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에 관한 모든 것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만에 관한 모든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만의 정의

2. 비만의 원인
2-1. 유전
2-2. 과식
2-3. 불규칙한 식사
2-4. 간식
2-5. 운동부족
2-6. 약물

3. 비만의 유형
3-1. 지방 세포 수와 크기에 따른 유형
3-2. 체질에 따른 유형

4. 비만 판정법
4-1. 올바른 신체 계측 방법
4-2. 표준체중(Ideal body weight)과 비만도 구하기
4-3.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구하기
4-4. 허리/엉덩이 둘레비(Waist/hip ratio, WHR) 구하기
4-5. 허리둘레 측정을 통한 복부비만도 구하기
4-6.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Measurement of skinfold thickness and circumference)
4-7. 수중 체밀도법(Hydrodensitometry)
4-8. 생체 전기저항 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4-9. 초 음파법(Ultrasound assessment of fat)
4-10. 근 적외선 측정법(Near infrared absorption assessment of fat)
4-11. 팔 X선 지방측정(Arm X-ray assessment of fat)
4-12.지방의 컴퓨터화 된 단층촬영 측정(Computerized tomagraphy(CT) assessment of fat)

5. 비만의 종류
5-1. 소아비만
5-2. 성인비만
5-3. 산후비만

6. 비만 관련 질병
6-1. 고혈압
6-2. 당뇨병
6-3. 고지혈증
6-4. 심근경색증
6-5. 지방간
6-6. 담석증
6-7. 수면중 무호흡증
6-8. 동맥경화증
6-9. 통풍
6-10. 관절염
6-11. 생식기 이상
6-12. 암
6-13. 간경변증
6-14. 변비
6-15. 소화기계 질환
6-16. 심리적 질환

7. 비만 치료법
7-1. 식이 요법
7-2. 운동 요법
7-3. 행동 수정 요법
7-4. 약물 요법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해도 체지방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무산소운동: 단시간 내에 큰 힘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에너지 대사에 산소가 관여되지 않는다. 주 에너지로 탄수화물을 사용하는데 체중감량보다는 근육을 단련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근육이 많아지면 기초 대사량 또한 높아지므로 칼로리를 소모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거리 달리기, 덤벨 등의 근력운동이 있다.
④ 안전하고 즐거운 운동을 위한 8계명
지나친 운동은 금물 피로를 가중시키고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잊지 말자 준비운동은 근육을 풀어주고 부상을 방지하며 정리 운동은 피로해진 근육을 풀어준다.
통증을 느낄 때는 운동을 중단하라 통증이 느껴진다는 것은 몸이 무리하고 있다는 증 거. 운동을 하는 의미가 없어진다.
주치의 및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다 운동은 약과 같다.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찾을 것.
현재 시행되고 있는 운동이 지루하게 느껴지면 새로운 운동을 찾아라 흥미가 있어야 운동의 효과도 배가된다.
함께 운동할 파트너를 만들어라 친구는 운동할 때도 필요하다.
즐겁게 운동하라 즐겁지 않으면 운동이 아니다. 다만 노동 일 뿐이다.
운동일지를 기록 한다 운동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 운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7-3. 행동 수정 요법
A. 체중은 생활의 결과이다.
대부분의 비만한 사람들은 행동방식에 문제가 있다.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꾸지 않고 단기간에 강제적인 방법으로 체중만 줄일 경우 체중감량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체중감량에 번번이 실패를 반복한다면 한번쯤 자신의 행동양식을 되짚어봐야 한다. 생활습관을 바꾸면 체중감량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성공적인 체중감량은 빠르게 살을 빼는 것이 아니라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B. 일기를 쓰자.
생활습관을 바꾸는데 식사일기 및 활동일기만큼 좋은 것은 없다. 식사일기의 목적은 하루 동안 섭취하는 열량과 식사의 내용 및 잘못된 식사습관 및 행동을 알아내는데 있다. 일기를 쓰다 보면 본인이 섭취하는 열량이나 잘못된 식습관에 대해 자각하게 됨으로 체중조절에 확실한 도움이 된다.
C.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들이자.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인다. 서서히 줄이되 하루 1,500칼로리 이하로 줄이지 않는다. 끼니를 거르지 말고 세끼를 꼬박 챙겨먹는 것도 중요하다. '아침밥 저녁 죽'이라는 말처럼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량 비율은 3:2:1이 적당하다. 잦은 회식자리를 갖는 직장인은 회식에 앞서 물부터 한잔 마시고 칼로리가 적은 야채부터 먹도록 한다. 외식을 할 때는 전체 지방량, 콜레스테롤, 염분을 염두에 두고 메뉴를 선택한다. 식사시간은 20~30분 정도로 천천히, 포만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7-4. 약물 요법
비만에서 약물 치료의 적응증은 서양인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30kg/m2이상인 경우, 혹은 27kg/m2이상이면서 심혈관계 합병증(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이나 수면중 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에 시도한다. 아시아인에서는 아시아-태평양 비만치료지침과 마찬가지로 체질량지수가 25kg/m2이상인 경우, 혹은 23kg/m2이상이면서 위와 같은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에 고려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들은 충분한 자료들이 확보되면 수정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소아, 임신부, 수유부, 뇌졸중, 심근경색증, 중증 간 장애, 신 장애, 정신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비만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비만 약물 치료의 원칙은 아래와 같다.
비만 치료를 위해 식사 조절, 운동 등의 비 약물 요법을 한 뒤 3-6개월 후에도 기존 체 중의 10%도 감소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한다.
비만 약물 치료는 장기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된 것으로 시도해야 한다.
비만 치료의 목표는 표준 체중까지 로의 감량이 아니라 기존 체중의 5-10% 정도만을 감소하여도 대사적인 이득이 있음을 주지시켜야 한다.
약물 치료는 비 약물 치료를 대신할 수는 없으며 생활 습관 교정을 시행하면서 보조적으 로 시행하여야 한다.
비만 약물 치료는 반드시 의학적 감시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약물 치료는 비만의 장기적 관리의 한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약물 치료의 이득과 비 만의 위험성을 잘 저울질하여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약물 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효과가 동등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약물 치료를 하고 4 주 후에도 2kg도 감소되지 않으면 약에 대한 무 반응자이므로 장기 투여할 필요가 없 다.
약물 요법 시작 후 부작용에 대한 관찰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러 약제에 대한 병합 요법은 아직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단일 요법과 비 교 시 체중 감량 효과는 비슷하지만 부작용이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비만 치료제는 비만을 완전히 없애는 약이 아니며 체중에 대한 조절 및 관리의 개념으 로 접근해야 한다.
*비만치료제로 국제적 허용을 받은 약제
우리나라에서 비만치료제로 승인 받은 약제는 시부트라민과 올리스타트이다. 시부트라민은 중추에 작용하는 식욕억제제이며, 포만감을 주고 열애생산을 증가시켜 체중감량 효과를 가져온다. 올리스타트는 섭취된 음식물에 들어있는 지방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차단하여 지방질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설시켜 체중감량 효과를 나타낸다. 시부트라민과 올리스타트는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비만치료제로 적합하지 않은 약제
Fenfluramine/Dexfenfluramine, Thyroid hormone, Digoxin, Diuretics, Laxatives, Ephedrine, Topiramate, Aminophylline, Isoproterenol
참고 문헌
1. '비만증: 예방과 완치백과10', 황종찬, 태을, 2000
2. '비만 해법 운동이 최선이다', 성봉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2002
3. '비만증', 권율, 매일건강신문사, 2002
4. '진단에서 치료 지도까지 비만증 치료', 김재수, 도서출판 21세기 교육사, 2000
5. 야후 백과사전
http://kr.encycl.yahoo.com
6. 대한 의사 협회 http://www.kma.org/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6.1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