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대외관계 및 위만조선과 고조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대외관계 및 위만조선과 고조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고조선의 성립과 위치 문제
2. 고조선의 왕과 단군왕검
3. 고조선의 전개와 발전
-발굴된 유적와 유물을 중심으로-
①8조금법
4. 고조선의 대외관계
5. 위만조선과 고조선의 멸망
①위만조선의 통치조직
②위만조선의 경제수단의 발달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자(太子)가 봉해져 있었던 것으로 보아, 안정되고 독점적으로 왕위를 계승하는 왕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비왕(裨王)은 왕을 보좌하고 행정을 총괄하는 직책으로 왕과 함께 정치 외교에 관여하는 일종의 부왕(副王)과 같은 존재였다.
대신(大臣)으로 불리는 상(相)과 장군(將軍)이 중앙의 통치에 주로 관여하였다. 상(相)은 왕이나 비왕과 함께 최상위 신분층으로 보이는데, 각 지역별로 책임자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조선상(朝鮮相), 이계상(尼谿相) 등이 확인된다. 이들은 중앙 왕실과 별도로 지방에 토대를 두고 성장한 세력집단의 대표로서 독자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존재였다. 상당한 자치력을 가지고 있던 이들은 국정 운영에 관여하면서 회의체를 통해 왕을 통제하였다. 그리고 이같은 성격은 고구려 초기에 부(部)의 장이었던 상가(相加)와 비슷한 점이 있다. 장군(將軍)은 군사 업무를 총괄하여 치안을 유지하고 정복활동을 수행하는 기능과 관련된 관직이다. 원래 장군은 전국시대 이후에 문무직(文武職)이 분화하여 무관직이 분리되면서 나타난 용어였다. 전문 무관직이 분화되기 이전에는 그 역할을 상(相)이 함께 맡았었는데, 고조선 사회에서 장군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그 사회에 상당한 직능분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고도로 편재된 군사조직 체계를 말해주는 단위부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 군사력이 한(漢)나라와 맞설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도 한다. 한편, 지방 통치는 지역 기반을 가지고 있는 상과 경(卿) 등이 맡았으며 박사(博士)와 같은 존재가 중앙의 통치를 대신하였다.
한편, 이들 상층 지배계층 외에 하층 지배계층도 존재하였다. 준왕(準王)이 피난할 때에 동행한 것으로 남아있는 궁인(宮人)은 통치계급의 일부이나 상층은 아니고 일반 피지배층과도 구별되는 일종의 중간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피지배층으로 민(民)이 존재하였고, 노비(奴婢)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② 위만조선의 경제수단의 발달
이 시기는 이전의 주요경제수단이었던 수렵, 어로, 채집 등도 생업경제에 일정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농경과 짐승 기르기의 비중이 점차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농경은 철기 농기구의 사용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철로 만든 괭이, 보습, 낫 등의 발달된 농기구가 생산력 향상을 불러온 것이다.
그리고 짐승의 가축화 시기에서 보이듯 소에 이어 말을 가축화하는데 성공하여 농토를 갈고 수레를 끄는데 동물들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Ⅲ. 결 론
이 과제를 하면서 많이 배우게 되었다. 단군왕검과 고조선에 대한 것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과제이며, 특히나 고조선 위치의 강역문제는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인 것이다. 고조선은 민족의 구심점이라고도 볼 수 있으니 말이다.
Ⅳ. 참고문헌
『삼국유사』, 일연지음, 이동환 옮김, 도서출판 장락, 1996
『한국사통론』, 변태섭 역, 삼영사, 1996
『고조선제국사』, 김종서지음, 민족문화, 2001
『단군과 고조선사』, 노태돈 편, 사계절,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