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루너의 수업이론의 이론적 기초
▶ ‘교육의 과정‘
(1)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
(2) 학습 준비성
(3) 직관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4) 학습동기
(5) 교구와 교사의 역할
2. 부루너의 수업 이론: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
▶ ‘교육의 과정‘
(1)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
(2) 학습 준비성
(3) 직관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4) 학습동기
(5) 교구와 교사의 역할
2. 부루너의 수업 이론: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
본문내용
표현양식은 교수이론에 해당한다. 학습의 본질보다는 교수의 측면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그 학습의 심리학적 측면을 경시하지 않았는가?
그 외 생각해 봐야할 문제점은:
1. 누가(누구에 의해서) 지식의 구조를 형성할 것인가?
2. 구조의 일반적 수준에 관한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3. 구조를 정적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동적으로 볼 것인가?
4. 교사 (재)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
5. 교사가 교구를 제작, 개발하도록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전문가가 해야 하나?
6. 모든 기본적인 개념들을 세 가지 표현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7. 학습/교수가 합리적인 과정의 측면으로만 이해될 수 있는가?
참고문헌
최돈형(역) (1986). 과학과 학습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한종하(1988). 과학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Bruner, J.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uner, J.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uner, J. (1990). Acts of meaning.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Trowbridge, L. W. & Bybee, R. W. (1986). Becoming a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Columbia, OH: Merrill Publishing Company.
그 외 생각해 봐야할 문제점은:
1. 누가(누구에 의해서) 지식의 구조를 형성할 것인가?
2. 구조의 일반적 수준에 관한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3. 구조를 정적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동적으로 볼 것인가?
4. 교사 (재)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
5. 교사가 교구를 제작, 개발하도록 해야 하는가? 아니면 전문가가 해야 하나?
6. 모든 기본적인 개념들을 세 가지 표현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7. 학습/교수가 합리적인 과정의 측면으로만 이해될 수 있는가?
참고문헌
최돈형(역) (1986). 과학과 학습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한종하(1988). 과학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Bruner, J.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uner, J.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uner, J. (1990). Acts of meaning.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Trowbridge, L. W. & Bybee, R. W. (1986). Becoming a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Columbia, OH: Merrill Publishing Company.
추천자료
아동발달장애 학습장애에 대하여A+,학습장애 가족과 치료예방, 학습장애 치료사례 -원인,특성...
[순환수업모형][순환학습]순환수업(순환학습모형) 의미와 특성, 순환수업(순환학습모형) 제 ...
[창작수업][창작학습][음악교육]음악과 창작활동중심수업(창작학습) 기본개념과 특성, 음악과...
모의재판학습모형(모의재판수업)의 개념과 준비, 모의재판학습모형(모의재판수업)의 특성과 ...
수학교구(수학학습도구) 패턴블록(패턴블럭) 정의와 의의, 수학교구(수학학습도구) 패턴블록(...
교구(수학학습도구) 계산기의 기능, 교구(수학학습도구) 계산기의 중요성, 교구(수학학습도구...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의의와 선행연구,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OHP와 비디오, 교육기...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패턴블럭(패턴블록)의 의의와 규칙,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패턴블...
소집단학습(소집단수업, 모둠학습)의 의의와 원리, 소집단학습(소집단수업, 모둠학습)의 특성...
수학과(수학학습, 수학교육)의 성격, 수학과(수학학습, 수학교육)의 특성과 내용구성원리, 수...
CAI(컴퓨터보조수업, 컴퓨터보조학습)의 개념과 특성, CAI(컴퓨터보조수업, 컴퓨터보조학습)...
유아교육기관 탐구영역의 수학교재교구 중에서 상품화된 교재교구와 담당교사가 직접 만든 수...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교수매체의 고안 및 효과적인 활용 방안 -...
[학습장애아] 학습장애의 정의(개념)와 특징(특성), 학습장애 원인, 학습장애아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