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수술전 간호
Ⅱ. 병동에서의 수술후 간호
Ⅱ. 병동에서의 수술후 간호
본문내용
필요시 제토제 사용
= 비위관 세척, 기침과 심호흡, 수분 섭취
② 배뇨 지지
= 수술 후 6∼8시간 후
= 흐르는 물소리, 따뜻한 물을 회음부위에 적용
= 남자의 경우 침대옆에 앉거나 서서
* 요로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원인과 증상 : 도뇨관을 통해 감염, 핍뇨, 빈뇨, 열
중재 :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찾아 항생제를 사용, 가능한 정체 도뇨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안정과 안위의 증진
*수술 후 동통
요인 : 불안, 힘들고 긴 수술 과정, 정신 건강 약화, 마취 방법
사정 : 저혈압 또는 고혈압, cast 또는 splint로 인한 압박
방광 팽만 - 필요시 인공 도뇨
복부 팽만, 고창 (flatulence) - 좌약으로 가스 배출
중재 : 체위 변경, 침대보를 평평하게, 등 마사지, 찬 수건 적용, 진통제(morphine, meperidine, codein)
필요시 : 산소투여, dressing 교환, 배뇨 도움, 조기 이상 ·PCA system, 환자 스스로 control, 과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morphine 경우 1㎎/6min로 setting)-장점 1) 약물 투여의 감소. 2) 조기이상을 기능하게. 3) 폐기능을 빨리 회복시킴
적절한 영양과 배설
·가능한 빠른 정상식이는 위장 기능의 회복, 상처의 치유, 환자의 정신 건강 회복을 증진 시킨다.
·사정 내용 : 정상 연동 운동은 보통 48∼72시간에 회복된다. positive bowel sound, 복부 가 soft & palpable
·중재 : 조기 이상, 수분 섭취, 섬유질 식이의 섭취, 필요시 nasogastric tube
·Paralytic ileus
상처 치유 촉진
·치유 촉진요소 : 절개 위치, 봉합 방법, 영양 상태, 질병, 감염, 배액관, dressing
·사정 내용 : 감염의 증후가 있는지, 종창, 출혈, 색의 관찰, 배액관 상태(양, 색, 농도)
* 상처 감염 (wound infection)
-요인 : 비만 ∼ 지방 조직이 방해, 영양 불량
-고령 ∼ 특히 ateriosclerosis, 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
-길고 복잡한 수술, steroids, 방사선, 항암 치료 ∼ 면역계의 영향
-백혈구 감소
-다른 질병의 존재, 멸균 유지의 실패
-수술전 장기의 파열(충수돌기, 위궤양의 천공), 패혈증
* 봉합의 열개 (dehiscence)와 돌출 (evisceration)
-열개 : 수술 봉합 부위의 벌어짐
-돌출 : 벌어진 틈으로 장기가 빠져나옴
-요소 : 영양 불량, 비만, 상처 감염, 기침, 구토로 인한 심한 복벽의 긴장
수술 후 7∼8일에 많다.
-중재 : semi-fowler's position, 도움 요청시는 벨을 누르고, 다른 간호사가 Dr.에게 알림, 멸균 dressing에 식염수를 적셔 장기를 덮어준다. 활력 증후를 관찰, 진통제 투여 금지, 정맥 주입 유지
활동 증진
* 부동의 합병증 : 허약, 호흡기 질환 심화, 순환기의 문제, 골다공증, 뇨정체, 방광 결석
* 예방 : 조기 이상, 침대 주위로 움직임, 기침과 심호흡, 다리와 발목의 운동
신체 활동력의 회복이 빠를수록 퇴원이 빠르게 됨을 환자에게 설명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body image 증진
* 사람에 따라 수술의 의미와 뜻이 달라지므로 간호사는 그 차이를 인식하여, 개인적으로 심리적 접근을 해야한다.
* 환자가 요구하는 지지 정도는 자신의 사회적인 지지, 수술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난다
* 외과적 절개는 환자 자신의 body image를 변화 시킬 수 있다.
* 중재 : 정신적인 지지 제공, 수술후 예상되는 변화와 그것이 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환자와 가족과 함께 이야기 한다.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퇴원 계획
* 퇴원 계획과 교육은 입원과 함께 시작되어야 한다.
교육의 방법은 환자와 수술의 방식에 따라 다르다.(구두,서면)
환자를 지지하는 체계의 질(quality)에 대해 알아야 한다. 필요시 지역사회 복지와 연결
* 교육 내용 : 상처 간호, 활동의 제한 범위, 식이, 투약, 개인 위생, 추후 진료
<요 약>
간호사는 환자의 수술 후 간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수술의 범위는 입원 수술에서 외래 수술에까지 걸쳐있으나, 어떠한 수술이 행해지더라도 환자는 많은 부분의 간호를 요구한다. 환자가 성공적인 수술의 경험을 가지는가의 여부는 간호의 질에 달려있다.
= 비위관 세척, 기침과 심호흡, 수분 섭취
② 배뇨 지지
= 수술 후 6∼8시간 후
= 흐르는 물소리, 따뜻한 물을 회음부위에 적용
= 남자의 경우 침대옆에 앉거나 서서
* 요로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원인과 증상 : 도뇨관을 통해 감염, 핍뇨, 빈뇨, 열
중재 :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찾아 항생제를 사용, 가능한 정체 도뇨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안정과 안위의 증진
*수술 후 동통
요인 : 불안, 힘들고 긴 수술 과정, 정신 건강 약화, 마취 방법
사정 : 저혈압 또는 고혈압, cast 또는 splint로 인한 압박
방광 팽만 - 필요시 인공 도뇨
복부 팽만, 고창 (flatulence) - 좌약으로 가스 배출
중재 : 체위 변경, 침대보를 평평하게, 등 마사지, 찬 수건 적용, 진통제(morphine, meperidine, codein)
필요시 : 산소투여, dressing 교환, 배뇨 도움, 조기 이상 ·PCA system, 환자 스스로 control, 과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morphine 경우 1㎎/6min로 setting)-장점 1) 약물 투여의 감소. 2) 조기이상을 기능하게. 3) 폐기능을 빨리 회복시킴
적절한 영양과 배설
·가능한 빠른 정상식이는 위장 기능의 회복, 상처의 치유, 환자의 정신 건강 회복을 증진 시킨다.
·사정 내용 : 정상 연동 운동은 보통 48∼72시간에 회복된다. positive bowel sound, 복부 가 soft & palpable
·중재 : 조기 이상, 수분 섭취, 섬유질 식이의 섭취, 필요시 nasogastric tube
·Paralytic ileus
상처 치유 촉진
·치유 촉진요소 : 절개 위치, 봉합 방법, 영양 상태, 질병, 감염, 배액관, dressing
·사정 내용 : 감염의 증후가 있는지, 종창, 출혈, 색의 관찰, 배액관 상태(양, 색, 농도)
* 상처 감염 (wound infection)
-요인 : 비만 ∼ 지방 조직이 방해, 영양 불량
-고령 ∼ 특히 ateriosclerosis, 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
-길고 복잡한 수술, steroids, 방사선, 항암 치료 ∼ 면역계의 영향
-백혈구 감소
-다른 질병의 존재, 멸균 유지의 실패
-수술전 장기의 파열(충수돌기, 위궤양의 천공), 패혈증
* 봉합의 열개 (dehiscence)와 돌출 (evisceration)
-열개 : 수술 봉합 부위의 벌어짐
-돌출 : 벌어진 틈으로 장기가 빠져나옴
-요소 : 영양 불량, 비만, 상처 감염, 기침, 구토로 인한 심한 복벽의 긴장
수술 후 7∼8일에 많다.
-중재 : semi-fowler's position, 도움 요청시는 벨을 누르고, 다른 간호사가 Dr.에게 알림, 멸균 dressing에 식염수를 적셔 장기를 덮어준다. 활력 증후를 관찰, 진통제 투여 금지, 정맥 주입 유지
활동 증진
* 부동의 합병증 : 허약, 호흡기 질환 심화, 순환기의 문제, 골다공증, 뇨정체, 방광 결석
* 예방 : 조기 이상, 침대 주위로 움직임, 기침과 심호흡, 다리와 발목의 운동
신체 활동력의 회복이 빠를수록 퇴원이 빠르게 됨을 환자에게 설명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body image 증진
* 사람에 따라 수술의 의미와 뜻이 달라지므로 간호사는 그 차이를 인식하여, 개인적으로 심리적 접근을 해야한다.
* 환자가 요구하는 지지 정도는 자신의 사회적인 지지, 수술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난다
* 외과적 절개는 환자 자신의 body image를 변화 시킬 수 있다.
* 중재 : 정신적인 지지 제공, 수술후 예상되는 변화와 그것이 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환자와 가족과 함께 이야기 한다.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퇴원 계획
* 퇴원 계획과 교육은 입원과 함께 시작되어야 한다.
교육의 방법은 환자와 수술의 방식에 따라 다르다.(구두,서면)
환자를 지지하는 체계의 질(quality)에 대해 알아야 한다. 필요시 지역사회 복지와 연결
* 교육 내용 : 상처 간호, 활동의 제한 범위, 식이, 투약, 개인 위생, 추후 진료
<요 약>
간호사는 환자의 수술 후 간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수술의 범위는 입원 수술에서 외래 수술에까지 걸쳐있으나, 어떠한 수술이 행해지더라도 환자는 많은 부분의 간호를 요구한다. 환자가 성공적인 수술의 경험을 가지는가의 여부는 간호의 질에 달려있다.
추천자료
수술 전 간호
[간호] 신장 이식 수술
기본간호학 - 수술
[산모][산모 간호][산전산모][산모 제왕절개수술 전후 간호][산전산모 사정][산욕기 산모 간...
장루환자 수술 전후 간호
수술실 관련 보고서. 마취제. 봉합사. 안전간호, 스크럽, 소독
백내장수술(cataract extraction) 간호
골절, 무의식환자 간호, 고위험가족 간호, 실어증, 신장이식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뇌...
수술실Sigmoid colon caner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복강경 ...
[간호학] 수술 전 간호
[간호학] 수술 전 간호 -청결 배설 영양 수분 휴식 수면 신체적 준비-
[간호학] 수술 전 간호 (신체적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