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방법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육방법의 개념적 기초
1. 교수의 개념
2. 교수와 학습의 구분
3. 교수와 학습의 차이점
4. 교육방법의 개념적 의의

Ⅲ. 교수학습의 이론
1. 행동주의학습이론
2. 인지주의 학습이론
3. 인본주의학습이론

Ⅳ. 교수 - 학습의 경향
1. 강제성과 자율성
2. 집단과 개성

Ⅴ. 교수학습의 기본원리
1. 방향의 원리
2. 활동면에서의 원리

Ⅵ. 교수학습의 방법
1. 강의법
2. 문답법
3. 발문법
4. 분단학습법
5. 문제해결학습법
6. 구안학습법
7. 프로그램학습법
8. 공동학습법
9. 발견학습법
10. 시범학습법
11. 브레인스토밍

ⅵ.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
1. 환경교육의 성격
2. 환경 교육의 원칙

ⅷ. 환경교육의 교수학습의 방법
1. 강의법
2. 토의학습법
3. 조사 학습법
4. 실험·실습법
5. 놀이(게임)․표현
6. 역할놀이와 연극․모의 사태 해결법
7. 현장체험학습
8. 견학학습법
9. 역할놀이법(role playing)
10. 문제 해결 학습법
11. ICT 활용 학습법
12. NIE 학습법
13. 탐구 학습법
14. 과학/기술/사회교육(STS교육)

Ⅸ. 나의 교수-학습 방법(결론)

Ⅹ. 참고문헌

본문내용

loration)활동의 단계
⑤ 5단계 : 증거제시(evidencing)의 단계
⑥ 6단계 : 결론(conclusion) 및 일반화(generation)의 단계
13-5. 탐구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① 학생들에게 문제를 제기해 주기 위한 모든 자료를 준비하여 검토한다.
② 학생의 입장에서 탐구해 봄으로써 학생의 흥미를 강화시켜 준다.
③ 학생의 주장이나 논의가 본래의 학습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통제를 하여야 한다.
④ 학생의 창의적 사고와 풍부한 상상의 세계를 펼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보상과 자극을 주어야 한다.
⑤ 특히 가치의 문제와 관련된 사회과 과목에서는 교사의 공평함을 잃지 말아야 하며 자연과 과목에 대해서 교사는 "긍정"과 "부정"의 의사를 명확히 밝혀 주어야 한다.
14. 과학/기술/사회교육(STS교육)
설명 및 해결방안 제시
토론을 통해 전에 가지고 있던 생각 수정 또는 교정
*문제해결 방법 설명
*해결방법을 발표하게 하고, 해결과정에서 해결하지 못한 것을 토론을 통해 이해하게 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교사가 보충 설명
실행
실생활 문제에 전이(적용)
*학생들의 생각을 확인 및 정착시키기 위해 새로운 상황에 적용한다.
*가능한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한다.
14-1.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원칙
학생이 코스의 조직자로서 문제를 확인한다.
문제해결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정보추구에 학생이 참여한다.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정보추구에 학생이 참여한다.
수업을 교실밖으로 연장한다.
학생에게 확인된 문제해결 때 시민정신을 이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14-2. STS수업의 특징
학생 중심 수업으로 진행하며, 교사는 지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교과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업 자료를 사용해서 수업을 진행한다.
획일적이고 평균지향의 수업을 벗어나 학생의 경험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과학, 기술에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와 논쟁거리를 다룬다.
교사는 교과서와 교실상황에서 벗어나 학생의 경험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지식의 기억과 이해에서 벗어나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중요시한다.
Ⅸ. 나의 교수-학습 방법(결론)
환경교육은 우리 사회에 새로운 상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몇 년 전까지만해도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피울 수 있었고 그것이 상식이었으며, 심지어 재떨이 까지 준비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제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는 몰상식한 사람이 취급을 받고 아마 경범죄로 처벌될것이다. 어느 시대에는 상식이었던 것이 어느 시대가 오면 몰상식과 죄악이 되기도 한다. 만약 환경교육이 새로운 상식을 만들고 퍼뜨려가는 과정이라면 거기에는 반식시 묵은 상식과 결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식이란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인식'이다. 우리사회의 새로운 관점과 그에 입각한 구체적인 증거 자료에 의해어 담금질되는 무기이다.
환경교육은 환경행동을 소극적 자세로 수용하여 습관적으로 환경 행동을 익히는 과정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환경쟁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책임있는 환경행동을 하는 시민이 되기 위하여 환경 쟁점을 조사하고 분석하며, 평가에 근거하는 과학적이며,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도록 설계한다. 환경교육에서의 책임있는 시민행동은 교사들의 신념이나 가치에 의해 형성된 환경행동을 학생들에게 주입하거나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현재나 미래에 건전하고 사회적으로 책임있고, 자주적이며, 자기평가적인 활동에 의해 형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줌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게 나에게 문제인가?(인식) 내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가치의형성)(John Fien, 1999)
환경인식이란 "환경과 환경문제의 존재여부, 존재상태, 변화의 크기와 방향, 환경문제의 인과관계등에 주의를 기울이고 느끼거나 체험적으로 알게 되는 과정 또는 그런 상태"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환경문제는 개인적 연간성을 형성하고 광역적인(지역적, 국가적, 지국적) 환경쟁점에 대한 이해의 전개가 형성된다. "내가 만약 수자원의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땜의 중요성에 대한 것을 모른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무엇가를 안다고 말할 때 그것은 무엇을 이미하는가? 환경적으로 소양있는 사람은 '인간생활의 실질적인 질과 환경의 실질적인 질 양자와 일치하는 환경적인 결정을 할수 있고 동시에 할 용의가 있는 사람'이다. 환경문제나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행하는 모든 형태를 친환경적 형태의 개념을 인식하여야 한다.
나의 교수-학습 방법은 책임있는 환경 행동을 할수 있은 소양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에 중점을 둘것이다. 환경교육의 내용들은 환경쟁점에 초점을 두고 있어, 조력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과목이다. 환경문제는 매우 광역적이고 지역간의 갈등, 정부의 갈등, 시민단체의 갈등등으로 학생의 인지발달 과정에서 딜레마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님비현상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등을 이용하여, 책임있는 시민을 길러내고 싶다.
Ⅹ. 참고문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김순택 외, 현대수업원론, 교육과학사
호재숙 외,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김충기, 생활지도 상담 진로지도, 교육과학사
김충기, 생활지도교육, 학문사
김동일 외,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교육부, 1997, 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부, 1997, 학교 교육 과정 해설
환경부, 1999. 학교 환경교육 내용체계화 연구
남상준 외, 1999,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최돈형 외, 2002, 환경교육학개론
박태윤 외, 2002, 21세기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김남일 외, 2000, 인간 환경 교육, 춘천 교육대학교 출판부
http://krivet3.krivet.re.kr/krivet-htm/bookdata1/a20103800/a20103800/a20103800.txt
http://home.cein.or.kr/%7Egoto33/doc/ed2-507.htm
http://www.itosil.com/leechan/doc/text/1/1_5/1_51.htm
http://home.pusan.ac.kr/%7Esjlee1/text/et6.hwp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