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입력선택은 MIC IN으로 설정하여 모음을 입력한다. PSD 파형을 관찰하고 FFT 결과와 비교, 분석하라. (단, Sampling Frequency = 10kHz, Data 수 = 1024, Window Function = Retangular)
아 fft
아 Psd
츠 fft
츠 fft
--> fft와 psd 모두 비슷한 주파수 대역에서 값을 가졌음을 알수 있다. 모음을 입력하는 실험이었는데 '아'를 입력하였을 경우 fft와 psd는 같은 입력 시그날을 가질 수 없었지만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에서 fft와 psd 모두 비슷하게 형성되었다. psd는 비슷한 것만 ft를 하기 때문에 fft와는 조금 다른 파형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noise가 감소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4) LINE IN으로 하여 벌.waz 파일과 천둥.wav 파일을 입력받아 PSD 결과를 관찰, FFT 결과와 비교, 분석하라.(단, Sampling Frequency = 10 kHz, Data 수 = 1024, Window Function = Rectangular)
-->
벌.wav fft
벌.wav psd
천둥.wav fft
천둥.wav psd
--> fft와 Psd를 한 결과 Psd와 fft는 입력 signal이 약간 차이가 있었지만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값을 가졌다. fft의 경우에 주파수의 범위가 psd 보다는 많이 나타났다. 이는 3번에서와 같이 비슷한 것만 ft를 하기 때문에 fft와는 조금 다른 파형을 나타내었으리라 본다. 그리고 벌의 경우에는 천둥의 경우보다 고주파의 주파수를 갖는 파형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아 fft
아 Psd
츠 fft
츠 fft
--> fft와 psd 모두 비슷한 주파수 대역에서 값을 가졌음을 알수 있다. 모음을 입력하는 실험이었는데 '아'를 입력하였을 경우 fft와 psd는 같은 입력 시그날을 가질 수 없었지만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에서 fft와 psd 모두 비슷하게 형성되었다. psd는 비슷한 것만 ft를 하기 때문에 fft와는 조금 다른 파형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noise가 감소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4) LINE IN으로 하여 벌.waz 파일과 천둥.wav 파일을 입력받아 PSD 결과를 관찰, FFT 결과와 비교, 분석하라.(단, Sampling Frequency = 10 kHz, Data 수 = 1024, Window Function = Rectangular)
-->
벌.wav fft
벌.wav psd
천둥.wav fft
천둥.wav psd
--> fft와 Psd를 한 결과 Psd와 fft는 입력 signal이 약간 차이가 있었지만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값을 가졌다. fft의 경우에 주파수의 범위가 psd 보다는 많이 나타났다. 이는 3번에서와 같이 비슷한 것만 ft를 하기 때문에 fft와는 조금 다른 파형을 나타내었으리라 본다. 그리고 벌의 경우에는 천둥의 경우보다 고주파의 주파수를 갖는 파형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