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외국어 사용 실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외국어 사용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선행연구 개관

II. 외래어 사용의 원인
1. 심리상의 동인
2. 표현상의 동인

III. 외래어 사용의 실태
1. 사적인 장소에서의 외래어 사용
2. 공적인 장소에서의 외래어 사용

IV. 외래어 사용으로 인한 피해
1. 개인적 측면
2. 사회적 측면

V. 외래어 사용문제에 대한 대책
1. 개인적 측면에서의 대책
2. 사회적 측면에서의 대책

VI.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난 글자인 만큼 전 세계 어떤 언어보다도 그 체계가 편리하고 과학적이며, 실로 아름답기까지 한 언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는 개인적인 주관이 아니라
)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네스코(UNESCO) 및, 해외 과학 잡지 "디스커버리" 에서도 인정한 사실이다.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말의 우수성을 깨닫는다면 우리 대학생들이 멋져 보이기 위해, 또는 장난스럽게 외래어를 남용, 오용하는 일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2. 사회적 측면에서의 대책
외래어 사용문제에 대한 대책마련은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나라의 말이 오염되어 간다는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 전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정부는 외래어의 통제수위를 높여 나라전체에 방송이나 출판물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흘러나오는 외래어의 양을 적절하게 규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에게 국어교육을 강화, 실시하여 우리말을 제대로 파악한 뒤 외래어를 받아들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장차 이 나라의 주역이 되고 또 다른 후대의 부모가 될 대학생들에게 우리말의 귀중함과 올바른 언어생활을 가르친다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외래어의 오, 남용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VI. 논의 및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외래어 사용의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갈 언어생활의 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외래어사용의 원인, 실태, 및 그 폐해 등 필자의 객관적이고, 주관적이기도 한 시각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외래어 사용의 문제점"이라는 주제 하에 논지를 진행시키다 보니 외래어 사용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것이었다. 물론 외래어 사용이 무조건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적재적소에 사용하기만 한다면 실제로 자신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더욱 유연한 의미전달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잘 알지도 못한 채 무분별하게 외래어를 사용하는 것은 우리말 그 자체에 커다란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이야기를 진행한 것이니 이점 양해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우리말의 소중함과 정체성을 깨닫고 나서 분별력 있게 외래어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 글을 마무리 하겠다.
참고문헌)
1. 김희정 "외래어 사용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
2. "나의사랑 한글날"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1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