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이슬람교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배경
3. 이슬람교의 신앙
4. 교리와 실천
5. 역사
6. 이슬람 교도의 생활, 풍습
7. 이슬람의 여성들
8. 역사속에서 우리나라와 이슬람의 관계
- 결론
- 본론
1. 이슬람교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배경
3. 이슬람교의 신앙
4. 교리와 실천
5. 역사
6. 이슬람 교도의 생활, 풍습
7. 이슬람의 여성들
8. 역사속에서 우리나라와 이슬람의 관계
- 결론
본문내용
흔히 이슬람에서는 여성의 인권이 보호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이슬람 이전의 아랍세계에서는 여성을 재산의 일부라고 생각했지만, 무함마드 출현 이후 이슬람의 꾸란 에서는 남녀평등, 상부상조를 강조한다. “여성은 남성의 옷, 남성은 여성의 옷” 이라는 말도 있다.
또 결혼면에서도 신랑이 신부에게 마흐르라는 돈을 주는데 이것은 신부만이 쓸 수 있지 아무도 간섭을 하지 못한다. 즉, 여성은 주권과 독립권을 행사 할 수 있었다. 또 이슬람 여성들이 베일을 쓰고 다닌다. 이것을 히잡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름다운 곳을 드러내지 않아 성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이것도 역시 여성보호의 입장에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듯이 여성을 보호애햐 한다는 꾸란에서의 여성관, 이슬람 국가의 전통적 페미니즘을 볼 수 있다. 1979년 이슬람 혁명이후 엘리트 여성들로부터 히잡착용운동이 확산되었다. 이것으로 보아도 히잡착용은 이슬람 여성들에게 족쇄가 아닌 것이다. 이렇게 여성을 보호하는 것은 여성들의 지위와 권리가 신에게서 나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슬람 여성의 사회진출 또한 활발하다. 예를 들어 베쿰 칼레다 지아 라는 여성은 방글라데시 최초의 여성 수상이 되었고, 베나지르 부토는 파키스탄의 여성수상(근대 이슬람국가의 최초의 여성수상)이 되었고, 메가와티 수카르노 푸트리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여성대통령이 되었다. 이런 예들을 봐서 이슬람 국가가 오히려 여서의 사회진출이 우라나라에 비해 더 보장되어 있는 것 같다.
8. 역사속에서 우리나라와 이슬람의 관계
-이슬람의 문화가 우리나라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언뜻 생각해보면 별로 없었을 것 같다. 하지만 고대 신라(BC.57~AD.918)의 무덤에서 발굴한 대부분의도기들은 아라비아 또는 페르히아산이다. 고분들은 5세기말이나 6세기 초의 것으로 추정되며, 그것은 그 당시 아랍과의 교역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을지라도 중국을 통한 우회적 접촉은 있었을 것이다. 또한 무슬림들은 통일신라 말기에도 한반도와 접촉을 시도했었다.
이슬람의 책에 보면 “중국의 건너편에 많은 산들과 금이 풍부한 ‘신라’라고 불리는 나라가 있다. 우연히 그곳에 갔던 무슬림들은 좋은 환경에 매혹되어 영구히 그곳에 정착하고 그곳을 떠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 건너에는 무엇이 있는지는 알 길이 없다.”라는 내용이 있다.
13~15세기 고려와 조선초기에도 이슬람과의 접촉이 있었다. 13세기 몽고세력이 한반도에 들어와 있던 시기에 몽고인들과 동반하여 무슬림들이 들어왔다. 이시대 무슬림에 대한 좋은 대우로 많은 무슬림들이 정착했다. 그예로 후에 고려왕비가 된 몽고 공주의 시종으로 한국에 왔던 무슬림의 경우가 있다. 그는 한국여인과 결혼한 후에 한국에 귀화했고 현재까지도 번창하고 있는 덕수 장씨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고려 왕실에서부터 개인 무역상까지 활발히 진출하였다. 중학교때 벽란도에는 이슬람 상인들이 무역하였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난다. 그러나 조선왕조 시대에서는 점차 활동이 위축되었다. 지금까지의 내용으로 보아 이슬람이 우리나라와 결코 무관하지는 않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이슬람에대해 자세히는 아니지만. 종교와 문화적 측면을 알아보았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던 오해들(야만인이다, 여성들이 무시 받는다, 지저분하다등등)에대해 ‘그런 것이 아니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들이 그런 문화를 같는 것은 그들의 역사, 사회, 공간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생각되어야 한다. 내가 이번기회가 아니였으면 이슬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내가 교단에 서서 이슬람에 관해 아이들에게 또 어떤 오해들을 말하여 줄까? 라는 생각을 하니, 등꼴이 오싹하다. 이제 이슬람에 대해 어느정도의 오해는 풀렸으니, 앞으로 영화를 보거나 축구를 볼 때 이슬람에 대해 편견을 버려야겠다. 또한 교직에 나가 세계문화를 가르치게 될 때 학생들에게 그네들의 문화를 그네들의 입장에서 가르쳐줄수 있을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속 이슬람 문화에 대해 공부를 해야겠다.
참고문헌
1. 이희수이원삼 외, 『이슬람-이슬람 문명 올바로 이해하기』, 청아출판사 2001.
2. 최영길, 『이슬람문화의 이해』, 신지평 1997.
3. Daum cafe『전세계16억의 종교, 이슬람』(http://cafe.daum.net/islaminkorea).
4. 네이버 백과사전.
서 양 문 화 사 론
(이슬람에 관한 레포트)
2004년 4월 22일
사회교육과
또 결혼면에서도 신랑이 신부에게 마흐르라는 돈을 주는데 이것은 신부만이 쓸 수 있지 아무도 간섭을 하지 못한다. 즉, 여성은 주권과 독립권을 행사 할 수 있었다. 또 이슬람 여성들이 베일을 쓰고 다닌다. 이것을 히잡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름다운 곳을 드러내지 않아 성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이것도 역시 여성보호의 입장에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듯이 여성을 보호애햐 한다는 꾸란에서의 여성관, 이슬람 국가의 전통적 페미니즘을 볼 수 있다. 1979년 이슬람 혁명이후 엘리트 여성들로부터 히잡착용운동이 확산되었다. 이것으로 보아도 히잡착용은 이슬람 여성들에게 족쇄가 아닌 것이다. 이렇게 여성을 보호하는 것은 여성들의 지위와 권리가 신에게서 나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슬람 여성의 사회진출 또한 활발하다. 예를 들어 베쿰 칼레다 지아 라는 여성은 방글라데시 최초의 여성 수상이 되었고, 베나지르 부토는 파키스탄의 여성수상(근대 이슬람국가의 최초의 여성수상)이 되었고, 메가와티 수카르노 푸트리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여성대통령이 되었다. 이런 예들을 봐서 이슬람 국가가 오히려 여서의 사회진출이 우라나라에 비해 더 보장되어 있는 것 같다.
8. 역사속에서 우리나라와 이슬람의 관계
-이슬람의 문화가 우리나라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언뜻 생각해보면 별로 없었을 것 같다. 하지만 고대 신라(BC.57~AD.918)의 무덤에서 발굴한 대부분의도기들은 아라비아 또는 페르히아산이다. 고분들은 5세기말이나 6세기 초의 것으로 추정되며, 그것은 그 당시 아랍과의 교역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을지라도 중국을 통한 우회적 접촉은 있었을 것이다. 또한 무슬림들은 통일신라 말기에도 한반도와 접촉을 시도했었다.
이슬람의 책에 보면 “중국의 건너편에 많은 산들과 금이 풍부한 ‘신라’라고 불리는 나라가 있다. 우연히 그곳에 갔던 무슬림들은 좋은 환경에 매혹되어 영구히 그곳에 정착하고 그곳을 떠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 건너에는 무엇이 있는지는 알 길이 없다.”라는 내용이 있다.
13~15세기 고려와 조선초기에도 이슬람과의 접촉이 있었다. 13세기 몽고세력이 한반도에 들어와 있던 시기에 몽고인들과 동반하여 무슬림들이 들어왔다. 이시대 무슬림에 대한 좋은 대우로 많은 무슬림들이 정착했다. 그예로 후에 고려왕비가 된 몽고 공주의 시종으로 한국에 왔던 무슬림의 경우가 있다. 그는 한국여인과 결혼한 후에 한국에 귀화했고 현재까지도 번창하고 있는 덕수 장씨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고려 왕실에서부터 개인 무역상까지 활발히 진출하였다. 중학교때 벽란도에는 이슬람 상인들이 무역하였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난다. 그러나 조선왕조 시대에서는 점차 활동이 위축되었다. 지금까지의 내용으로 보아 이슬람이 우리나라와 결코 무관하지는 않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이슬람에대해 자세히는 아니지만. 종교와 문화적 측면을 알아보았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던 오해들(야만인이다, 여성들이 무시 받는다, 지저분하다등등)에대해 ‘그런 것이 아니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들이 그런 문화를 같는 것은 그들의 역사, 사회, 공간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생각되어야 한다. 내가 이번기회가 아니였으면 이슬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내가 교단에 서서 이슬람에 관해 아이들에게 또 어떤 오해들을 말하여 줄까? 라는 생각을 하니, 등꼴이 오싹하다. 이제 이슬람에 대해 어느정도의 오해는 풀렸으니, 앞으로 영화를 보거나 축구를 볼 때 이슬람에 대해 편견을 버려야겠다. 또한 교직에 나가 세계문화를 가르치게 될 때 학생들에게 그네들의 문화를 그네들의 입장에서 가르쳐줄수 있을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속 이슬람 문화에 대해 공부를 해야겠다.
참고문헌
1. 이희수이원삼 외, 『이슬람-이슬람 문명 올바로 이해하기』, 청아출판사 2001.
2. 최영길, 『이슬람문화의 이해』, 신지평 1997.
3. Daum cafe『전세계16억의 종교, 이슬람』(http://cafe.daum.net/islaminkorea).
4. 네이버 백과사전.
서 양 문 화 사 론
(이슬람에 관한 레포트)
2004년 4월 22일
사회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