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DP 란?
2. PDP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3. PDP산업 전망에 따른 각 제조업체의 비교
1) 삼성 파브 PDP
2) LG X-Canvas PDP
3) 대우 서머스 PDP
4) SONY WEGA
2. PDP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3. PDP산업 전망에 따른 각 제조업체의 비교
1) 삼성 파브 PDP
2) LG X-Canvas PDP
3) 대우 서머스 PDP
4) SONY WEGA
본문내용
을 선점해나갈 계획이다.
③ 광고
전문적인 제품의 기능들에 대한 접근보다는 대화면TV가 소비자들에게 줄 수 있는 잇점을 보다 실감나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또한 한번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공간으로의 탈출을 꿈꾸던 현대인들에게 엑스캔버스를 통해 대리만족을 주고자 했던 기획의도가 한석규의 자연스러운 연기와 맞물려 소비자들에게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LG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세계가 인정한 기술력이다. 이것만큼 좋은 광고소스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전파광고와 인쇄광고의 컨셉은 시종일관 정보전달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감성적인 소구를 많이 사용하여 광고의 주인공이 되고 싶게끔 만들어 구매의욕을 고취한다는 점에 있다. 고가의 TV라서 광고 또한 품격과 가치를 따지는 상류계층의 사람들이 많이 등장하여 오히려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지금 당장은 통할지도 모르지만 향후 5년간 기술이 개발되어 가격이 떨어져서 새로은 타겟층이 만들어진다해도 지금까지 쌓였던 이미지를 돌리기엔 이미 늦을것이라 생각한다.
즉, 판매량을 늘려 수익을 올리기 위해 상류계층을 위한 광고와 마케팅을 하여 지금 당장은 오를지도 모르지만 앞으로 기술이 개발되어 가격이 떨어져 중산층의 사람들도 구매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고급이미지에 눈살을 찌푸린 중산층의 소비자들이 흥쾌히 제품을 구매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이것이 삼성과 다른 점인것 같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시장 선점까지 노리는 LG로서는 우선 국내시장부터 선점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일 것이다.
3) 대우 서머스 PDP
한때 전자 제품계에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하던 대우전자였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전혀 딴판으로 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과 LG처럼 PDP를 출시하였지만 국내시장에서도 허덕이고 있어 세계시장 진출은 꿈도 못 꾸고 있는 상태이다. 서머스란 이름이 생소하듯이 전파 및 인쇄광고 조차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전파광고의 비주얼은 삼성과 마찬가지로 사이버적인 비주얼을 쓰긴 하였지만, 좀 더 정보전달적인 광고를 하였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회사의 자산규모때문 일 것이다. 삼성과 LG처럼 이미지전략을 구사하는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확실한 인상과 정보전달로서 한 대라도 더 팔아야 하는 대우의 노력이 가상스럽기만 하다.
하지만 다른 점은 삼성과 LG과 PDP가 쓰이는 전체를 상대로 마케팅을 펼친다면 대우는 현재 교회, 사찰, 역, 백화점, 터미널, 기업, 공항 등 산업용 시장을 주로 공략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면에서 전혀 뒤떨어지진 않지만 촉진비용의 한계를 느낀 대우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경영방침 이라고 생각한다.
4) SONY WEGA
SONY는 PDP 업체에서는 후발주자측에 해당된다. 광고에서도 느낄수 있듯이 철저하게 타업체의 제품과는 차별화를 두면서 비교광고를 하고 있다. 바로 HDTV의 화면 세로선의 촘촘함을 강조한다. 후발업체가 선발업체를 따라 잡는 방법중 최고의 방법은 바로 차별화 일 것이다.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시선을 끌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실례로 캡슐요구르트가 출시라고 할 수있다.
이점에서 SONY 광고컨셉은 적당하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지도측면에서 아직도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솔직히 나도 이러한 광고가 있었다는 것 조차도 이 레포트르 작성하면서 알게 되었다.
PDP광고하면 10멸중에 9명은 삼성과 LG밖에 기억이 안 날것이다. 바로 매체계획의 착오라고 생각한다. 삼성과 LG에 비해 노출이 너무 적다. SONY는 많이 알지만 WEGA라는 TV가 있다는 사람은 그렇게 흔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③ 광고
전문적인 제품의 기능들에 대한 접근보다는 대화면TV가 소비자들에게 줄 수 있는 잇점을 보다 실감나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또한 한번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공간으로의 탈출을 꿈꾸던 현대인들에게 엑스캔버스를 통해 대리만족을 주고자 했던 기획의도가 한석규의 자연스러운 연기와 맞물려 소비자들에게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LG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세계가 인정한 기술력이다. 이것만큼 좋은 광고소스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전파광고와 인쇄광고의 컨셉은 시종일관 정보전달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감성적인 소구를 많이 사용하여 광고의 주인공이 되고 싶게끔 만들어 구매의욕을 고취한다는 점에 있다. 고가의 TV라서 광고 또한 품격과 가치를 따지는 상류계층의 사람들이 많이 등장하여 오히려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지금 당장은 통할지도 모르지만 향후 5년간 기술이 개발되어 가격이 떨어져서 새로은 타겟층이 만들어진다해도 지금까지 쌓였던 이미지를 돌리기엔 이미 늦을것이라 생각한다.
즉, 판매량을 늘려 수익을 올리기 위해 상류계층을 위한 광고와 마케팅을 하여 지금 당장은 오를지도 모르지만 앞으로 기술이 개발되어 가격이 떨어져 중산층의 사람들도 구매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고급이미지에 눈살을 찌푸린 중산층의 소비자들이 흥쾌히 제품을 구매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이것이 삼성과 다른 점인것 같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시장 선점까지 노리는 LG로서는 우선 국내시장부터 선점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일 것이다.
3) 대우 서머스 PDP
한때 전자 제품계에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하던 대우전자였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전혀 딴판으로 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과 LG처럼 PDP를 출시하였지만 국내시장에서도 허덕이고 있어 세계시장 진출은 꿈도 못 꾸고 있는 상태이다. 서머스란 이름이 생소하듯이 전파 및 인쇄광고 조차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전파광고의 비주얼은 삼성과 마찬가지로 사이버적인 비주얼을 쓰긴 하였지만, 좀 더 정보전달적인 광고를 하였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회사의 자산규모때문 일 것이다. 삼성과 LG처럼 이미지전략을 구사하는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확실한 인상과 정보전달로서 한 대라도 더 팔아야 하는 대우의 노력이 가상스럽기만 하다.
하지만 다른 점은 삼성과 LG과 PDP가 쓰이는 전체를 상대로 마케팅을 펼친다면 대우는 현재 교회, 사찰, 역, 백화점, 터미널, 기업, 공항 등 산업용 시장을 주로 공략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면에서 전혀 뒤떨어지진 않지만 촉진비용의 한계를 느낀 대우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경영방침 이라고 생각한다.
4) SONY WEGA
SONY는 PDP 업체에서는 후발주자측에 해당된다. 광고에서도 느낄수 있듯이 철저하게 타업체의 제품과는 차별화를 두면서 비교광고를 하고 있다. 바로 HDTV의 화면 세로선의 촘촘함을 강조한다. 후발업체가 선발업체를 따라 잡는 방법중 최고의 방법은 바로 차별화 일 것이다.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시선을 끌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실례로 캡슐요구르트가 출시라고 할 수있다.
이점에서 SONY 광고컨셉은 적당하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지도측면에서 아직도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솔직히 나도 이러한 광고가 있었다는 것 조차도 이 레포트르 작성하면서 알게 되었다.
PDP광고하면 10멸중에 9명은 삼성과 LG밖에 기억이 안 날것이다. 바로 매체계획의 착오라고 생각한다. 삼성과 LG에 비해 노출이 너무 적다. SONY는 많이 알지만 WEGA라는 TV가 있다는 사람은 그렇게 흔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