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설의 통시적 대중성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작품 속에 나타나는 대중적 속성
1. 조선시대 방각본 소설의 대중적 속성
- 〈조웅전〉과 〈유충렬전〉을 중심으로 -
2. 70년대 상업주의 소설의 대중적 속성
- 최인호의〈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

Ⅲ. 대중소설의 공통적 속성

Ⅳ. 결론

본문내용

전제품의 등장은 부엌살림살이에서 주부들의 일손을 덜어줌으로써 주부들로 하여금 과거 보다 많은 여가시간을 가질 수 있게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미약하나마 자신들의 경제적능녁을 갖기 시작한 청소년 근로자들의 등장과 비교적 여가시간을 많이 가진 젊은 인구층의 확대등이 새로운 대중문화의 시장을 형성했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우리나라 문화시장의 규모를 전례없이 크게 확장시켰다고 볼 수 있다. 또한 70년대의 폐쇄적인 정치문화와 대중의 기대의 상승에 따른 '상대적인 박탈감'의 팽배 역시 이 시대의 대중문화의 폭발현상을 자극했다고 생각된다. 즉, 70년대의 폐쇄적인 정치문화는 여타의 주요 사회제도들의 자율성을 극도로 제약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창조의 길을 크게 봉쇄하면서 정치권력이 용납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의 표현만을 허용했다. 그 결과 정치체제의 유지와 무관한 문화내용, 즉 소비성향의 대중문화가 주도하는 문화형태를 정착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필연적으로 현실도피적이며 감각적인 대중문화를 형성케 만든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은 요인들의 상호작용과 매스 미디어의 상업주의가 합작하여 70년대에 대중문화를 급격하게 팽창시켰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한국의 사회와 문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pp. 151~152.
Ⅲ. 대중소설의 공통적 속성
위에 세 가지 대중소설을 통해 대중소설에 나타난 대중적 요소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물론, 모든 요인들이 각각의 소설에 모두 부합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 몇 요인들은 일맥상통한 부분이 있음을 찾아낼 수 있다. 이에 대중소설의 속성을 작품 내적인 요소와 작품 외적인 요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첫번 째로 작품 내적인 요소로 보았을 때, 어렵고 복잡하지 않은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방각본 소설에서는 두 소설 모두 영웅소설이라는 것을 통해 비슷한 줄거리의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줄거리 구조상 정형화되는 틀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복잡하지 않은 이야기 임을 알 수 있다. 70년대 상업주의 소설 역시 신문에 연재되었다는 부분에서 내용상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시대의 대중소설들을 살펴 보았을 때, 소재와 줄거리가 비슷한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적 짧은 기간에 작품화 함에 따라 비슷한 소재와 줄거리, 인물 묘사의 전형성과 도식적 표현 따위의 면모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방각본 소설의 경우 주인공이나 줄거리 순서만 수정하여 새로운 작품을 제작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또한, 성(性)에 대한 내용이 파격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성(性)이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대중들 사이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흥미를 끌 수 있는 소재가 된다. 그래서, 주제나 줄거리에 꼭 필요하지 않더라도 남녀간의 애정문제는 필히 집어 넣게 되고 그 당시 일반적인 흐름 보다 파격적인 부분을 삽입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당시의 민중들의 삶을 반영한다는 것도 중요한 속성이다. 일반적으로 민중들이 염원하는 부분이나 또는 저항하는 부분을 직접적 혹은 우회적으로 작품 안에 반영하게 된다.
다음은 작품 외적인 요소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작품 외적 요소라는 것은 그 시대의 사회상과 접목된다는 것이다. 특히 상업주의와 연관되어 대중소설은 항상 이윤을 목적으로 하여 문학적 예술성이 결여된다는 지탄을 받게 된다. 이는 대중소설 자체가 많은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많이 읽힌 소설을 가리키기 때문에 벗어 날 수 없는 부분이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방각본 소설의 경우 손으로 배껴 쓰던 이전 사회상에서 인쇄술이 발달하면서 한꺼번에 여러 권의 책을 만들어 낼 수가 있었고, 그로 인해 소수에서 다수의 민중들이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70년대 소설 역시 신문에 연재되었다는 것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게 되었다. 이러한 작품의 유통상황이 가장 큰 작품 외적인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Ⅳ. 결론
이상에서 조선시대 방각본 소설과 70년대 상업주의 소설을 통해 대중소설의 대중적 속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 소설은 각각의 특성과 대중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속성들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대표적인 세 가지 소설을 통해 대중소설이라고 불리우는 문학의 공통적 속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와같은 대중소설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그것은 대중문학의 출현이 문학의 상품화를 통해서 문학을 대중화 함으로써 대중을 문학의 주체로 삼았다는 점이다. 물론 대중소설을 이윤을 추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의 요지 때문에 대중성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다. 앞서 밝힌 바 있듯이 대중문학을 대중들의 교육적인 발전과 자율성 내지는 인간성의 가치를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대중 문학은 천편일률적인 도식성과 도피주의의 온상의 특성을 지니는 한편, 그 나름대로의 예술적 문제영역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대중 문학의 예술적 가능성은 관습성 도식성의 구태의연함 속에서 도식성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어떻게 신선함과 개인적 체취를 부여하여 대중 문학의 지평을 확대하는가에 달려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회와 문화》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대중문학과 민중문학》, 민음사, 1980.
강현두, 『대중문화의 이론』, 민음사, 1980.
강현두, 『한국의 대중문화』, 나남, 1991.
임성래,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태학사, 1995.
허버트 J. 갠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미학사, 1996.
〈조웅전〉, 《한국고전문학전집》2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한기철, 『문화, 일상, 대중: 누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1996.
조동일, 『한국 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97.
양건열, 『비판적 대중문화론』, 현대미학사, 1997.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00.
박성봉, 『대중예술의 이론들-대중예술 비평을 위하여』, 동연, 2000.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