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반응에 대한 고찰
- 결과 분석 및 고찰
1. 개시제 및 연쇄이동제 농도에 대한 영향
2. 반응 온도의 영향
3. 반응기 크기에 따른 영향
4. 열전달 계수의 영향
5. 냉각수 온도의 영향
6. 초기 반응 온도의 영향
- 비평과 제안
- 결론
- 반응에 대한 고찰
- 결과 분석 및 고찰
1. 개시제 및 연쇄이동제 농도에 대한 영향
2. 반응 온도의 영향
3. 반응기 크기에 따른 영향
4. 열전달 계수의 영향
5. 냉각수 온도의 영향
6. 초기 반응 온도의 영향
- 비평과 제안
- 결론
본문내용
미친다고 할 수 있다.
4. 비평과 제안
그래프와 결과 분석을 하면서 느끼게 된 여러 부족한 점을 나열하고자 한다.
먼저, 실험을 하였던 용매 및 개시제의 반응 조건을 제시하여 주지 않았다. 개시제의 개시반응의 방법(즉, 라디칼의 생성방법)또한 제시해 있지 않아서, 때문에 결과를 해석하는 데 한계점이 있었다. 그래프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또한 많은 문제점에 부딪히게 되었다. 그래프에서 각 축의 변수들의 정의와 단위들이 명확하지 않아서 어떤 결과를 나타내려고 하는 그래프인지 파악하기가 힘들었으며, 그래프의 조건들(1,2,3으로 나타낸...)을 그래프마다 바꿔놓아서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특히, 수 평균 분자량은 반응이 일어날수록 분자랑은 증가하여야 하지만, 그래프 상에서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어 그래프가 틀린 것으로 사료된다. 0(반응초기)부터의 값은 빈 공간으로 두어 정확한 해석이 어려웠다.
또한 이 논문을 분석하면서 개선, 보완 할 점을 생각해보았다.
먼저, 그래프 상에서 데이터들의 수치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아서 정확한 값을 알 수 없음이 아쉬웠다. 따라서 그래프 상에 점을 찍어 수치를 표시해주거나 그래프보다는 표로 나타내는 게 더 좋지 않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반응온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 시 온도의 변위를 좀 더 크게 하였으면 더 명확한 결론을 얻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전체적으로 실험 결론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PS 합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알아보려는 실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것 같고, 정확한 이론의 제시가 아쉬운 논문이다.
5. 결론
Polystylene 은 우리 사회에서 범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고분자 물질이다. 고분자의 특성상 중합정도에 따른 분자량의 영향은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반응에 미치는 변수와 그에따른 분자량의 영향은 연구를 많이 해왔고, 많은 결과들이 도출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동안 중합에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들에 대한 각각의 결과를 종합 도출하려 했음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Polystylene 은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중합이 진행되는 고분자 물질로, 위에서 고찰해 본 바와 같이 개시반응, 성장반응, 정지반응, 연쇄이동반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반응에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는 온도, 농도, 촉매의 영향, 용매의 영향등을 들수 있는데, 논문의 실험결과에서도 이 변수들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분자의 합성에는 대체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관계로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를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분식 반응기는 그 특성상 온도의 조절이 쉽고, 그 부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험조건을 달리하며 영향을 살펴보기에는 적당한 반응기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을 설계할 때에는 이런 반응기는 적절하지 않을것이라 생각되었고, 새로운 반응기에 대한 조건들을 설계하기위해서는 추가적인 데이터들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중합체의 중합에 미치는 영향은 논문의 결과에서 미루어 유추해 보면, 일정 시간내에서 연쇄이동제는 개시제나 단량체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작음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반응 온도와 반응기의 크기, 열전달 계수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음 또한 확인할 수 있었고, 개시제의 농도에는 비례함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논문에서는 열분해 개시반응임을 표시해 주지 않았지만, 열분해 개시반응임을 고려하여 보았을때, 개시제인 benzoil peroxide의 열분해 온도 Harry R. allcock and Frederick W. Lampe and James E. Mark , "Contemporary Polymer Science" ed. by 이영무,서동학,권순기 , p154 ,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04)
(60~80℃)를 유지시켜줌이 반응이 가장 원활히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비평과 제안에서도 서술 하였지만 다시한번 강조해 본다면, 논문에서 여러조건들이 구체적으고 명확한 수치로 주어지지 않음이 아쉬운 점이었고, 논문을 분석하면서 난해한 점이었다.
논문의 해석과 비평을 하면서 논문을 어떻게 작성하여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결론을 도출할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고, 어렵고 멀게만 느껴졌던 논문이 이해할수 있고, 분석할 수 있음에 자신감을 얻을수 있는 기회였음을 마지막으로 밝히는 바이다.
4. 비평과 제안
그래프와 결과 분석을 하면서 느끼게 된 여러 부족한 점을 나열하고자 한다.
먼저, 실험을 하였던 용매 및 개시제의 반응 조건을 제시하여 주지 않았다. 개시제의 개시반응의 방법(즉, 라디칼의 생성방법)또한 제시해 있지 않아서, 때문에 결과를 해석하는 데 한계점이 있었다. 그래프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또한 많은 문제점에 부딪히게 되었다. 그래프에서 각 축의 변수들의 정의와 단위들이 명확하지 않아서 어떤 결과를 나타내려고 하는 그래프인지 파악하기가 힘들었으며, 그래프의 조건들(1,2,3으로 나타낸...)을 그래프마다 바꿔놓아서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특히, 수 평균 분자량은 반응이 일어날수록 분자랑은 증가하여야 하지만, 그래프 상에서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어 그래프가 틀린 것으로 사료된다. 0(반응초기)부터의 값은 빈 공간으로 두어 정확한 해석이 어려웠다.
또한 이 논문을 분석하면서 개선, 보완 할 점을 생각해보았다.
먼저, 그래프 상에서 데이터들의 수치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아서 정확한 값을 알 수 없음이 아쉬웠다. 따라서 그래프 상에 점을 찍어 수치를 표시해주거나 그래프보다는 표로 나타내는 게 더 좋지 않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반응온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 시 온도의 변위를 좀 더 크게 하였으면 더 명확한 결론을 얻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전체적으로 실험 결론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PS 합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알아보려는 실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것 같고, 정확한 이론의 제시가 아쉬운 논문이다.
5. 결론
Polystylene 은 우리 사회에서 범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고분자 물질이다. 고분자의 특성상 중합정도에 따른 분자량의 영향은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반응에 미치는 변수와 그에따른 분자량의 영향은 연구를 많이 해왔고, 많은 결과들이 도출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동안 중합에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들에 대한 각각의 결과를 종합 도출하려 했음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Polystylene 은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중합이 진행되는 고분자 물질로, 위에서 고찰해 본 바와 같이 개시반응, 성장반응, 정지반응, 연쇄이동반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반응에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는 온도, 농도, 촉매의 영향, 용매의 영향등을 들수 있는데, 논문의 실험결과에서도 이 변수들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분자의 합성에는 대체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관계로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를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분식 반응기는 그 특성상 온도의 조절이 쉽고, 그 부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험조건을 달리하며 영향을 살펴보기에는 적당한 반응기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을 설계할 때에는 이런 반응기는 적절하지 않을것이라 생각되었고, 새로운 반응기에 대한 조건들을 설계하기위해서는 추가적인 데이터들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중합체의 중합에 미치는 영향은 논문의 결과에서 미루어 유추해 보면, 일정 시간내에서 연쇄이동제는 개시제나 단량체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작음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반응 온도와 반응기의 크기, 열전달 계수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음 또한 확인할 수 있었고, 개시제의 농도에는 비례함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논문에서는 열분해 개시반응임을 표시해 주지 않았지만, 열분해 개시반응임을 고려하여 보았을때, 개시제인 benzoil peroxide의 열분해 온도 Harry R. allcock and Frederick W. Lampe and James E. Mark , "Contemporary Polymer Science" ed. by 이영무,서동학,권순기 , p154 ,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04)
(60~80℃)를 유지시켜줌이 반응이 가장 원활히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비평과 제안에서도 서술 하였지만 다시한번 강조해 본다면, 논문에서 여러조건들이 구체적으고 명확한 수치로 주어지지 않음이 아쉬운 점이었고, 논문을 분석하면서 난해한 점이었다.
논문의 해석과 비평을 하면서 논문을 어떻게 작성하여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결론을 도출할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고, 어렵고 멀게만 느껴졌던 논문이 이해할수 있고, 분석할 수 있음에 자신감을 얻을수 있는 기회였음을 마지막으로 밝히는 바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실험34. 비누화 반응
[실험보고서]효소반응속도론
실험 - 시계반응
화학 및 실험 II 시계반응 프리젠테이션
일반화학 실험 - 반응열의 측정과 Hess의 법칙
일반화학실험- 화학 반응속도
물리화학실험 - 화학반응의 온도의존성
알코올의 반응 - 실험목적, 이론 및 원리, 알코올의 분류
[유기화학 실험] 08.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제조 예비 : 이번 실험은 방향족 니트...
[유기화학 실험] 08.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제조 결과 : 이번 실험은 방향족 니트...
[일반화학실험] 은거울반응 : 포도당 속의 포르밀기가 붙어있는 화합물은 환원성이 있는데 용...
[물리1] (결과) 오차론, 반응시간 - 실험 1 반응시간 측정 & 실험 2 중력가속도 측정
화공기초실험, 반응열측정,실험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