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칼바르트의 생애
1. 초기(1886-1909)
2. 성장
3. 교육- 바르트는 여러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Ⅱ.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1. 변증법적 신학에로 (1909-1922)
1) 목회자로서의 바르트
2) 종교사회주의자가 됨
3) 바르트의 새로운 터득(변증법적 신학)
4) 로마서 주석(초판)
2. 로마서 주석 2판 (1922)
3. 교의학에로(1922-1932)
4. 교회 교의학 시대(1932-1968)
Ⅲ. 바르트의 신학의 주제와 특색
1. 성서 이해
2. 계시 이해
3. 예정론 : 은총의 선택
4. 동정녀 탄생
5. 교회론과 윤리
6. 하나님의 정의 문제
Ⅲ. 결 론
1. 초기(1886-1909)
2. 성장
3. 교육- 바르트는 여러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Ⅱ.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1. 변증법적 신학에로 (1909-1922)
1) 목회자로서의 바르트
2) 종교사회주의자가 됨
3) 바르트의 새로운 터득(변증법적 신학)
4) 로마서 주석(초판)
2. 로마서 주석 2판 (1922)
3. 교의학에로(1922-1932)
4. 교회 교의학 시대(1932-1968)
Ⅲ. 바르트의 신학의 주제와 특색
1. 성서 이해
2. 계시 이해
3. 예정론 : 은총의 선택
4. 동정녀 탄생
5. 교회론과 윤리
6. 하나님의 정의 문제
Ⅲ. 결 론
본문내용
으로 "화해론"을 완성하였고 여행을 줄이고 강연을 거절하였으나 세계도처에서 그의 강의를 들으러 몰려왔으며,강의를 지속하게 되었는데 1962년 3월 1일 바젤에서 마지막 강의로 은퇴했으나 미국의 신학도들은 끊임없이 찾아왔다.
Ⅲ. 바르트의 신학의 주제와 특색
1. 성서 이해
바르트는 성서는 전체로서 인간의 문서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보면서 과거의 삶의 정 황을 넘어서 각 시대의 삶의 정황 에 선포된 사실 로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한 하나님의 말씀으 로 이해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삼중적 구조 즉 선포된 말씀 (설교) - 기록된 말씀 (성서) - 계시된 말씀 (예수 그리스도) 가지는 것으로 파악했다. 바르트는 정통주의의 성서 축자 영감과는 달리 성서 즉 하나님 말씀을 강조하는 ' 성서 축자 영감론 '을 말했다.
2. 계시 이해
바르트에게 있어서 계시는 성육신의 사건속에서 단 한 번에 구체화된 예수 그리스도 사건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바로 계시에 대한 이해다. 즉 계시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바로 하나님 자신 이다. 왜냐하면 하나님 자신은 파괴될 수 없는 통일성 이며 동시에 계시자 , 계시자 , 계시, 계 시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시의 삼위일체적 이해가 바르트 신학의 특징이다. 특히 바르트는 교회 교의학에서 초기 변증법적 신학의 계시의 초월적 의미 보다는 긍정과 하나님의 은총을 강 조한 '계시 중심의 신학' 으로의 새로운 전환이 있었다. 바르트에게 있어서 계시는 '하나님의 말 씀''이며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되어진 한 사건 이며 지금도 그 안에서 사건이 되고 있는 선포로 이해된 것이다.
3. 예정론 : 은총의 선택
바르트는 바울이 강조한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을 강조한다. 그는 예정이란 말 대신에 '은총의 선택'을 사용했다. 그에 의하면 이중 예정은 두부류의 인간 집단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 스도 의 선택과 관련해서 일어났다고 한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선택함으로써 인간을 위해서는 긍정 ,자신을 위해서는 부정을 결정하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은 하나님의 자유와 은총의 승 리다. 바르트는 자유주의 신학에서 소홀히 한 은총과 예정을 다시 신학적으로 부활 시켰다.
4. 동정녀 탄생
바르트는 동정녀 탄생을 우리가 긍정할 수 있는 기쁨의 교리라고 본다.그는 동정녀 탄생을 부인 하는 것은 계시의 표적을 제거하는 자연신학적 시도로 보면서, 또한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 숭배론을 비판했다.
5. 교회론과 윤리
바르트는 교회교의학에서 교회론을 '성령론적' , ' 윤리적'으로 다룬다. 교회는 '성령의 오심' 속 에서 1. 모이는 것 2.교화시키는 것 3.파견 시키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그는 "교회 밖에는 구 원이 없다."는 복음의 전통을 받으며 가톨릭의 교회 절대주의 나 자유주의의 교회와 세상과의 조화를 말한 것을 배격했다. 바르트에게서 '윤리'는 기독교인으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하면서 복종 없는 신앙이나 신앙 없는 복종은 '싸구려 은혜' 나 착각적인 '행동주의'를 야기시킨 다고 경고했다.
6. 하나님의 정의 문제
바르트는 하나님의 정의문제를 다룰 때 '악'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다.그에 의하면 악 혹은 무 는 하나님도 아니고 피조물도 아니다 . 그것은 하나님과 피조물이 존재하는 방식이 아닌 제3의 방식으로 즉 무로서 ,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서 존재한다. 악은 하나님이 창조하지 않은 세계로 서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세계다. 십자가는 악에 대한 궁극적 승리를 말하며 부활은 십자가에서 일어나 이 승리를 증명한다. 악은 피조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등장하는데 그것은 두려워할 악 이 아니라 다만 위험하게 보이는 권세일 뿐이다.
Ⅲ. 결 론
칼 바르트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과 근본주의적 정통주의 신학을 뒤엎고 하나님의 말씀과 복음적 신학에 기초하는 말씀의 신학을 수립하였다. 그의 신학은 선포와 설교를 위한 신학, 즉 교회에 봉사하는 신학이다. 그는 양차 세계대전의 위기와 사회주의 운동의 격류속에서 휘말리지 않고 성서안에 있는 신기한 세계와 그메세지를 발견하여 복음의 놀라움과 기적의 논리 속에서 열정을 가지고 신학적 해명을 착수했다. 그는 하나님을 하나님의 자리로 인간을 인간의 자리로 돌 려 놓은 기수였다. 그는 자신의 신학을 신정통주의신학이라고 불리는 것까지도 꺼려했고 , '하나 님 말씀의 신학' 이라고 거듭 말했을 뿐이다.그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강조하는 '교 회의 신학'이기 때문에 상황신학이라 불리는 현실 참여 신학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할 것이다.
Ⅲ. 바르트의 신학의 주제와 특색
1. 성서 이해
바르트는 성서는 전체로서 인간의 문서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보면서 과거의 삶의 정 황을 넘어서 각 시대의 삶의 정황 에 선포된 사실 로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한 하나님의 말씀으 로 이해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삼중적 구조 즉 선포된 말씀 (설교) - 기록된 말씀 (성서) - 계시된 말씀 (예수 그리스도) 가지는 것으로 파악했다. 바르트는 정통주의의 성서 축자 영감과는 달리 성서 즉 하나님 말씀을 강조하는 ' 성서 축자 영감론 '을 말했다.
2. 계시 이해
바르트에게 있어서 계시는 성육신의 사건속에서 단 한 번에 구체화된 예수 그리스도 사건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바로 계시에 대한 이해다. 즉 계시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바로 하나님 자신 이다. 왜냐하면 하나님 자신은 파괴될 수 없는 통일성 이며 동시에 계시자 , 계시자 , 계시, 계 시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시의 삼위일체적 이해가 바르트 신학의 특징이다. 특히 바르트는 교회 교의학에서 초기 변증법적 신학의 계시의 초월적 의미 보다는 긍정과 하나님의 은총을 강 조한 '계시 중심의 신학' 으로의 새로운 전환이 있었다. 바르트에게 있어서 계시는 '하나님의 말 씀''이며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되어진 한 사건 이며 지금도 그 안에서 사건이 되고 있는 선포로 이해된 것이다.
3. 예정론 : 은총의 선택
바르트는 바울이 강조한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을 강조한다. 그는 예정이란 말 대신에 '은총의 선택'을 사용했다. 그에 의하면 이중 예정은 두부류의 인간 집단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 스도 의 선택과 관련해서 일어났다고 한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선택함으로써 인간을 위해서는 긍정 ,자신을 위해서는 부정을 결정하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은 하나님의 자유와 은총의 승 리다. 바르트는 자유주의 신학에서 소홀히 한 은총과 예정을 다시 신학적으로 부활 시켰다.
4. 동정녀 탄생
바르트는 동정녀 탄생을 우리가 긍정할 수 있는 기쁨의 교리라고 본다.그는 동정녀 탄생을 부인 하는 것은 계시의 표적을 제거하는 자연신학적 시도로 보면서, 또한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 숭배론을 비판했다.
5. 교회론과 윤리
바르트는 교회교의학에서 교회론을 '성령론적' , ' 윤리적'으로 다룬다. 교회는 '성령의 오심' 속 에서 1. 모이는 것 2.교화시키는 것 3.파견 시키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그는 "교회 밖에는 구 원이 없다."는 복음의 전통을 받으며 가톨릭의 교회 절대주의 나 자유주의의 교회와 세상과의 조화를 말한 것을 배격했다. 바르트에게서 '윤리'는 기독교인으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하면서 복종 없는 신앙이나 신앙 없는 복종은 '싸구려 은혜' 나 착각적인 '행동주의'를 야기시킨 다고 경고했다.
6. 하나님의 정의 문제
바르트는 하나님의 정의문제를 다룰 때 '악'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다.그에 의하면 악 혹은 무 는 하나님도 아니고 피조물도 아니다 . 그것은 하나님과 피조물이 존재하는 방식이 아닌 제3의 방식으로 즉 무로서 ,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서 존재한다. 악은 하나님이 창조하지 않은 세계로 서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세계다. 십자가는 악에 대한 궁극적 승리를 말하며 부활은 십자가에서 일어나 이 승리를 증명한다. 악은 피조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등장하는데 그것은 두려워할 악 이 아니라 다만 위험하게 보이는 권세일 뿐이다.
Ⅲ. 결 론
칼 바르트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과 근본주의적 정통주의 신학을 뒤엎고 하나님의 말씀과 복음적 신학에 기초하는 말씀의 신학을 수립하였다. 그의 신학은 선포와 설교를 위한 신학, 즉 교회에 봉사하는 신학이다. 그는 양차 세계대전의 위기와 사회주의 운동의 격류속에서 휘말리지 않고 성서안에 있는 신기한 세계와 그메세지를 발견하여 복음의 놀라움과 기적의 논리 속에서 열정을 가지고 신학적 해명을 착수했다. 그는 하나님을 하나님의 자리로 인간을 인간의 자리로 돌 려 놓은 기수였다. 그는 자신의 신학을 신정통주의신학이라고 불리는 것까지도 꺼려했고 , '하나 님 말씀의 신학' 이라고 거듭 말했을 뿐이다.그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강조하는 '교 회의 신학'이기 때문에 상황신학이라 불리는 현실 참여 신학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