ㅂ)
방화수류정 10
봉돈 11
(ㅅ)
상공업진흥책 5
서장대 10
수원추팔경 18
수원춘팔경 18
(ㅇ)
오성지(五星池) 9
유형거 13
(ㅈ)
장안문 9
장용외영(壯勇外營) 3
장헌세자 2
정순왕후 18
정약용 2
(ㅊ)
창룡문 10
채제공 17
축만제 6
(ㅍ)
팔달문 9
팔달산 17
(ㅎ)
행궁 4
현륭원 2
혜경궁 4
화서문 10
화성성역의괘 19
화성행차 16
화홍문 10
▣참고 문헌
1. 유봉학,『정조시대 화성 신도시 건설, 백산서당』, 2001
2. 김동욱,『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002
3. 정옥자,『정조시대 사상과 문화 정조시대 연구총론』, 돌베개, 1999
4. 유봉학,『화성건설의 의미와 수원 문화유산』, 2000
5. 박현모,『정치가 정조』, 푸른역사, 2001
6. 유봉학,『꿈의 문화유산 화성- 정조대 역사 문화 재조명』,신구문화사, 1996
7. 한영우,『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8. 유봉학,『조선시대역사와문화 VOD』
추천자료
세계 최고의 우리 문화유산을 읽고나서
[투자론]국순당 재무 기본적 분석 자료
흉악범죄 발생빈도가 잦은 이유와 대응책
정조의 리더십 (리더십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조)
[관광산업] 경기도 관광발전 방안 제안-관광학,경제발전,제안서,경기도
한국의 연쇄 살인범
[우리나라명승고적]우리나라 명승고적& 명승고적에 관한 레포트
경기도의문화 초등학교4년 과제물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6. 타당한 근거 (읽기 122-126쪽(2/6)차시) : 이어 주는...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특징, 장점, 단점, 현황,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 견해, 나의 ...
독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ppt
조선의 중흥 (영조와 정조)
2017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 한일관계사 사적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