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의 병실 도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대상자의 병실도착

@간호과정의 단계
1.사정:자료수집

@퇴원시 교육

@활력증상
1.체온
2.맥박
3.호흡
4.혈압
5.느낀점

본문내용


·정맥의 상태
·주입용액의 유형에 따라
·주입예상기간에 따라
6)정맥주입조절 장치
-경고장치가 있어 안전하다.
-사용하는 경우
·수액에 약물이 첨가되어 약물의 치료적 혈중농도를유지하기 위해
·정밀한 주입 속도 유지
·급속도로 첨가하면 부작용을 초래하는 첨가물(고농도 포도당, 아미노산 함유된 수액 주입시)
·수액양에 매우 민감한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
7)수액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속도 계산
(1)시간당 ml 수의 계산
총주입량/총주입시간=주입량/시간당
(2)분당 주입 방울수 계산
방울수/분당=총주입량 점적통의 ml당 방울수/주입시간(분)
계속적 수액 주입시 수액병과 튜브 교환: 대상자가 계속적으로 수액주입을 하는 경우는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48시간 마다 튜브를 교환해야 한다.
대상
실습에 관한 서술: 구강간호 혹은 회음부 간호를 할때 사용되는 용품을 무균적으로 준비 해야 할때
학습내용: 외과적 무균의 원리
①멸균된 물품은 멸균된 물건과 접촉 되었을 때만 무균상태로 유지 된다.
멸균+깨끗=오염 , 멸균+오염=오염, 멸균+멸균 인지 깨끗한지 모를 때=오염
②멸균된 물품이나 영역이 시야 밖에 있거나 허리 수준 밑에 있을 경우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③멸균된 물품이나 영역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다.
멸균 영역 위에서 대화, 기침, 재채기 등은 삼가고, 그 위로 무엇을 주고 받으면 안된다.
④멸균된 표면이 오염된 면에 뭍었을 때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왜냐면 습기는 오염의 원인이다.
⑤무균 영역이나 멸균 영역 가장자리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
⑥용액은 중력에 의해서 흐른다는 원리로 forcep의 자세는 수직으로 한다.
대상
실습에 관한 서술
학습내용
·dressing set :
가장 간단한 set로 감염예방, 상처와 주위조직관찰, 배출액흡수, 약을 바 른상태의 유지, 상처고정등의 목적으로 상처를 소독하고 멸균드레싱을 할 때 사용한다. 상처 정도에 따라 필요한 소모품 즉 gauze, sponge, 소독가위, 소독용액 곡반(puspan), 반창 고(plaster), 붕대가위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멸균장갑등을 더 준비한다.
①종지(bowl) 1개 :소독솜과 멸균용액을 넣어 사용한다.
②섭자(forceps) 1개 : 멸균된 소독솜이나 거즈등을 무균적으로 집어 상처를 닦을 때 사용한다.
대상: 성인 8명
실습에 관한 서술: Foley
학습내용:
foley catheterization set :
정체도뇨관을 삽입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①hole towel : 시술과정중에 요도주위로 부터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멸균지역을 확보 할 때 사용되는 타월로 가운데 직경 약10cm가량 구멍이 있다
②forceps : 멸균된 소독솜이나 거즈등을 무균적으로 집어 요도구 주위 회음부위 피부를 소독할 때 사용한다
③straight hemostat : 시술과정중에 소변으로 인한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foley catheter 의 소변출구를 clamp할 때 사용한다
④bowl 小 2개 : ⅰ)회음부위 피부 소독용 솜을 담는다
ⅱ)foley catheter의 풍선을 부풀일 때 사용되는 증류수를 담는다
⑤4ⅹ4 gauze : foley catheter의 요도구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surgical jelly를 묻힐 때 사용한다
대상: 성인 8명
실습에 관한 서술: 섭취량과 배설량(예를 들어 혈액 투석을 하러 가는 신부전 환자들이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해서 혈액 투석을 얼마나 할것인지 결정했다.)
학습내용
①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록하는 것은 대부분의 환자간호에 있어 중요하다.
②보통 환자의 수분의 구강섭취량 및 정맥주사를 통한 섭취량, 소변의 배설 및 다른 형태로 수분을 상실한 경우의 배설량을 기록하기 위해 환자침상 옆 탁자에 섭취량 및 배설량 기록지를 갖다 놓는다.
③구강을오 수분을 섭취할 때에는 그때그때 기록지의 적당한 칸에 기록한다. 정맥주사를 통한 섭취량은 간호사가 정맥주사에 대해 관찰할 때마다 적당한 칸에 기록한다.
④환자 침상 옆에 있는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지에 기록된 액체 섭취량을 8시간 마다 합계를 내어 oralintake란에 기록한다.
⑤parenteral란에는 정맥으로 주사한 액체의 양(20cc이상)을 기입한다. 이때 반드시 처방 번호를 적색으로 기입한다.
⑥blood란에도 수혈을 시작한 후 즉시 처방번호를 기입한다.
⑦배설량은 소변, 위배출액, 담즙배출액, chest tube배출액 등과 같은 상처 배액과 출혈토물, 혹은 설사 등 그 형태에 따라 기록한다.
⑧환자 침상 옆에 있는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지에 기록된 소변량을 8시간 마다 합계를 내서 기입하거나 또는 소변을 받아 놓은 큰 병을 비울 때 마다 urine output란에 기록한다.
⑨drainage 와 suction 난에는 배출액병을 비울 때 마다 양을 기록하거나 또는 drainage bottle에 헝겊 반창고를 길이로 붙여 놓고 8시간 마다 금을 긋고 시간을 기입한 후 배출액의 양을 기입한다.
⑩vomitus 란에는 구토를 하였을 때의 구토물의 양을 기록한다.
⑪8시간 마다 섭취량과 배출량의 합계를 계산해서 각각 해당 total란에 기입한다.
⑫밤번 간호사가 아침6시에 섭취량과 배출량 각 란의 24시간 총계를 계산해서 기입한다.
느낀점
5일간의 실습기간동안 느낀 점은 간호사란 직업이 전문적이기도 하고, 육체적으로 뛰어다니면서 시행하다 보니 참 힘들었다. 학교에서 이론만 배우는 것들을 임상에서 직접 적용하니 이론적으로 이해가 힘든 부분들도 실제로 눈으로 보니 이해도 잘되고 기억에 남아서 좋았다.
내가 실습했던 과가 내과 입원 병동이였고, 나는 day 근무시간 이였다.
내과에서는 아침에 인계를 마치면 V/S를 재러 다니고 대부분 링겔을 맞았다. 링겔을 대부분 맞았기 때문에 정맥주사에 관한 실습을 많이 할수 있었다. 수술전의 환자에 대해 오리엔테이션등 수술전 간호 부분을 보지 못했고, 수술하고 나서는 다른 병동으로 가서 수술후 간호 부분도 보지 못했다. 그리고 3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들이 스스로 움직일수 있었기에 목욕하는 것도 보지 못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