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농업의 뜻.
가. 농업의 뜻.
나. 농업의 특징.

2. 농업의 영역.
가. 농업의 생산 분야.
나. 농업 관련 분야.

3. 농업의 역할과 중요성.
가. 식량의 생산과 확보.
나. 다른 산업 발전에의 기여.
다. 국토의 보존.
라. 유전자원의 보존 관리.
마. 생활환경의 정화.
바. 사회 및 경제의 안정.

4. 국내외 농업의 현황.
가. 세계의 농업.
나. 우리나라의 농업 .

본문내용

류와 서류도 약간 감소하였다. 양곡의 성격, 즉 식량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영양이 풍부하고, 사람의 기호에 맞아야 하며, 오래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 면 에서는 단위 면적당 수량의 안전성이 높아야 하며, 쉽게 가꿀 수 있어서 싼 가격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양곡 수급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 양곡의 자급도가 1976년에 74.1%이 던 것이 1986년에 44.5%로 크게 떨어졌으며, 1992년에는 34.3%로 저조한 상태이다. 주곡인 쌀의 자급 도는 1981년에66.2%, 1987년에 99.8%, 1992년에 97.5%로 나타났다.
(ㄴ) 공예 작물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공예 작물의 종류는 많으나, 재배 면적과 생산은 많지 않아서 1992년에는 총 농업 생산액의 2.8% 정도였다. 주요 공예 작물의 생산 상황은 전매 작물인 담배와 인삼의 비중이 크고, 그밖에 참깨, 평지, 들깨 등도 비교적 많이 생산된다.
공예 작물의 재배는 앞으로 새로운 종류나 우량한 품종을 도입 또는 육성하여 각 지역에 알맞은 것을 가려 재배하는 한편, 재배 기술을 개선하고 집단 재배 단지를 소성하여 합리적인 경영을 해 나간다면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 있다.
(ㄷ) 원예 작물 : 우리나라의 원예 작물 생산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총 농업 생산액의 35.1% 정도로, 그 중 채소가 약 25.5%, 과수가 약 7.8%이다.
주요 채소의 생산 상황을 살펴보면 열매 채소류는 수박, 참외가 1986년에 44.5%로 크게 떨어졌으며, 1992년에는 34.3%로 저조한 상태이다.
주요 과일의 생산 상황을 살펴보면 사과, 배, 감귤, 복숭아 등이 주요 작목으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모두 늘고 있다. 과일은 특히 안정된 생산과 품질의 향상이 중요하며, 유통 구조의 개선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훼 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여 조경 분야와 함께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산업이 되고 있다.
(ㄹ) 축 산 : 우리나라의 주요 가축은 한우, 젖소, 고기소, 돼지 및 닭 등으로, 한우는 예부터 매우 중요한 가축으로 사육되어 왔고, 젖소는 최근 우유 소비량의 증가와 함께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쇠고기의 소비 증가와 함께 고기소도 도입, 사육되고 있다. 돼지는 기르는 마리 수가 상당히 많은데, 이는 돼지고기의 수급과 관계가 있으며, 기복이 심하다. 닭은 근래 달걀과 닭고기의 소비가 늘어나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사료 기반이 약해 곡물 파동 등으로 닭, 돼지 등은 가격 변동이 매우 심하다.
축산물의 생산 상황을 살펴보면, 생산이 크게 증가하여 육류 총 생산량은 1992년에 99만 t에 이르고, 그 중 돼지고기가 62만t, 닭고기는 24만t, 나머지는 쇠고기이다. 국민 식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축산물의 1인당 연간 소비가 크게 늘어 앞으로도 더욱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ㅁ) 양 잠 : 잠업의 생산 상황은 매년 감소 추세에 있는데, 양잠은 농가 부업으로 알맞아, 수출 시장을 개척하고 새 상품을 개발하는 등의 진흥책이 요청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