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조의 존재양태
(1)작가상의 존재양태
(2)형태상의 존재양태
(3)기능상의 존재양태
2)시조의 표현특징
(1)우의적 표현
(2)용사적 표현
(3)관용적 표현
(1)작가상의 존재양태
(2)형태상의 존재양태
(3)기능상의 존재양태
2)시조의 표현특징
(1)우의적 표현
(2)용사적 표현
(3)관용적 표현
본문내용
다.
시조에서의 용사적 표현은 선험적인 것을 단순히 맹종하기 위한 방편으로서보다는 새로운 창조를 위한 디딤돌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흔하며 그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이라 하겠다.
(3)관용적 표현
ㄱ.시조의 작자가 작시를 함에 있어서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습득한 표현어구나 주제소를 즉흥적으로 조합 혹은 재창조하여 표현하는 것.
ㄴ.향층이 공통으로 승인하는 主題素를 드러낼 때 즉흥적인 작시문법으로서 관용적 표현을 활용하는 경우를 흔히 보는데 꼭 공통의 주제소가 아니더라도 항유층 전체가 공감하는 핵심적 생각이나 느낌은 말할 것도 없고 단편적이고 세부적인 어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ㄷ.시조의 관용족 표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담당층인 사대부층의 미의식에 의해 즐겨 선택되는 관습적 상징에 관한 것들이다. 이를테면 매화, 국화, 대나무 같은 四君子에 해당되는 것들은 고결한 절개의 관습적 상징물로 시조에서 즐겨 소재로 선택되고 백로와 까마귀는 각각 선과 악을 대변하는 것으로 두견새와 외기러기는 비애와 고독을 백구는 한가함을 봉황
은 상서로움을 나타내는 관습적 상징물로 즐겨 선택되는 것들이다.
시조에서의 용사적 표현은 선험적인 것을 단순히 맹종하기 위한 방편으로서보다는 새로운 창조를 위한 디딤돌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흔하며 그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이라 하겠다.
(3)관용적 표현
ㄱ.시조의 작자가 작시를 함에 있어서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습득한 표현어구나 주제소를 즉흥적으로 조합 혹은 재창조하여 표현하는 것.
ㄴ.향층이 공통으로 승인하는 主題素를 드러낼 때 즉흥적인 작시문법으로서 관용적 표현을 활용하는 경우를 흔히 보는데 꼭 공통의 주제소가 아니더라도 항유층 전체가 공감하는 핵심적 생각이나 느낌은 말할 것도 없고 단편적이고 세부적인 어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ㄷ.시조의 관용족 표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담당층인 사대부층의 미의식에 의해 즐겨 선택되는 관습적 상징에 관한 것들이다. 이를테면 매화, 국화, 대나무 같은 四君子에 해당되는 것들은 고결한 절개의 관습적 상징물로 시조에서 즐겨 소재로 선택되고 백로와 까마귀는 각각 선과 악을 대변하는 것으로 두견새와 외기러기는 비애와 고독을 백구는 한가함을 봉황
은 상서로움을 나타내는 관습적 상징물로 즐겨 선택되는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