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성격이란 무엇인가..?
1. 성격의 어원
2. 성격의 구성 요소
3. 성격의 정의
제2절 성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제3절 성격은 왜 연구하는가?
제4절 성격을 연구하는 이론
1.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이론
2. 과정 이론
(1) 정신분석
(2) 행동주의
(3) 인본주의
제5절 바람직한 성격
-바람직한 성격의 구분
▷참고문헌
1. 성격의 어원
2. 성격의 구성 요소
3. 성격의 정의
제2절 성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제3절 성격은 왜 연구하는가?
제4절 성격을 연구하는 이론
1.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이론
2. 과정 이론
(1) 정신분석
(2) 행동주의
(3) 인본주의
제5절 바람직한 성격
-바람직한 성격의 구분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식, 인생과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신과 인류에 대한 인식 등에 영향을 주는 인간의 기본 성향이다.
Jung은 한 인간의 전인격적 심리 구조를 통틀어 사이키(psyche)라고 표현했는데, 이러한 사이키는 의식의 심층을 둘러싼 자아(ego), rm 의식을 둘러싼 개인 무의식, 그리고 집단 무의식과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2) 행동주의
☞행동주의는 성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내적 요소가 아니라 외부 환경 자극이라고 본다. 사람은 경험을 통해 학습한 방식대로 자극에 반응하는데 이러한 반응의 차이가 개인의 특성을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성격을 설명하는 행동주의 이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학습의 장에서 살펴본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성격은 어린 시절부터 경험한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는-조작적 조건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성격은 어떤 행동을 한 다음에 주어지는 보상 즉, 강화가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셋째는-사회학습 이론이다.
간접 경험, 즉 관찰로도 성격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모방(modeling)하고, 관찰하며, 그 결과를 인지 과정을 통해 결정함으로써 성격이 형성된다는 입장이다.
(3) 인본주의
☞인본주의 이론은 개인의 경험과 세계를 경험하는 나름대로의 경험 방식을 강조한다. 즉, 개인이 자기 자신과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성격이 다르게 형성된다는 입장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선천적으로 근본적인 선과 자신의 능력을 계발시키려는 자연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아 개념을 발전시킨다.
이러한 자기 계발 경향성이 억압되거나 자기개념과 현실이 부조화를 일으키면 사람들은 갈등을 경험하고 그 결과 성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5절 바람직한 성격
1. 바람직한 성격의 구분
첫째-개인에 따라 바람직한 성격은 다를 수 있다.
둘째-사회적 규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격이라야 한다.
셋째-적극적으로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성격이 바람직한 성격이다.
▷참고문헌
♣."설득의 심리학" 로버트 치알디니 지음| 이현우 옮김 | 21세기북스
♣."발달심리학(신강)" 황응연 외 지음 | 배영사
♣."유쾌한 심리학" 박지영 지음 | 파피에
♣."대화의 심리학" 더글러스 스톤 외 지음 | 김영신 옮김 | 21세기북스
♣."다름의 심리학" 노주선 지음 | 원앤원북스
Jung은 한 인간의 전인격적 심리 구조를 통틀어 사이키(psyche)라고 표현했는데, 이러한 사이키는 의식의 심층을 둘러싼 자아(ego), rm 의식을 둘러싼 개인 무의식, 그리고 집단 무의식과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2) 행동주의
☞행동주의는 성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내적 요소가 아니라 외부 환경 자극이라고 본다. 사람은 경험을 통해 학습한 방식대로 자극에 반응하는데 이러한 반응의 차이가 개인의 특성을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성격을 설명하는 행동주의 이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학습의 장에서 살펴본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성격은 어린 시절부터 경험한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는-조작적 조건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성격은 어떤 행동을 한 다음에 주어지는 보상 즉, 강화가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셋째는-사회학습 이론이다.
간접 경험, 즉 관찰로도 성격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모방(modeling)하고, 관찰하며, 그 결과를 인지 과정을 통해 결정함으로써 성격이 형성된다는 입장이다.
(3) 인본주의
☞인본주의 이론은 개인의 경험과 세계를 경험하는 나름대로의 경험 방식을 강조한다. 즉, 개인이 자기 자신과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성격이 다르게 형성된다는 입장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선천적으로 근본적인 선과 자신의 능력을 계발시키려는 자연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아 개념을 발전시킨다.
이러한 자기 계발 경향성이 억압되거나 자기개념과 현실이 부조화를 일으키면 사람들은 갈등을 경험하고 그 결과 성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5절 바람직한 성격
1. 바람직한 성격의 구분
첫째-개인에 따라 바람직한 성격은 다를 수 있다.
둘째-사회적 규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격이라야 한다.
셋째-적극적으로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성격이 바람직한 성격이다.
▷참고문헌
♣."설득의 심리학" 로버트 치알디니 지음| 이현우 옮김 | 21세기북스
♣."발달심리학(신강)" 황응연 외 지음 | 배영사
♣."유쾌한 심리학" 박지영 지음 | 파피에
♣."대화의 심리학" 더글러스 스톤 외 지음 | 김영신 옮김 | 21세기북스
♣."다름의 심리학" 노주선 지음 | 원앤원북스
추천자료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 이론적 배경, 브루너교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의미와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특징...
교육과정4공통)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에 대한 고찰
다중지능이론 기반교육 과정과 홀리스틱 교육과정
조직이론 의 변천과정
[교육심리학] 학습의 과정과 기억(정보처리이론) (sensory register) - 정보처리이론의 개...
[진로상담이론] 고트프레드슨(고프레슨/Gottfredson)의 제한-타협이론 개관 - 발달단계이론(...
[유아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정신분석상담이론의 주요개념과 상담과정과 기법을 설명하고 정신분석상담에 대한 학습자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