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의미
Ⅲ.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유형
Ⅳ.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양상
1. 계급질서의 해체
2. 가치관의 붕괴
3. 성장기에 담겨진 세태
4. 가난과 죽음에 따른 실존의식
5. 부조리의 고발
6. 화해와 인간성 회복
7. 해학을 통한 객관서의 회복
8. 실향의 고통과 향수
Ⅴ.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총력의식
Ⅵ.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대표작품
참고문헌
Ⅱ.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의미
Ⅲ.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유형
Ⅳ.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양상
1. 계급질서의 해체
2. 가치관의 붕괴
3. 성장기에 담겨진 세태
4. 가난과 죽음에 따른 실존의식
5. 부조리의 고발
6. 화해와 인간성 회복
7. 해학을 통한 객관서의 회복
8. 실향의 고통과 향수
Ⅴ.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총력의식
Ⅵ.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대표작품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상휴가까지도 반납한 심성 깊은 사람이기도 하다.
장마와 소규모 전투가 이어짐에 따라 일주일 예정이었던 동부전선 종군이 한 달 가량 지체되면서 나는 윤 중사와 친숙해진다. 이야기 끝에 윤 중사의 고향은 수원 근처 팔탄면 내고잔인데, 편지를 두 번이나 보냈으나 소식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내고잔은 지난 1차 피난 때, 화자가 공주 마곡사로 피난 가던 길에 들러 하룻밤 묵어갔던 인연이 있는 동네다.
소식을 대신 전해 주마하고 돌아온 후 한 달쯤 지나 내고잔을 찾아간다. 윤 중사의 고향집 오막살이에는 그의 늙은 부모와 아내 및 갓난아기와 동생들이 어렵게 살고 있다. 더군다나 윤 중사의 아버지는 몸을 다쳐서 누워 있다. 그러나 이런 가난과 어려움 속에서도 윤 중사의 아내는 어린아이를 업고서 건너 마을에 김을 매러 다니며 살림을 꾸려 나가고, 연로한 아버지는 농사꾼답지 않게 아들이 집안 걱정 말고 나라 위해 힘껏 싸워 주기를 바라고 있다.
Ⅵ.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대표작품
최인욱의「박군 이야기」(『전시문학독본』, 1951.),「정찰삽화」(『문예』, 1952. 1.), 김이석의「악수」(『전선문학』, 1952. 4.), 박영준의「변노파」(『문예』, 1952. 56. ),「저류」(『자유세계』, 1952. 8.),「면회」(『전선문학』, 1953. 2.),「외투」(『신천지』, 1953. 6.), 김동리의「귀환장정」(『신조』, 1951. 6.), 최태응의「구각을 떨치고」(『전쟁과 소설』, 1951.),「무지개」(『자유예술』, 1952. 11.), 김송의「상흔」(『농민 소설선집』, 1952.),「두 개의 심정」(『문예』, 1952. 56.),「불사신」(『전선문학』, 1953. 5.), 정비석의「남아출생」(『문예』, 1953. 4.), 오영수의「아찌야」(『사병문고』, 1952.),「눈사람」(『신천지』, 1953. 78.), 김동사의「별빛」(『전선문학』, 1953. 2.), 유주현의「역설」(『전선문학』, 1953. 2.), 최정희의「낙화」(『문예』, 1953. 2.),「임하사와 그 어머니」(『협동』, 1952. 12.), 이무영의「바다의 대화」(『전선문학』, 1953. 2.),「625」(『군항』, 1953. 3.), 이봉구의「참새」(『문예』, 1953. 2.), 장덕조의「어머니」(『전시문학독본』, 1951.),「젊은 힘」(『전쟁과 소설』, 1951.),「선물」(『전선문학』, 1953. 4.), 박연희의「소년과 메리라는 개」(『문화세계』, 1953. 7.) 등의 작품이 그것이다.
참고문헌
김교봉(2004)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가족 해체의 가족주의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김문수(2001)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우리말글학회
김문수(2003)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 전장이 취재된 작품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김문수(1997)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대구대학교
김문수(1998)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피난민의 삶과 의식, 우리말글학회
이경재(2012)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장마와 소규모 전투가 이어짐에 따라 일주일 예정이었던 동부전선 종군이 한 달 가량 지체되면서 나는 윤 중사와 친숙해진다. 이야기 끝에 윤 중사의 고향은 수원 근처 팔탄면 내고잔인데, 편지를 두 번이나 보냈으나 소식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내고잔은 지난 1차 피난 때, 화자가 공주 마곡사로 피난 가던 길에 들러 하룻밤 묵어갔던 인연이 있는 동네다.
소식을 대신 전해 주마하고 돌아온 후 한 달쯤 지나 내고잔을 찾아간다. 윤 중사의 고향집 오막살이에는 그의 늙은 부모와 아내 및 갓난아기와 동생들이 어렵게 살고 있다. 더군다나 윤 중사의 아버지는 몸을 다쳐서 누워 있다. 그러나 이런 가난과 어려움 속에서도 윤 중사의 아내는 어린아이를 업고서 건너 마을에 김을 매러 다니며 살림을 꾸려 나가고, 연로한 아버지는 농사꾼답지 않게 아들이 집안 걱정 말고 나라 위해 힘껏 싸워 주기를 바라고 있다.
Ⅵ.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대표작품
최인욱의「박군 이야기」(『전시문학독본』, 1951.),「정찰삽화」(『문예』, 1952. 1.), 김이석의「악수」(『전선문학』, 1952. 4.), 박영준의「변노파」(『문예』, 1952. 56. ),「저류」(『자유세계』, 1952. 8.),「면회」(『전선문학』, 1953. 2.),「외투」(『신천지』, 1953. 6.), 김동리의「귀환장정」(『신조』, 1951. 6.), 최태응의「구각을 떨치고」(『전쟁과 소설』, 1951.),「무지개」(『자유예술』, 1952. 11.), 김송의「상흔」(『농민 소설선집』, 1952.),「두 개의 심정」(『문예』, 1952. 56.),「불사신」(『전선문학』, 1953. 5.), 정비석의「남아출생」(『문예』, 1953. 4.), 오영수의「아찌야」(『사병문고』, 1952.),「눈사람」(『신천지』, 1953. 78.), 김동사의「별빛」(『전선문학』, 1953. 2.), 유주현의「역설」(『전선문학』, 1953. 2.), 최정희의「낙화」(『문예』, 1953. 2.),「임하사와 그 어머니」(『협동』, 1952. 12.), 이무영의「바다의 대화」(『전선문학』, 1953. 2.),「625」(『군항』, 1953. 3.), 이봉구의「참새」(『문예』, 1953. 2.), 장덕조의「어머니」(『전시문학독본』, 1951.),「젊은 힘」(『전쟁과 소설』, 1951.),「선물」(『전선문학』, 1953. 4.), 박연희의「소년과 메리라는 개」(『문화세계』, 1953. 7.) 등의 작품이 그것이다.
참고문헌
김교봉(2004)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가족 해체의 가족주의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김문수(2001)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우리말글학회
김문수(2003)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 전장이 취재된 작품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김문수(1997) -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 대구대학교
김문수(1998)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피난민의 삶과 의식, 우리말글학회
이경재(2012) -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추천자료
[중국][노신 소설][문학사적 의의][문학적 성취][노신][문학][소설]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
[박태원][박태원 소설관][박태원 소설기법][박태원 소설 두 좌표][박태원 소설의 도시인식]박...
[황석영 약력][황석영 소설 삼포 가는 길][황석영 소설 돼지꿈][황석영 소설 무기의 그늘][손...
[1930년대][단편소설][근대소설][농민소설][시(시문학)][경성노동자]1930년대의 단편소설, 19...
[알레고리][바로크양식][소설][풍자][삽화][소설 양철북][민족]알레고리의 개념, 바로크양식...
[삼대][염상섭 소설][작가][작품분석][작품감상]삼대(염상섭 소설)의 내용요약, 삼대(염상섭 ...
[황순원][소설구성][소설 소나기][소설 별][소설 학]황순원의 생애, 황순원의 문학관, 황순원...
[채만식][문학세계][풍자소설][치숙][명일]채만식의 생애, 채만식의 평가, 채만식의 문학세계...
[이문열][미로의 날들]이문열의 소설 미로의 날들 작품분석,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
[이인직][정치소설][소설담론]이인직과 이인직 소설, 이인직과 신소설, 이인직과 정치소설, ...
[홍길동전]홍길동전(허균 소설)의 내용요약, 홍길동전(허균 소설)의 작가, 홍길동전(허균 소...
[흐름][현대소설][근대소설][국어연구][가사문학]현대소설의 흐름, 근대소설의 흐름, 국어연...
[세기전환기, 한문소설, 현대소설, 희곡, 구비문학, 재외동포문학]세기전환기의 한문소설, 세...
[최인훈, 구운몽, 광장]최인훈의 의사소통체계, 최인훈의 의미생성방법, 최인훈의 소설 구운...
소개글