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인 소설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2.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3. 약전 및 작품 경향

Ⅱ. 타자의 세계인식을 통한 자기반성
1.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과 세계인식의 상대화
2. 타자를 통한 자기반성

Ⅲ.자아, 타자 그리고 객관적 현실문제의 개입
1. 도시화로 인해 피폐해진 고향과 귀행자의 모습
2. 도시속에서 황폐해져 가는 인물들의 모습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pp. 385-386
그리고 고향에 내려간 그는 그동안의 불효를 반성하고 어머니와 함께 늙어 죽을 때까지 일하면서 고향 땅에서 살겠다고 한다. 이 귀향이야말로 진정한 자기 삶의 정체성을 자신의 뿌리 속에서 찾으려는 다짐인 것이다.
Ⅳ. 결론
지금까지 본고는 서정인의 소설「후송」에서 「달궁」이전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론 1에서는 그의 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들의 세계인식이 어떻게 구현되었으며 그것이 자기반성의 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론2에서는 70년대 중반이후 나타난 현실문제가 인물들과 아울러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발표자들은 이미 작년 「김승옥 소설 연구」를 통해 60년대의 시대적 특징을 살펴본 바 있다. 서정인의 유학 전 작품들 역시 60년대 소설들로 그 시대적 영향을 받고 있다. 이는 전쟁 후 개인의 주체성을 상실한 모습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아찾기'를 끊임없이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서정인의 경우 결국 사회속의 '자아'는 '타자'없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소설 속의 인물들 역시 인물의 '정체성'이란 주인공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타자'(주변인물)와의 관계 속에서만 설명될 수 있는 것이라 보고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 속에 놓여져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 "자기의 삶이 타인의 삶을 타락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가"
) 윤혜경, 앞의 글, p. 66.
하는 자기반성을 견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자아와 타자의 삶의 문제, 그리고 사회의 타락을 치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결국 각각의 시각을 통해 세상을 多面的으로 바라보기는, '타자되기'를 뜻하는 것이며 이는 타인과의 상대화 나아가 '나'의 현재모습과 일정한 거리감을 생성하는 원동력인 셈이다.
그러나 본론2에서 다룬 소설들은 60년대 소설과는 달리 인간의 보편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현실사회문제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이는 60년대 급속한 경제개발로 인해 70년대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제는 자아와 타자간의 이해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만으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그만큼 사회현실은 간과할 수 없을 만큼 커다란 문제였고 이미 개개의 삶 속에 침투해 있었다.
서정인은 70년대 나타난 사회현실 문제를 농촌과 도시의 공간적 배경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농촌의 공간적 배경을 통해 도시로 떠나기 위해 농촌을 버리는 인물들과 한편으로 도시화로 인해 낙후된 농촌의 모습을 날카롭게 묘사하고 있다. 도시의 공간적 배경을 통해서는 도시에 적응하지 못하는 노인들과 진실을 감추며 살아가는 인물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같은 이분법적 구도는 그것이 대립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결국 공통된 사회문제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론2에서도 역시 다양한 인물들의 현실인식을 통해 사회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즉 현실을 '나'만으로 바라볼 수 없는 것처럼, 현실문제 역시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이의를 제기한다. 결국 본론1과 본론2는 그 시대적 분위기에 따라 또는 유학이라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소설의 양상이 다르다고 볼 수도 있으나, 자아와 타자를 통한 주체성 확립, 그리고 이 관계를 통한 현실사회인식이라는 일관된 주제라 볼 수 있다.
끝으로, 장편소설을 다루지 못했던 점과 좀 더 그의 삶과 문학을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치밀하게 연관시켜 연구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일차적으로 그의 유학을 기점으로 소설을 분류하였지만, 유학 이후 작품의 양상이 바뀌게 된 개인적인 이유에 대한 자료가 없었다. 이외에도 여러 작품에서 그의 군 시절과 교직의 경험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연구한 바가 없으므로, 앞으로 충분히 연구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 문헌
< 기초자료 >
서정인 『강』, 문학과 지성사 , 1976.
『가위』, 홍성사 , 1977.
「토요일과 금요일 사이」, 『신동아』, 1979년 9.
『벌판』, 나남 , 1984.
『철쭉제』, 민음사 , 1986.
『지리산 옆에서 살기』, 미학사 , 1988.
< 서정인 관련 논문 >
김경수. 「문학적 관습에 대한 새로운 도전」. 문학정신, 1991 12.
김명렬. 「소설의 미학」. 문학과 지성 1978 여름.
김병익. 「비극과 憐憫」, 문학사상, 1973 3.
, 「同化와 同意」, 문학과 지성, 1976 여름.
김종철, 「순진성으로서의 인간」-서정인 소설 속의 인물들, 문학과 지성 겨울, 1976.
김주연, 「보편성의 위기와 소설」, 『벌판』, 나남, 1993.
김 현, 「세계인식의 변모와 의미」, 『강』, 문학과 지성, 1996.
남진우, 「삶의 무거움과 아이러니 정신」, 『해바라기』, 청아출판사, 1992.
서정기, 「리얼리스트의 변신」, 작가세계, 1994 여름.
백지은, 「서정인 소설의 다성성 연구」, 고려대 석사, 1999
안수길, 「定石的 小說-<나주댁>」, 월간문학, 1968 11.
오생근, 「墮落한 世界에서의 眞實」, 문학과 지성, 1975 여름.
유종호, 「삭막한 삶과 압축의 미학」, 『사회역사적상상력』, 믿음사, 1987.
윤혜경 ,「서정인 소설연구」, 연세대 석사, 1996.
이경수, 「고독한 에고이스트가 도달한 초로의 경지」, 작가세계, 1994 여름.
이광호, 「소설은 어떻게 눈뜨는가」, 『강』, 문학과지성사, 1996.
이남호, 「60,70년대 張三李四들의 삶」, 작가세계, 1994 여름.
이태동, 「서정인론-無意味 속의 意味」, 현대문학, 1980 2.
정호웅, 「타락한 세계에 대한 비평적 진단」, 작가세계, 1994 여름.
조은하, 「서정인 소설 연구」, 고려대 석사, 1996.
최혜실, 「서정인론」, 비평문학, 1995 9.
<단행본>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945-1990』, 민음사, 1994.
김현·김윤식 공저,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4.
나병철, 『근대성과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1995.
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4.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