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E (토코페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발견

2. 화학적 성질

3. 대사

4. 작용 및 결핍증

5. 과잉증

6. 권장량

7. 함유식품

8. 분석법

본문내용

1일 2.7mg의 비타민 E가 분비된다. 따라서 하루에 3mg의 비타민 E를 더 섭취하도록 권한다.
7. 함유식품
비타민 E는 자연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보통 종자, 전곡, 식물성유에 지방과 함께 존재한다. 또한 계란, 우유, 간, 녹색채소 등에도 비타민 E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밀의 배아에서 짜낸 기름에 많다. 자연식품 내에는 비타민 E가 다소나마 존재하므로 이것이 산화적 부패를 방지해준다. 그러므로 현재 판매되는 기름에 비타민 E를 섞어 여러 영양소의 파괴를 방지하고 있다.
표 1. 비타민 E가 풍부한 식품(mg/100g)
식품명
함량
식품명
함량
강낭콩
3.6
마가린
54.0
살코기
1.4
오트밀
2.1
버터
2.4
낙화생유
22.0
코코넛유
8.3
완두
2.1
옥수수
1.7
고구마
4.0
옥수수유
87.0
현미
2.4
면실유
90.0
콩기름
140.0
계란
2.0

2.3
8. 분석법
토코페롤류의 분석법에는 비색법, GC(gas chromatography),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1) 비색법
토코페롤은 FeCl3용액으로 처리하면 P-quinon으로 되고 Fe는 환원되어 Fe+2로 되는데, 이 Fe+2는 , '-dipyridyl과 착염을 형성하면서 진한 홍색을 띄므로 이를 비색정량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른 토코페롤이 아닌 산화환원계에 의해서도 Fe+2를 발생시킴에 따라 과잉정량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2) GC(gas chromatography)
앞의 비색법보다 정확도는 우수하나 직접법으로는 형과 형의 토코페롤이 잘 분리되지않고, 콜레스테롤 등의 스테롤류가 겹쳐서 검출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자의 rudd 시료를 미리 trimethylsiryl(TMS)화함으로 분리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는 전처리 과정에서 먼저 프로리딜컬럼을 사용하여 방해물을 제거하고, 다시 디기토닌 celite컬럼으로 스테롤류를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3)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 , 토코페롤 분리분석이 가능하며 정확도가 가장 우수함에 따라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지류는 전처리가 필요없으나 시료에 따라 전처리나 precolum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야채, 과일 등의 토코페롤 측정이 있어 chloropyhll carotenoid류는 직접 정량을 방해하지 않지만, 칼럼에 흡착되어 현저히 칼럼을 오염시켜 기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시료를 검화하여 불검화물을 모아서 분리하는데 alumina 칼럼을 사용하여 chlorophyll을 제거하고, 토코페롤 획분만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기도 한다. HPLC 구성 기기 및 칼럼제조기술이 발달되어 검출의 정확도는 많이 향상되었으나 그만큼 세심한 시료전처리 및 기기적용이 요구된다.
* 참고 문헌
♣ 기초 영양학
저 자- 이혜수
발행인- 유제동
발행처- 교문사
♣ 인터넷- http://home.ulsan.ac.kr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