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시아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Ⅱ. 러시아 국가의 기원
Ⅲ. 키예프 공국(882~1240)
1. 끼예프 공국의 시기구분
2. 끼예프의 통치자
Ⅳ. 몽골-따따르 지배시기(1240-1480)
Ⅴ. 모스크바 러시아(1480-1613)
Ⅵ. 로마노프 왕조와 제정러시아(1613-1917)
1. 표트르 대제(1682~1725)
2. 에카테리나 여제(1762~1796)
3. 알렉산더 1세(1777~1825)
4. 니콜라스 1세(1825~1855)
5. 알렉산더 2세(1855~1881)
6. 알렉산더 3세(1881~1894)
7. 니콜라스 2세(1894~1917)
Ⅶ. 소비에트 러시아(1917-1991)
1. 소비에트 러시아의 시기구분
Ⅷ. 러시아연방(1992--☞ )

본문내용

정부의 무능 등으로 불만이 쌓였다. 수도인 페테르부 르크의 식량배급 중단사태를 계기로 불만이 폭발하여 1917년 2월 혁명이 발 생하였다. 두마 지도자들은 두마를 해체하고 '르보트'공을 수반으로 하는 임시정부를 수립하여 니콜라스 2세를 퇴위시켰다. 이로써 러시아 짜르체제 는 끝을 맞게 되었다.
Ⅶ. 소비에트 러시아(1917-1991)
제1차 세계대전에의 참전과 패배로 인해 빈곤에 찌든 인민들의 시위와 파업이 계속되었다. 1917년 2월혁명이 일어나 니콜라이 2세를 축출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임시정부가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자, 이에 대항하는 노동자와 병사들의 대표들로 구성된 볼셰비키혁명 세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마침내 1917년 11월 7일(러시아 구력으로 10월 25일)에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파가 임시정부를 전복시키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성공하여,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레닌은 혁명 직후, 주요 산업 및 은행의 국유화, 신분제 폐지, 인민재판소 설치, 의회의 해산 등과 같은 혁명적 입법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신생 소비에트 정권은 부르주아와 지주 등 우익 백군(白軍), 즉 반(反)혁명세력의 봉기와 연합국(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의 개입으로 위기를 맞았다. 이에 레닌은 모든 기업의 국유화, 노동의무제, 곡물징발제, 식량배급제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시(戰時) 공산주의' 정책을 실시하는 동시에, 소비에트 적군(赤軍)을 동원하여 내란을 종식시켰다. 전시 공산주의 정책은 농민의 반발과 경제복구의 실패 등으로 오히려 신생 소비에트 정권을 위기상황으로 몰았다. 이에 1921년 레닌은 '신경제정책(New Economic Plan:NEF)' 을 채택하면서, 자유농 인정, 농산물 판매 허용, 사기업 인정 등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신경제정책으로 경제가 신속히 복구되었고 인민의 생활수준도 다소 향상되었다. 한편 레닌은 고전적인 마르크스의 명제에서 벗어나 러시아 한 나라만이라도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일국 사회주의론' 을 전개하였다. 이는 러시아혁명 후 주변국가에서 기대했던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소비에트 정권의 안정 자체가 시급한 현실에 대한 전략적 대응으로서 나온 이념 수정이었다. 레닌의 신경제정책과 일국 사회주의론은 격렬한 이념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당내 갈등의 와중에 22년 스탈린은 당 총서기로 임명되었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카프카스(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아르메니아)로 이루어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소련)'이 탄생되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과 혁명을 거치는 동안 신생 소비에트 정권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서부지역의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였다. 이러한 영토상실은 39~45년에 소련이 회복하는 영토보다 많았다.
1. 소비에트 러시아의 시기구분
① 레닌시기: 1917년 -- 1924년
② 스딸린 시기: 1924년 -- 1953년
③ 흐루시쵸프 시기: 1953년 -- 1964년(실각)
④ 브레즈네프 시기: 1964년 -- 1985년
(안드로뽀프와 체르넨꼬 포함: 1982년 -- 1985년)
⑤ 고르바쵸프의 시기: 1985년 -- 1991년 (12월 31일: 소연방 해체)
12월 8일: 민스크 선언
12월21일: 알마아타 선언
12월25일: 고르바쵸프, 옐친에게 정권이양
Ⅷ. 러시아연방(1992--☞ )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 아래 소련 내 각 공화국의 독립 움직임이 크게 일어났다. 1991년 6월 러시아공화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옐친은 보다 급진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고르바초프와 대립하였다. 91년 8월 19일 옐친의 도움으로 보수파의 쿠데타가 저지된 후 옐친은 정치적 입지가 더욱 강화되었다. 옐친은 연방정부를 무력화하고 러시아공화국의 독립을 성취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91년 10월 러시아공화국의 독자적인 경제개혁을 추구할 수 있는 3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들은 대통령 포고령이 헌법 및 기타 법률과 동등한 권한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것을 무효화할 수 있도록 하여 옐친의 정치적 권한을 크게 확대시켰다. 또한 공화국 간 거래에 국제가격을 적용하고 연방에 대한 재정지원을 대폭 삭감함으로써 연방정부를 기능불능상태에 빠지도록 하였다. 마침내 91년 12월 11개 공화국이 카자흐스탄의 수도 알마아타에서 독립국가연합 결성을 합의함으로써 소련은 완전히 해체되고 1992년 1월 1일자로 러시아를 비롯한 각 공화국은 완전한 독립국가가 되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2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