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족주의

2. 감투지향의식

3. 상하서열의식

4. 친소구분의식

5. 공동체지향의식

본문내용

다. 어제 뉴스추적이라는 프로에서 '어린이 학교'를 보았다. 놀라운 사실은 기존의 학교체제를 모두 무시하고 자율적으로 수업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아이들의 자유가 마음껏 보장되는 학교였다. 시골에서 자연과 더불어 하나가 되고 선생님이 아이들 의견에 하나하나 관심을 가지며 존중해 주는 모습이 새로웠다. 물론 자유가 방종이 되지 않도록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책임은 반드시 따른다. 누군가에 예속되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주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 언젠가는 대학에 가기 위해 입시지옥을 견뎌야 할지도 모르지만 초등학교의 시절에 올바른 가치관이 정립되는 어린이 학교가 우리 학교의 미래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보았다.
이 글에서 읽은 내용들이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닌 듯 싶다. 그리고 어찌 보면 이런 모든 폐단은 우리가 살고 있는 한 끊임없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내 안에 감추어진 무의식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한국의 민족성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 우리 안에 우리도 의식하지 못하는 이러한 사회적 의식이 자리잡고 있어 삶을 지배하고 있음을 알아야 하겠다. 그래야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4.17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