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50,466
100
94,727
63
10,511
7
42,915
29
2,313
1
구분
사육가구수(호)
사육두수(두)
구분
사육가구수(호)
사육두수(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18
21
34
267
57
52
58
2,260
293
241
556
2,890
1,047
718
1,255
33,049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71
1,760
2,313
908
1,503
989
561
65
15,452
17,275
22,909
10,630
18,286
12,062
11,245
2,558
사육전망
우리나라에서는 사슴의 주산물이 사슴고기보다는 녹용을 생산할 목적으로 사슴의 사육하여 왔으며 최근 들어 다른 가축과 같이 사육두수의 증가와 함께 전업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녹용의 자급률은 아직도 극히 낮아 20~30%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아직도 외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녹용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1997년 IMF이후 녹용의 소비량은 일시적으로 감소추세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최대의 녹용 소비국으로 산림자원을 활용한 조사료원의 개발과 녹용 일변도의 경영보다는 녹육 및 기타 양록 산물을 산업화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양록산물을 생산한다면 앞으로도 양록업의 앞날은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산업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경영의 합리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으로 국제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양질의 녹용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축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만 있다면 아직도 국내의 양록산업은 발전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4. 사슴고기의 산업화 방안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직까지 사슴고기를 접해본 경험이 아주 적거나 거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슴고기의 산업화는 당장의 이익을 위해서 무분별하게 이용하는 것보다는 연구를 통하여 사슴고기의 특징을 먼저 이해하고 사슴고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최대한 살리면서 또한 단점은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면서 산업화가 추진된다면 사슴고기의 산업화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늙은 사슴의 경우는 육질이 질길 수 있으므로 사슴고기 보다는 중탕용으로 이용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이 되며 사슴고기로 이용은 3세이하의 사슴고기 생산량이 낮은 사슴이나 사슴의 수급조절을 위하여 암사슴의 사슴고기화 방안도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사슴고기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사슴고기의 장점을 최대한 홍보할 수 있는 방안과 사슴고기의 특징을 살린 요리법의 개발도 사슴고기의 소비를 늘리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사슴고기의 특성
ㅇ 사슴고기는 지방,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및 에너지 등은 다른 고기에 비하여 낮고 단백질, 광물질, 비타민B
함량은 높다.
ㅇ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도 사슴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50~55%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소고기와 면양고기의 ~5%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다.
ㅇ 사슴고기의 냄새와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7개월 이내에 도살을 한다.
ㅇ 사슴고기는 철분의 함량이 다른 고기보다 높아 고기의 색깔이 검게 보일 수 있으므로 진공비닐포장 등의 방법을 이용 시장에서 요구하는 육색을 유지한다.
ㅇ 녹육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을 위해 매우 짧은 시간동안에 매우 뜨거운 요리 방법이 필요하다.
ㅇ 사슴고기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은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이므로 뉴질랜드의 경우는 도살 후 고기에 낮은 볼트로 전기자극을 주어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pH 또한 도살 후 2시간 이내에 pH 6이하로 유지시키는 연구를 이미 하였다.
ㅇ 한국에서의 녹육의 유통은 냉동육보다는 냉장육의 형태가 더바람직한 방 법으로 생각이 되며 -1C 에서 12~16주 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100
94,727
63
10,511
7
42,915
29
2,313
1
구분
사육가구수(호)
사육두수(두)
구분
사육가구수(호)
사육두수(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18
21
34
267
57
52
58
2,260
293
241
556
2,890
1,047
718
1,255
33,049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71
1,760
2,313
908
1,503
989
561
65
15,452
17,275
22,909
10,630
18,286
12,062
11,245
2,558
사육전망
우리나라에서는 사슴의 주산물이 사슴고기보다는 녹용을 생산할 목적으로 사슴의 사육하여 왔으며 최근 들어 다른 가축과 같이 사육두수의 증가와 함께 전업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녹용의 자급률은 아직도 극히 낮아 20~30%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아직도 외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녹용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1997년 IMF이후 녹용의 소비량은 일시적으로 감소추세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최대의 녹용 소비국으로 산림자원을 활용한 조사료원의 개발과 녹용 일변도의 경영보다는 녹육 및 기타 양록 산물을 산업화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양록산물을 생산한다면 앞으로도 양록업의 앞날은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산업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경영의 합리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으로 국제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양질의 녹용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축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만 있다면 아직도 국내의 양록산업은 발전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4. 사슴고기의 산업화 방안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직까지 사슴고기를 접해본 경험이 아주 적거나 거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슴고기의 산업화는 당장의 이익을 위해서 무분별하게 이용하는 것보다는 연구를 통하여 사슴고기의 특징을 먼저 이해하고 사슴고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최대한 살리면서 또한 단점은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면서 산업화가 추진된다면 사슴고기의 산업화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늙은 사슴의 경우는 육질이 질길 수 있으므로 사슴고기 보다는 중탕용으로 이용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이 되며 사슴고기로 이용은 3세이하의 사슴고기 생산량이 낮은 사슴이나 사슴의 수급조절을 위하여 암사슴의 사슴고기화 방안도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사슴고기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사슴고기의 장점을 최대한 홍보할 수 있는 방안과 사슴고기의 특징을 살린 요리법의 개발도 사슴고기의 소비를 늘리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사슴고기의 특성
ㅇ 사슴고기는 지방,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및 에너지 등은 다른 고기에 비하여 낮고 단백질, 광물질, 비타민B
함량은 높다.
ㅇ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도 사슴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50~55%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소고기와 면양고기의 ~5%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다.
ㅇ 사슴고기의 냄새와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7개월 이내에 도살을 한다.
ㅇ 사슴고기는 철분의 함량이 다른 고기보다 높아 고기의 색깔이 검게 보일 수 있으므로 진공비닐포장 등의 방법을 이용 시장에서 요구하는 육색을 유지한다.
ㅇ 녹육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을 위해 매우 짧은 시간동안에 매우 뜨거운 요리 방법이 필요하다.
ㅇ 사슴고기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은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이므로 뉴질랜드의 경우는 도살 후 고기에 낮은 볼트로 전기자극을 주어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pH 또한 도살 후 2시간 이내에 pH 6이하로 유지시키는 연구를 이미 하였다.
ㅇ 한국에서의 녹육의 유통은 냉동육보다는 냉장육의 형태가 더바람직한 방 법으로 생각이 되며 -1C 에서 12~16주 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신발에 대해......(신발의 역사..)
빵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빵문화에 대하여
인공지능의 역사와 연구분야 그리고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실태
우리나라 저항 운동(시민운동, 데모, 단식투쟁 등등)의 역사와 현실 및 고찰
[과외]중2-국사 I 우리나라의 역사와 우리의 생활
우리나라 술의 역사
[자원봉사의 역사적 배경과 동향] 외국의 경우와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
우리나라 원격교육의 역사에 대해 조사정리하고,앞으로 원격교육이 어떻게 발전
중국의 역사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 오늘날 중국의 존재 의미
[숙박업의 역사] 숙박업 발전과정(발달과정), 우리나라(한국) 숙박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부모교육의 역사를 서구의 부모교육과 우리나라의 부모교육을 비교하여 논의하고, 21세기 미...
[자원봉사의 역사] 미국 영국 일본 우리나라(한국)의 자원봉사 발전과정(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