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광고의 역사와 발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광고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광고(advertising)의 어원

■ 광고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 광고(advertising)의 정의를 통해 살펴본 광고의 특징

■ 광고(advertising)의 역사

■ 슬라이드 자료 설명

본문내용

10년(무단정치시기) 한일합병 뒤 광고에는 일본어가 사용되었다.
상품도 일본제품이 많았고, 광고도 일본에서 만든 것(그림6)이 대부분이었다.
담배와 약품광고에 이어서,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사용한 맥주나 포도주등의 식료품광고가 늘어났다.
새로운 상품으로 등장한 인단(은단)광고와 치약광고, 라이온 치마 등의 광고가 다양한 일러스트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게재되었고, 전면광고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20년(문화정치시기)에는 1919년 3.1운동의 영향으로 무단정치가 문화정치로 바뀌면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창간되었고, 이때 상품이 다양한 것에 따라 광고도 다양해졌다.
그 광고에는 기계류회사, 은행 등의 기업광고를 했으며, 1920년대 후반에는 포드나 시보레(그림8)등의 자동차광고가 나타났다.
또한, 그라브 백분 피부미백제 등의 화장품과 비누광고는 여자소비자들을 겨냥해서 그에 걸맞게 여자모델을 사용했다.
1923년에 물산장려운동과 함께 등장한 별표고무신, 동양 목 박가분(그림9) 등의 광고는 국산품 애용을 권장하자는 문안과 함께 민족정서를 반영하는 일러스트를 이용했다.
1930년대 일러스트가 더욱 다양하고 과감하게 사용되었고 메시지 등의 의미전달 보다는 이미지가 강조되는 광고(그림9-1)가 나타났다.
대중문화의 형성과 함께 음반이나 악기광고(그림10)가 선 보였으며, 유한양행(그림
11)의 광고는 계몽적이면서 참신한 일러스트로 눈길을 끌었다. 또 약품광고(그림11-1)도 많았다.
만주사변의 발발과 함께 비행기, 탱크 그림(그림12)이나 철모를 쓴 아이를 등장시킨 궁극 주의적인 광고는 시대상을 보여준다.
1930년대 후반에는 위와 같은 광고의 수가 더욱 증가하였다.
1937년 일본의 중국침공에서 시작된 중일 전쟁은 드디어 미일 전쟁으로 확산되면서 그에 따른 광고도 쇠퇴기를 맞이하였다.
1940년대에는 미일 전쟁의 발달로 소비산업이 위축되어 광고의 수가 줄어든 가운데, 궁극주의적인 색체가 더욱 강해 졌다.
이때에는 국민의 건강을 강조하는 분위기로 와까모토 예비오제와 같은 비타민 약품광고(그림13)가 많아졌다.
1945년 8.15 해방이후의 광고에서는 일본어가 사라졌으나, 형식이나 일러스트는 일본식 광고기법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1950년에는 간장(그림14), 껌, 카라멜, 사이다, 소주등의 식품광고가 주류를 이루면서 약품광고가 다시 많아졌다.
이때의 광고기법은 단순해져서 영화광고 이외에는 사진을 사용하는 광고가 많지 않았다.
1950년대 말에 상업 사진가의 등장으로 금성 라디오 광고(그림15)등이 사진을 사용한 광고로 자리 잡았다.
1950년대 후반부터 영화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영화광고(그림16)가 많이 나타났다.
1956년에 개국한 민방TV, 1959년에 등장한 라디오광고 등이 등장했으나 아직은 미흡했다.
1960년대 상업사진의 발달로 선명한 사진이 많이 활용되었고 광고의 사이즈도 커졌다.
상품을 설명하는 문안보다는 제품의 이미지가 직접적으로 강조되면서 광고의 여백이 많아진 것도 특징이다.
이때에 선풍기를 비롯한 전자제품과 자동차(그림17)등이 주요광고로 등장했으나,
감기약, 모기약, 비타민 등의 약품광고가 여전히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1960년 4.19 학생 혁명 후 급증했던 통신, 잡지 등의 광고가 5.16 군사혁명 이후에 급감했다.
T.V광고는 1963년 1월부터 국영 KBS T.V에서 본격화 되었다.
1970년대 라디오, T.V, 냉장고등의 가전제품 광고가 눈에 띄게 늘어났으며 기업 PR광고도 많아졌다.
또한 이때의 광고는 서구적으로 변했으며, 인쇄기술의 발달로 화장품광고는 계절 감각을 느끼게 하는 색체효과를 사용(그림18)하기 시작했다.
1968년대 합동통신 기획 실시로 시작된 광고대행 기업은 제일기획 연합광고(그림19) 등이 이 따라 생겨나 광고제작사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에는 본격적인 컬러광고(그림20) 시대가 시작되었다.
화장품, 요리, 패션, 스포츠용품 등을 중심으로 대거 등장했으며, 사회전반의 걸쳐 여가활동이 강조되면서 스포츠 소재의 광고가 크게 늘어났고, 컵라면 등의 일회용 인스턴트식품의 광고(그림21)도 많아졌다.
평면적인 것 보다는 색체의 차이를 이용해서 깊이 감을 주는 일러스트가 유행하였다.
1981년대 이후에는 제 5공화국 출범과 함께 언론에 대한 통제는 강화되었고, 언론 기본법이 제정됨에 따라 모든 방송은 공명화 되는 한편, T.V 칼라화는 색의 혁명을 일으켰다.
방송의 광고와 함께 한국방송공사가 설립되어 모든 방송광고 판매를 독점하게 되었다.
88 서울올림픽은 1961년 5.16군사혁명 이후 계속된 언론통제의 막을 내리는 자극이 되었다.
자유에 대한 욕구는 드디어 언론 기본법의 폐기를 가져왔고 언론자유가 회복되었다.
1960년대에는 광고기법이 다양해지고 자유스러워졌으며 컴퓨터 이동통신 등이 신세대를 겨냥한 상품광고(그림22)가 대거 들어났다.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감성적 광고가 주류를 이루어 상ㅊ품에 대해 설득하기 보다는 감각적이고 자극적으로 인지시키는 수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컬러시대를 역 이용하여 단색 적으로 만듦(그림23)으로써, 눈에 띄게 하는 광고도 등장하였다.
2002년 현재에는 더욱더 다양한 광고기법이 사용되고, 특히 인터넷광고(그림24)와 휴대폰, T.V 홈쇼핑광고로 까지 발전되었다.
미래의 광고는 사람의 심리를 이용하여 사고자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광고, 혹은 다양한 방향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시뮬레이션 광고(그림25)가 등장할 것이다.
참고문헌
신문박물관
- http://www.presseum.org
광고정보센터
- http://www.adic.co.kr
AD CAHNNEL
- www.adchannel.com
한국광고백년
- http://www.advertising.co.kr/uw-info/dispatcher/mat/200102_special.html
한국방송광고공사
- http://www.kobaco.co.kr
한국백년신문백년
- (주)한국프레스센터 1995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서적)
- 한성주보, 독립신문, 제국신문, 황성신문, 만세보, 동아일보, 매일신문, 조선일보
  • 가격1,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