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생애 및 가계
2.시대적 배경
3.중심사상
① 의천의 화엄사상
② 원효사상의 재발견과 계승
③ 의천의 천태사상
4. 그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
5. 역사적 위치 혹은 사상적인 평가
6. 저술
*참고문헌
2.시대적 배경
3.중심사상
① 의천의 화엄사상
② 원효사상의 재발견과 계승
③ 의천의 천태사상
4. 그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
5. 역사적 위치 혹은 사상적인 평가
6. 저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으로 하여 화엄사상을 포용한 것이 의천의 천태사상이 지니는 특징이었다. 이것은 원래 의천이 원래 화엄종의 승려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니 화엄종의 대표적인 승려로서 정통사상을 계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태종을 개립한 것은 아마도 시대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천태교학을 열심히 연구하고 끝내는 숙종조에 천태종을 개립하게 된 데에는 그럴 만하나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국사는 천태의 회삼귀일, 일심삼관의 교의로써 국가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선교의 통합을 도모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특히 고려에 들어와서는 태조로부터 목종대까지는 선종이 당당한 세력을 갖고 있었지만, 현종 이후부터는 화엄 등의 교종이 세력을 얻어 선종에 정면으로 맞서게 되고, 이들 선·교의 대립은 더욱 심각하게 되었다. 즉 신라 원효스님 으로부터 강조되어 왔던 통화이념은 망각된 채 각 종파가 난립하여 서로간에 대립과 투쟁만을 계속하게 되어 교단은 물론이요, 국민사상에까지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의천은 이러한 고려 불교의 통폐를 바로잡아 올바른 국민사상을 확립하고 정도를 밝혀 교계를 통일시킴으로써 전통을 이르려는 것이 천태종 개립의 목적이요 의의였던 것이다.
이처럼 의천은 선과 교를 천태교학으로 융화시킴으로써 고려 불교를 정로로 인도하여 신라 말부터 일기 시작한 선교의 분쟁을 화합시키려 하였다. 국사는 천태의 관법에 선을 연결하였고, 화엄일승과 천태의 일승이 이론적이나 우주와 인생의 통화적 이념에 있어서 대동하다 하여 천태에다 화엄을 포섭하고, 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사상과 학을 이에 귀일 시킴으로써 교계의 융화와 사상의 통일을 기하려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의천의 사상은 높이 평가 되어야 될 것이며, 그러기에 그의 사상이 아직까지도 계승되고 발전되어 오는것이다.
6. 저술
대각국사 의천은 신집원종문류 22권, 신편제종교장총록 3권, 석원사림 250권, 간정성 유제론단과 3권, 팔사경직석, 소화경직석 등 10여 부 300여권의 저술을 남겼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없어지고 현재에는 신편제종교장총록 3권과 대각국사문집.대각국사외집의 낙장본 과 원종문류, 석원사림의 잔편과 간정성유식론단과의 서문 만이 전해 오고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대각국사 의천」, 차차석, 밀알, 2000
「한국고승일화집」, 함재수, 도서출판여래, 1989
「한국문화와 불교」, 목정배, 불교시대사, 1995
특히 고려에 들어와서는 태조로부터 목종대까지는 선종이 당당한 세력을 갖고 있었지만, 현종 이후부터는 화엄 등의 교종이 세력을 얻어 선종에 정면으로 맞서게 되고, 이들 선·교의 대립은 더욱 심각하게 되었다. 즉 신라 원효스님 으로부터 강조되어 왔던 통화이념은 망각된 채 각 종파가 난립하여 서로간에 대립과 투쟁만을 계속하게 되어 교단은 물론이요, 국민사상에까지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의천은 이러한 고려 불교의 통폐를 바로잡아 올바른 국민사상을 확립하고 정도를 밝혀 교계를 통일시킴으로써 전통을 이르려는 것이 천태종 개립의 목적이요 의의였던 것이다.
이처럼 의천은 선과 교를 천태교학으로 융화시킴으로써 고려 불교를 정로로 인도하여 신라 말부터 일기 시작한 선교의 분쟁을 화합시키려 하였다. 국사는 천태의 관법에 선을 연결하였고, 화엄일승과 천태의 일승이 이론적이나 우주와 인생의 통화적 이념에 있어서 대동하다 하여 천태에다 화엄을 포섭하고, 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사상과 학을 이에 귀일 시킴으로써 교계의 융화와 사상의 통일을 기하려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의천의 사상은 높이 평가 되어야 될 것이며, 그러기에 그의 사상이 아직까지도 계승되고 발전되어 오는것이다.
6. 저술
대각국사 의천은 신집원종문류 22권, 신편제종교장총록 3권, 석원사림 250권, 간정성 유제론단과 3권, 팔사경직석, 소화경직석 등 10여 부 300여권의 저술을 남겼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없어지고 현재에는 신편제종교장총록 3권과 대각국사문집.대각국사외집의 낙장본 과 원종문류, 석원사림의 잔편과 간정성유식론단과의 서문 만이 전해 오고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대각국사 의천」, 차차석, 밀알, 2000
「한국고승일화집」, 함재수, 도서출판여래, 1989
「한국문화와 불교」, 목정배, 불교시대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