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계 중합과 연쇄 중합의 반응기구와 속도론
1)단계 중합 (polycondensation)
■ 중합기구
■ 중합예
2) 라디칼 연쇄 중합 (addition polymerization)
■ 중합 기구
■ 중합예
1)단계 중합 (polycondensation)
■ 중합기구
■ 중합예
2) 라디칼 연쇄 중합 (addition polymerization)
■ 중합 기구
■ 중합예
본문내용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분자의 경우 x는 항상 3보다 훨씬 큽니다. 따라서, 우리는 단계중합에서
작용기의 반응성은 작용기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이 좋은 가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두번째 가정의 타당성 : 두번째 가정은 한 작용기의 반응은 다른 작용기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sebacoyl chloride와 여러 가지
디올의 반응의 속도상수를 비교하여 봅시다 (표 2).
HO(CH2)xOH + ClOC(CH2)8COCl ---> -O(CH2)xOCO(CH2)8CO-
표 2. 염화 세바코일과 디올의 중합반응 속도 상수 (26. 9 oC; 용매, dioxane).
분자 크기, x
k x 103 for HO(CH2)xOH
5
6
7
8
9
10
0.60
0.63
0.65
0.62
0.65
0.62
표 2를 보면 에스터 중합반응속도 상수는 x에 무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웃 작용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은 적절한 가정인 셈입니다.
에스터화 반응, 아마이드 반응, 우레탄 형성 반응 등 단계중합은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이 확산보다 느리므로 분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제 단계중합에 대한 이 두 가지 가정을 염두에 두고 단계중합의 반응속도를 공부해봅시다.
1) 라디칼 연쇄 중합 (addition polymerization)
○ 중합 기구
- 개시반응
(1) 개시제의 분해
ex1) AIBN
ex2) BPO
(2) 단량체의 개시 반응
- 성장 반응
- 정지반응
① 커플링(coupling) 반응
② 불균제화(disproportionation) 반응
고분자의 경우 x는 항상 3보다 훨씬 큽니다. 따라서, 우리는 단계중합에서
작용기의 반응성은 작용기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이 좋은 가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두번째 가정의 타당성 : 두번째 가정은 한 작용기의 반응은 다른 작용기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sebacoyl chloride와 여러 가지
디올의 반응의 속도상수를 비교하여 봅시다 (표 2).
HO(CH2)xOH + ClOC(CH2)8COCl ---> -O(CH2)xOCO(CH2)8CO-
표 2. 염화 세바코일과 디올의 중합반응 속도 상수 (26. 9 oC; 용매, dioxane).
분자 크기, x
k x 103 for HO(CH2)xOH
5
6
7
8
9
10
0.60
0.63
0.65
0.62
0.65
0.62
표 2를 보면 에스터 중합반응속도 상수는 x에 무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웃 작용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은 적절한 가정인 셈입니다.
에스터화 반응, 아마이드 반응, 우레탄 형성 반응 등 단계중합은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이 확산보다 느리므로 분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제 단계중합에 대한 이 두 가지 가정을 염두에 두고 단계중합의 반응속도를 공부해봅시다.
1) 라디칼 연쇄 중합 (addition polymerization)
○ 중합 기구
- 개시반응
(1) 개시제의 분해
ex1) AIBN
ex2) BPO
(2) 단량체의 개시 반응
- 성장 반응
- 정지반응
① 커플링(coupling) 반응
② 불균제화(disproportionation) 반응
추천자료
식물조직 배양 및 실험 PCR의 원리와 특징
DNA 기술 (DNA technology)
구강세포 genomic DNA를 추출, PCR을 통해 염색체 다형성관찰
PCR(polymer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한 미량의 유전자 검출
Chromosomal DNA isolation of E.coli(대장균) Gene manipulation using PCR
[생화학 실험] PCR-mediated mutagenesis
[고분자합성] Suspension polymerization에 의한 폴리스티렌(polystyrene) 합성 실험
폴리스틸렌(Polystyrene) 반응실험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초유전학실험]3.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생물학 실험 예비 보고서
PCR의 종류와 활용 &고려사항 총정리본!! [유전공학&실험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