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미생물학] 미생물(微生物)의 역사와 발전 - 미생물학의 시작, 현미경의 출현과 미생물의 발견, 자연 발생설의 쇠퇴, 화학요법시대의 개막, 생명화학과 미생물학, 생명공학의 발전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미생물학] 미생물(微生物)의 역사와 발전 - 미생물학의 시작, 현미경의 출현과 미생물의 발견, 자연 발생설의 쇠퇴, 화학요법시대의 개막, 생명화학과 미생물학, 생명공학의 발전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생물학의 시작
2. 현미경의 출현과 미생물의 발견
3. 자연 발생설의 쇠퇴
4. 화학요법시대의 개막
5. 생명화학과 미생물학
6. 생명공학의 발전단계

본문내용

여러마리 분열 시 순수분리X
5) Hansen : 희석법-1개 효모세포 순수분리→맥주 품질 안정을 위해 순수 분리된 우량효모 사용 필요 ex)5개→큰 거, 작은거 하나씩 버리고 ÷ 3 = 평균
6) D.Iwanowsky :박테리오 파지 발견- 미생물 보다 작은 여과성의 병원체 ,미생물이 숙주
4. 화학요법시대의 개막
1) Hansen과 Lindner : 맥주 우량 효모의 순수배양법→소적배양법(dropculture)
2) A. Fleming : 페니실린 최초 발견-푸른곰팡이(Penicillium notatum)이 포도상구균을 용해하는 물질 생산
cf) 거름종이에 푸른곰팡이를 묻혀 마른 후 배지에 붙이면 그 주위에 세균X
3) S.A.Waksman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발견
5. 생명화학과 미생물학
1) pasteur : 생효모가 아니면 알코올 발효 하지 않음
2) E. Buchner(부크너) : 발효능이 있는 효모 추출액(zymase)제작
효모의 알코올 발효 효소제(산 효모 존재X→알코올 발효O)
3) 해당경로 : 동물조직 속 글리코겐이 젖산으로 분해되는 과정
4) Beadel과 Tatum(비들과 테이텀) : 세균의 접합 현상 발견, 1유전자 1효소설 제시
5) 왓슨과 크릭: DNA의 이중나선구조 발견(생물학 제2혁명)
6) mRNA와 tRNA기능 해명→유전정보전달과정(DNA→mRNA→단백질)→분자생물학 진보
7) .Jacob과 Monod(제이콥과 모노)
- 유전자 조절에 대한 오페론설 주장(lactose를 기질로 한 배지→미생물배양→β-galacto sidase유도되어 생성됨)
- Nirenberg(니렌비그) : 유전암호 해명→3개의 염기배열이 특정 아미노산 한 개 지정
8) Kornverg(코베르그) : 제한효소(DNA 특정 염기배열 식별, 이중사슬 절단하는 엔도뉴클레아제)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기술 개발→유전자 조작, 유전자공학, 재조합 DNA분야에서 발전
6. 생명공학의 발전단계
* DNA 이중 나선 구조 규명(1953)→중합 효소 발견(1953)→제한효소 사용(1969)→재조합 생명체 등장(1973)→DNA 서열 분석법 개발(1977)→DNA 증폭기술 개발(1983)→유전자 치료 실시(1990)→유전자 변형 식품 등장 및 승인(1994)→인간 게놈 지도 완성(2001)
* 유전자 변형 식품(GMO) : 생산성 향상, 상품질 강화를 위해 본래 유전자 변형시켜 생산된 농산물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