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와 설화 형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1. 양반들의 참여
2. 신재효
◈. 판소리계 소설
◈. 판소리계 소설의 구성과 인물
1. 구성
2. 인물
3. 특징
◈ 판소리계 소설의 주제
1. 사실적 묘사
2. 양면성
◈ 설화(說話)의 정의.
◈ 설화의 특징
◈ 신화·전설·민담(설화)의 차이
◈ 설화의 종류

참고

본문내용

지니고 그에 따라서 이야기의 구조가 세계적 보편성을 띠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승의 주체가 일반 서민인 경우가 많은 것이나 인간의 정신적인 영역의 보편성을 증명해 주는 자료로서 민담이 흔히 거론되는 것도 민담의 이러한 성격 때문이다.
민담은 대체로 동물 설화, 본격 설화, 소화로 구분하지만 본격 설화와 파생 설화로 구분하기도 한다.
(1). 동물 설화 : 동물 담이나 자연 설화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동물에 관한 이야기나 동물이 행위자로 등장하는 이야기를 포괄한다. 동물의 유래를 이야기한 것이나 동물을 통해 우화(寓話)를 펼친 것이 모두 여기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구토 설화'나 '장끼전', '서대주전'등이 그 구체적인 사례이다.
(2). 본격 설화 : 주인공의 출생에서부터 행복한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하는 설화를 말한다. 부분만이 이야기될 때는 파생 설화라고 한다. 본격 설화는 현실 담과 공상 담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경험적 현실에서 가능한 이야기를 다룬 설화가 현실 담이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초현실적인 이야기를 다룬 이야기가 공상 담이다.
(3). 소화 : 웃음을 야기할 수 있는 소재의 이야기. 한국 민담은 골계적 성격이 강한 과장된 이야기나 어리석은 사람을 비웃는 치우 담, 사람을 골려 먹는 사기담이 주류를 이룬다. '봉이 김선달'등은 한국적 소화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해학적 성격이 강하다. 소화는 그 종류를 다시 나누어 과장 담(誇張談), 모방 담(模倣談), 치우 담, 사기담, 경쟁 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승호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이해>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