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의 배경과 종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미경의 배경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현미경의 배경
2.현미경의 구조

본문내용

되는 이차전자는 바깥으로 돌출된 부위에서는 더 많이 생성되며 안쪽으로 함몰된 부위에서는 적게 생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표면의 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신호의 변화는 검전기(detector)에 의해 검출되어 음극선관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 음극선관은 일차전자빔과 동시에 연결되어 움직인다. 이와 같이 얻어진 사진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물체가위에서 비추는 빛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입체적인 상으로 관찰되므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선으로 표본의 표면(surface)을 빈틈없이 주사(scanning)하여 표면에서 발생하는 2차전자(secondrary electrons)를 전자검출기(detector)로 모아서 증폭시킨 것을 브라운관(CRT)에서 화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필요하면 카메라로 촬영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의 확대율은 투과전자현미경의 것 보다 분해능은 떨어지나 관찰하려는 복잡한 표면을 가진 표본이라 할지라도 깊은 초점심도(focusing depth)를 통하여 입체적인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그 최대의 장점이다.
*reference
조직학 제2판/ L.Carlos Junqueira 외2인/ 1999년/ 고려의학/ p.4-8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