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서의 구조 분석 신학적의미 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가서의 구조 분석 신학적의미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가서 서론
1. 아가서의 명칭
2. 역사적 배경
3. 아가서의 저자
4. 아가서의 연대, 형성시기
5. 기록 목적
6. 아가의 주요 주제들
아가서 본문
1. 아가서의 기본 내용
2. 아가서의 기본 구성
3. 아가서에 대한 해석
4. 단락과 구조(내용 분해)
5. 아가서의 특징
신학적 가치 및 해석
1.아가서에 나타난 그리스도
2. 역사 비평적 문제들
3. 신학적 관점에서 본 아가서
4. 아가서의 정경성
5. 신학적 목적
6. 신학적 해석학적 의미들

본문내용

하면 결국 신자들에게는 이 세상이 독사의 굴 이 아니기 때문이다. 구속받은 자들의 생활은 비참한 흔적과 더불어 사는 생활이 아니 다. 그리스도께서 큰 뱀을 물리치심으로 우리의 비참함과 슬픔을 정복하셨다.
이처럼 남녀간의 사랑도 모든 형식적인 것들을 초월해야 하며, 복종하거나 이용하는 관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처럼 종종 잘못 이해되어온 아가서에서 메시아적 기쁨이 솟아나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아가서에서는 사랑의 게임이 진지하게 다루어지고 있 다. 왜냐하면 그 사랑의 신비는 그리스도와 그의 신부인 교회의 관계를 상징하고 있지 때문이다(코넬리스 반더발, 1999, P163~164).
(5)거룩한 방법으로 사모함
아가서의 메시지는 삶이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는다는 것과, 그 결과로 성생활을 통하여 영원한 기쁨을 미리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에덴동산에서 인간의 왕권은 결혼과 관련해서 부여되었다. "생육하고 번성하라". 남 자와 여자는 하나님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지음을 받았던 것이다(코넬리스 반더발, 1999, P166).
4. 아가서의 정경성
미쉬나에서 약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책이 유대교의 정경으로 받아들여지게 되 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랍비 아키바의 강력한 언급은 반대들을 억누르 고 이 책의 위치를 영원히 확정짓기 위한 것임에 틀림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온 세상은 아가서가 이스라엘에게 주어지던 날을 누릴 자격이 없다. 모든 성문서들은 다 거룩하며, 그 중에서도 아가서는 가장 거룩하다".
반대를 야기 시킨 것은 아가서가 외설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는 이 시가 솔로몬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이러한 성적인 색채를 누그러뜨리는데 도움을 주는 랍 비들 및 기독교의 알레고리적 해석들에 의해서 압도되었다. 유대인들은 이 책이 이스라 엘에 대한 하나님의 비할 바 없는 사랑을 그리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부터는 이 책이 "손을 부정하게 하는"거룩한 글들 속에 포함된다고 간주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윌 리엄 라솔, 1994, P881~882).
5. 신학적 목적
만약 이 이와 같은 사랑의 시가 원래 하나님의 사랑을 알레고리적, 혹은 모형론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의도된 것이 아니라면 과연 이 시가 성경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어떤 것인가 의문을 제시한다.
이 책은 그 자체로 하나님의 사랑의 선물인 인간의 사랑의 놀라움을 보여주는 하나의 교훈, 다시 말해서 확장된 잠언, 혹은 비유이다. 보통 금욕주의는 성에 대한 기독교적인 견해로서 간주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이러한 견해는 하나님의 사랑이 설정해 놓으신 결혼이라는 테두리 내에서의 육체적인 사랑의 본질적인 선함과 정당성을 부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가서는 극단적인 성적 추구 혹은 남용과 금욕주의 사이의 건전한 성경적 균형을 대단한 언어 표현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서는 "아가서는 단지 인간의 사랑의 순결성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경의 한 부분으로서의 이 책은 우리 인간의 사랑보다 더 순결한 사랑을 우리에게 상기시켜준다(윌리엄 라솔, 1994, P894).
6. 신학적 해석학적 의미들
(1)아가서가 이미 알레고리화 되었기 때문에 정경에 들어갔다고 주장하는 것은 구약 성 서 개론에 있어서 평상적인 것이 되었다고 한다. 정경적인 형성의 증거의 견지에서 볼 때 이 설명은 매우 의문스러운 것으로 나타나지만, 책의 정경적 형태가 어떤 알레 고리적인 형성의 영향을 받은 적이 있었다는 표시는 아무 곳에도 없다고 본다. 오히 려, 지혜 문학 안에서 아가서의 위치는 그 메시지를 예언적 주제들로 대치하려는 시도 들에 저항된다고 한다. 또한 아가서는 신성화 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는 "세속적인" 사 랑의 시로서 정경에 들어간 것도 아니다. 도리어, 아가는 이스라엘 제도적인 삶 가운 데서 가졌던 것과 본질적인 동일한 역할 안에서 정경에 들어간 것이다. 그것은 결혼 축제에서 표현된 인간의 사랑의 신비들을 경축한 것이라고 본다.
(2)아가서는 잠언서와 같이 지혜학파들 안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하나의 신학 적인 틀로서 정경적인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해 지혜의 궤도 안으로 도입되어진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이러한 신학적인 틀은 아가서의 해석을 위한 특수한 문 맥을 설정해 주었던 것이다.
(3)아가서의 메시지는 솔로몬이라는 역사적 상황을 넘어서 보편적인 인간 경험으로서 그 현상 자체를 포함하도록 미묘하게 확장시킴으로서 현실화되었다.
솔로몬에 대한 역사적인 언급들은 기본적으로는 그 자료를 그 장르로 분류되게 하 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그러한 언급들이 그 자류를 돌이킬 수 없는 과거에 묶어 두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챠일즈, 1987, P553)
참고 문헌
1. 롤란드 헤리슨(류호준 역), 구약서론 (하),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69}1996.
2. 챠일드(김갑동 역), 구약 정경 개론,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
3. 윌리암 라솔(박철현 역), 구약 개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1999
4. 앤드류 힐, 존 윌튼(유선명 역), 구약 개론, 서울: 은성 출판사, [1994]1996
5. 헨리에타 C미어즈(이정기 역), 성서 대개관, 서울: 보이스사, 1996
6. 최종진, 구약 성서 개론, 서울: 소망사, 1986
7. 정규남, 구약 개론, 서울: 개혁주의 신앙협회, 1985
8. 이상근 신학박사, 구약 성서 주해 '아가서', 서울: 성등사, 1994
9. 윌리암 라솔(박철현 역), 구약개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0
10. 코넬리스 반더발(명종남 역), 반더발 성경연구2(시가서에서 선지서까지),
서울: 줄과추 도서출판, 1999
11. 김영진발행, 마스터 성경,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9
12. 김창인, 박대선, 박영희외, 그랜드 종합주석(아가서),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제자 원, 1995
13. 이영제, 이영제 목사의'Study Bible', 인터넷 자료 조사(이영제 목사 홈페이지)
14. 딜란드, 롱맨(박철현 역), 최신구약 개론, 서울: 클;스챤 다이제스트, 199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